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명세자빈 책봉 죽책 ( )

조선시대사
문헌
1819년, 신정왕후 조씨를 효명세자의 빈으로 책봉할 때 제작한 죽책.
문헌/문서
용도
책봉
발급자
순조
수급자
효명세자빈
소장처
국립고궁박물관
관련 인물
신정왕후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효명세자빈 책봉 죽책은 1819년, 신정왕후 조씨를 효명세자의 빈으로 책봉할 때 제작한 죽책이다. 조만영의 딸을 순조의 아들 효명세자의 빈으로 책봉할 때 제작하였다. 조선 왕실의 의례와 우수한 공예문화를 확인할 수 있는 유물이며, 국외소재문화유산에 대한 다자간 민관협력의 우수한 사례로 평가된다.

정의
1819년, 신정왕후 조씨를 효명세자의 빈으로 책봉할 때 제작한 죽책.
제작 및 발급 경위

1819년(순조 19)에 조만영(趙萬永, 1776∼1846)의 딸인 신정왕후 조씨(神貞王后 趙氏, 18081890)를 순조의 아들 효명세자(孝明世子, 18091830)의 빈으로 책봉할 때 제작한 주1이다.

형태와 내용

6첩의 죽책으로 각 쪽의 크기는 가로 17.5㎝, 세로 25㎝이다. 문장은 우의정 남공철(南公轍, 17601840)이 지었고, 글씨는 서사관 이만수(李晩秀, 17521820)가 썼다. 『효명세자가례도감의궤』에 따르면, 원래는 죽책에 글자를 새긴 후 글씨 하나하나마다 정성스레 주2를 입혔던 것으로 보이나, 현재는 금니가 대부분 벗겨진 상태이다.

전형적인 조선 왕실의 죽책 형식을 엿볼 수 있는 공예품으로 뛰어난 예술성을 지닌 왕실 의례의 상징물이다. 조선 왕실의 어보와 어책 일괄은 조선 왕실의 의례와 예술이 드러나는 중요한 유물로, 2017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되었다.

효명세자빈 책봉 죽책은 강화도 외규장각에 보관하던 중 병인양요 때 프랑스군에 의하여 불타 없어진 것으로 추정되어 왔다. 2017년 6월 국외소재문화재재단(현, 국외소재문화유산재단)은 국외 문화유산 유통시장 모니터링 중에 프랑스의 한 경매에 죽책이 출품된 것을 확인하고 프랑스 경매사에 경매 중지를 요청하였다. 그 후 당시 소장자와 협의를 진행하여 라이엇 게임즈의 기부금으로 매입한 뒤 국립고궁박물관에 무상 기증하였다.

의의 및 평가

조선 왕실의 의례와 우수한 공예문화를 확인할 수 있는 유물이며, 국외소재문화유산에 대한 다자간 민관협력의 우수한 사례로 평가된다. 2021년 현재 국립고궁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참고문헌

신문 · 잡지

김동현, 「150여년 만에 프랑스서 경매물로 등장한 효명세자빈 책봉 죽책」(『세계일보』, 2018. 9. 18.)

인터넷 자료

국가유산청(www.khs.go.kr)
주석
주1

조선시대에 왕세자와 왕세자빈을 책봉하고 존호(尊號)를 올릴 때에 그에 관한 글을 대쪽에 새겨 엮은 문서.

주2

아교에 개어 만든 금박 가루. 그림을 그리거나 글씨를 쓸 때 사용하며, 특히 어두운 바탕의 종이에서 독특한 효과를 낸다.    우리말샘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