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처용가 ()

고전시가
작품
작자와 연대 미상의 고려속요.
내용 요약

고려처용가는 작자와 연대 미상의 고려속요이다. 「고려처용가」는 신라 향가인 「처용가」에서 유래되었다. 궁중의 나례(儺禮)와 결부되어 「처용희」, 「처용무」로 발전되면서 주술 의식으로 발전하였다. 처용의 형상에 대한 묘사와 찬양, 역신에 대한 위협적인 언술, 처용에 대한 역신의 발원 등이 서사적 구조로 짜여 있다. 「고려처용가」는 향가 「처용가」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이다. 또한 궁중의 연희와 나례에서 실연된 연희성과 제의성의 두 요소가 복합적으로 계승되었다는 특징이 있다.

정의
작자와 연대 미상의 고려속요.
구성 및 형식

가사로 볼 때는 4단 또는 5단 구성, 악곡으로 볼 때는 주1 · 주2 · 주3의 강엽구조를 2번 반복.

내용

「고려처용가」는 신라 향가「처용가」에서 유래되었다. 「고려처용가」 가운데 향가 「처용가」의 끝 2구를 제외한 6구가 포함되어 있어 그 연관성이 확인된다. 하지만 내용과 형식에서는 많은 차이를 보인다. 『삼국유사』 「처용랑 망해사(處容郞 望海寺)」조에, 처용이 아내를 범한 역신(疫神)을 춤과 노래로 용서하자 “이후부터는 공의 형상을 그린 것만 보아도 그 문에 들어가지 않겠습니다.”라고 맹서한 후, 이로 인하여 나라 사람들이 처용의 모습을 그려 문에 붙여 사기(邪氣)를 물리치고 경사스러움을 맞아들였다는 데서 향가 「처용가」는 역신 퇴치의 주술적 기능이 인정되지만, 「고려처용가」는 궁중의 나례(儺禮)와 결부되어 「처용희(處容戱)」, 「처용무(處容舞)」로 발전되면서 주술의식으로 자리 잡기 때문이다.

그러한 역사적 사실은 『고려사』 기록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는데, 고종 23년에 주5주4에서 채송년(蔡松年)이 “안경인(安景仁)이 처용희를 잘한다”고 말한 기록이나 충혜왕 4년에 주6의 사신을 위하여 향연을 베풀 때 처용희를 하였다는 기록, 그리고 신우 11년에 사냥에서 돌아와 처용희를 놀았고, 또 12년에는 처용가면을 쓰고 춤을 추었다는 기록 등에서 이를 알 수 있다.

한편 이색(李穡)의 『목은시고』 「구나행(驅儺行)」에서 “신라의 처용은 칠보를 두르고(新羅處容帶七寶)”나, 또 같은 책 「자동대문지궐문전산대잡극전소미견야(自東大門至闕門前山臺雜劇前所未見也)」에서 “처용의 적삼과 소매가 바람을 따라 도네(處容衫袖返風徊)”의 시구, 그리고 이숭인(李崇仁)『도은집』의 시제(詩題) 「11월 17일 밤에 공익이 부르는 신라의 처용가를 들었는데, 성조가 비장해서 사람을 감격시키는 바가 있었다(十一月十七日夜聽功益新羅處容歌聲調悲壯令人有感)」 등을 통해서도 「처용가」 「처용무」 「처용희」가 주7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다가 조선조에 들어와서는 주8주9례(驅儺禮)에서 「학연화대처용무합설(鶴蓮花臺處容舞合設)」 중에 행해지는 주16의 「처용무」로 변모되어 주10주술기능이 보다 확대된다. 조선조의 기록들은 『악장가사』, 『악학궤범』, 『악학편고』에 가사(歌詞)가 실려 있고, 『시용향악보』에는 「잡처용(雜處容)」이 실려 전한다. 특히, 『악학궤범』에는 악조와 가사 그리고 무희(舞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다. 그 밖에 『고려사』, 『고려사절요』, 『조선왕조실록』,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대동운부군옥(大東韻府群玉)』 등에도 「고려처용가」에 대한 기록들이 전한다.

「고려처용가」의 구성에 대해서는 3단(김사엽), 4단(양주동, 김형규, 박병채, 서대석, 최철 등), 5단(김사억, 허남춘, 최용수 등), 6단(정병헌), 8단(여증동) 등으로 다양하게 제시되어 왔다. 그중 ‘서사(序詞)’, ‘처용의 모습 찬양’, ‘처용의 위엄과 능력’, ‘역신에 대한 위협과 발원’의 4단구성과 ‘서사’, ‘처용의 모습 찬양’, ‘처용의 위엄과 능력’, ‘역신에 대한 위협’, ‘발원’의 5단구성이 주목을 받고 있다.

