청자 퇴화 초화문 표주박모양 주전자 및 승반 ( 주박 )

공예
작품
문화재
고려 중기 제작된 청자 주전자와 승반.
작품/조각·공예
소장처
국립중앙박물관
국가지정문화재
지정 명칭
청자 퇴화초화문 표주박모양 주전자 및 승반(靑磁 堆花草花文 瓢形 注子 및 承盤)
지정기관
문화재청
종목
보물(2017년 03월 08일 지정)
소재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 국립중앙박물관
내용 요약

청자 퇴화초화문 표주박모양 주전자 및 승반은 고려 중기 제작된 청자 주전자와 승반이다. 퇴화기법으로 초화문이 장식되었다. 문양은 백토니와 자토니를 사용한 퇴화기법으로 흑백 대비의 초화문을 생동감 있게 표현하였다. 표주박 모양의 주자와 뚜껑, 승반까지 완전하게 남아 있는 드문 예이다.

정의
고려 중기 제작된 청자 주전자와 승반.
제작 배경

퇴화청자(堆花靑磁)는 고려 11세기부터 14세기까지 제작되었지만 12세기 후반에서 13세기 전반경이 절정기이다. 강화도에 자리한 희종(熙宗, 1181~1237) 석릉(碩陵), 순경태후(順敬太后, ?~1236) 가릉(嘉陵), 왕실의 행궁이었던 파주 혜음원지 등에서 퇴화문 접시와 통형잔 등이 출토되어 왕실에서 퇴화청자를 사용하였음을 알 수 있다. 퇴화청자는 부안 진서리, 부안 유천리, 해남 진산리 등에서 제작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유천리 요지에서 수준 높은 퇴화청자가 제작되었다.

내용

퇴화기법은 백토와 자토에 물을 섞어 걸쭉한 상태로 만든 백토니(白土泥)와 자토니(赭土泥)로 문양을 그려서 장식하는 것이다. 성형한 그릇 면에 백토니와 자토니를 이용하여 문양을 그린 후에 유약을 바르고 번조한다. 백토니는 백색으로, 산화철 성분이 높은 자토니는 흑색으로 변하여 문양에서 흑백의 대조를 볼 수 있다. 문양은 사실적인 묘사보다는 단순화된 형태가 많으며 붓을 이용하기 때문에 표현이 자유로운 편이다.

형태 및 특징

크기는 전체 높이 29.7㎝ 최대 지름 18.3㎝ 승반 높이 8.8㎝이다. 표주박 모양의 주자, 뚜껑, 승반이 완벽하게 남아 있는 예이다. 퇴화 기법으로 시문된 문양은 붓을 이용하기 때문에 자유로운 필치가 돋보이며 초화문(草花文)의 백색 바탕과 흑색 문양이 대비되면서 생동감을 준다. 퇴화 기법의 흑백 문양은 주자의 몸체, 주구(注口), 어깨, 뚜껑, 승반 등에 표현하여 장식적 효과를 극대화하였다.

표주박모양 주자의 몸체에 표현된 주문양은 커다란 원을 백토니로 그리고 중간 부분의 백토니를 긁어내어 백색의 원문과 원문대(圓文帶)를 만들었다. 백색 원문에는 자토니로 초화(草花)를 그리고, 원문대에는 당초문을 음각하였다. 주자와 승반은 모두 굽 접지면에 유약을 닦아내고 내화토빚음을 받쳐 번조하였다.

의의 및 평가

청자주자와 승반은 단정하면서도 안정감 있는 형태와 주자, 승반, 뚜껑이 모두 남아 있는 드문 경우이다. 고려 중기에 제작된 세련된 퇴화기법의 정수를 보여주고 있어서 현존하는 고려청자 중에서 퇴화기법을 대표할 만한 작품으로 평가될 수 있다. 2017년 3월 8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참고문헌

단행본

『고려왕실의 도자기』(국립중앙박물관, 2008)

논문

염혜희, 「고려 퇴화청자 연구」(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