「고려처용가」의 내용은 세분해서 살펴보면, ‘배경(태평성대)─처용의 형상 묘사─처용의 우상 세움 찬양─처용의 주11, 주12, 주13에 대한 명령과 위협─역신의 침범(신라 「처용가」의 1∼6구 삽입) 및 처용의 위용─처용에 대한 제물─처용의 열병신 요구─열병신의 발원(도망)’ 등으로 짜여 있다. 이는 처용을 불러 모시고, 그 형용을 찬양함으로써 즐겁게 만들고, 그 형상을 많이 만들어 섬기는 것을 칭송함으로써, 역신을 퇴치하는 주사로 위협하고, 역신을 도망케 하여 구축한다는 점에서 일반적인 무가와 다르지 않음을 보여 준다.

그리고 그 표현방식에서도 감탄, 주14, 명령, 주15, 가정, 직유, 도치, 인용, 원망, 예찬, 회유, 발원 등의 어법이 다양하게 구사되는 특징도 가지고 있다.

의의와 평가

「고려처용가」는 향가 「처용가」와 달리 처용의 형상에 대한 묘사와 찬양, 역신에 대한 위협적인 언술, 처용에 대한 역신의 발원 등이 서사적 구조로 짜여 있다. 특히 처용의 힘을 빌려 역신을 물리치기 위한 독특한 극적 형식은 고려가요의 또 다른 면모를 보여 준다. 그러므로 「고려처용가」는 향가 「처용가」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될 뿐 아니라 궁중의 연희와 나례에서 실연된 연희성과 제의성의 두 요소가 복합적으로 계승되었다는 특이성으로 인해 그 문학사적 의의가 재조명된다.

참고문헌

『삼국사기(三國史記)』
『삼국유사(三國遺事)』
『고려사(高麗史)』
『악장가사(樂章歌詞)』
『악학궤범(樂學軌範)』
『악학편고(樂學便考)』
『시용향악보(時用鄕樂譜)』
『목은시고(牧隱詩藁)』 권21, 권33
『도은집(陶隱集)』 권2
『처용연구전집Ⅱ(문학2)』(처용연구간행위원회, 역락, 2005)
『고려 처용가의 미학적 전승』(김수경, 보고사, 2004)
『고려 처용가의 해석』(최철, 연세대학교 출판부, 1995)
『새로고친 고려가요의 어석연구』(박병채, 국학자료원, 1994)
「고려 처용가의 형성 과정」(박노준, 『고려가요의 연구』, 새문사, 1990)
「처용가 연구」(이명구, 『고려시대의 가요문학』, 새문사, 1987)
주석
주1

국악 형식에서 세 마디로 나눌 때, 처음 가락의 마디. ≪악학궤범≫의 <정읍사>, <삼진작#GT#따위에 보인다. 우리말샘

주2

국악 형식에서 세 마디로 나눌 때, 맨 나중 가락의 마디. ≪악학궤범≫의 <정읍사>, <삼진작#GT#따위에 있다. 우리말샘

주3

우리나라 전통 음악의 한 형식인 엽의 하나. 우리말샘

주4

임금이 궁중 금원(禁苑)에서, 가까운 사람들만 불러 베풀던 소연(小宴). 우리말샘

주5

왕비가 거처하던 궁전. 우리말샘

주6

1271년에 몽고 제국의 제5대 황제 쿠빌라이가 대도(大都)에 도읍하고 세운 나라. 1279년에 남송을 멸망시키고, 중국 본토를 중심으로 몽고, 티베트를 영유하여 몽고 지상주의 입장에서 민족적 신분제를 세웠으나 1368년에 주원장을 중심으로 한 한족의 봉기로 망하였다. 우리말샘

주7

실제로 하여 보임. 우리말샘

주8

섣달그믐날 밤. 우리말샘

주9

고려ㆍ조선 시대에, 세밑에 궁중에서 역귀(疫鬼)를 쫓던 일. 또는 그런 의식. 역귀로 분장한 사람을 방상시가 쫓는 연극으로 이루어졌다. 우리말샘

주10

요사스러운 귀신을 물리침. 우리말샘

주11

‘버찌’의 옛말. 우리말샘

주12

‘자두’의 방언 우리말샘

주13

‘산돌배’의 열매. 우리말샘

주14

의문을 내세움. 우리말샘

주15

사람이나 사물의 이름을 불러 주의를 불러일으키는 수사.. ‘여러분!’, ‘솔아! 솔아! 푸른 솔아!’ 따위가 있다. 우리말샘

주16

궁중의 연희 때와 세모(歲暮)에 역귀를 쫓는 의식 뒤에 추던 향악의 춤. 파랑ㆍ노랑ㆍ빨강ㆍ하양ㆍ검정의 옷을 입은 다섯 무동이 각기 처용의 탈을 쓰고 다섯 방위로 벌여 서서 여러 장면으로 바꾸어 가며 춤을 추는데, 그 사이에 처용가와 봉황음을 부른다. 국가 무형 문화재 정식 명칭은 ‘처용무’이다.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