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혜왕 ()

고려시대사
인물
고려 제28대(재위: 1330~1332, 1339~1344) 왕.
이칭
성명
왕정(王禎) , 보탑실리(普塔失里)
시호
헌효(獻孝)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315년(충숙왕 2)
사망 연도
1344년(충혜왕 복위5)
본관
개성(開城)
출생지
개경
주요 관직
고려국왕
관련 사건
입성론, 심왕옹립사건, 조적의 난, 충혜왕 폐위
내용 요약

충혜왕은 고려 제28대(재위: 1330~1332, 1339~1344) 왕이다. 1315년(충숙왕 2) 출생으로, 1330년(충숙왕 17) 충숙왕의 선위를 받아 왕위에 올랐으나 몽골의 정국 변동 속에서 1332년(충숙왕 복위1) 폐위되고, 충숙왕 사후 1339년(충숙왕 복위8) 다시 왕위에 올랐다. 재위 기간 중 측근을 양성하고 무역에 힘쓰기도 하였으나, 그 탐음부도(貪淫不道)함으로 인해 제기된 입성론(立省論)을 계기로 유배길에 올랐다가 이듬해 사망하였다.

정의
고려 제28대(재위: 1330~1332, 1339~1344) 왕.
가계 및 인적 사항

재위 1330년∼1332년, 복위 1339년∼1344년. 이름은 왕정(王禎), 몽골명은 보탑실리(普塔失里, 부다시리). 충숙왕의 맏아들이며, 어머니는 명덕태후(明德太后) 홍씨(洪氏)이다. 비(妃)는 원(元) 관서왕(關西王) 초팔(焦八)의 딸인 덕녕공주(德寧公主: 충목왕의 생모)와 찬성사(贊成事) 윤계종(尹繼宗)의 딸 희비(禧妃) 윤씨(尹氏), 평리(評理) 홍탁(洪鐸)의 딸 화비(和妃) 홍씨(洪氏), 상인(商人) 임신(林信)의 딸 은천옹주(銀川翁主) 임씨(林氏)이다.

주요 활동

1315년(충숙왕 2) 출생하여, 1328년(충숙왕 15) 세자로서 원에 가서 주5 생활을 했다. 당시 원의 황위 계승 분쟁에서 문종(文宗)을 옹립하며 권력을 장악한 권신 연첩목아(燕帖木兒, 엘테무르)와의 관계를 배경으로, 충숙왕의 주2를 받고 1330년(충숙왕 17)에 귀국해 즉위하였다. 재위 기간 고려에 유배 와 있던 명종(明宗)의 장자 타환첩목이(妥懽帖睦爾, 토곤테무르, 뒤의 순제)와 관련해서 발생한 반역 모의에 연루되어 1332년(충숙왕 복위1) 폐위되어 원으로 소환되었다. 원에서 숙위 생활을 하면서 방탕하게 생활한 것이 문제가 되어 1336년(충숙왕 복위5) 귀국 조치되었다.

1339년(충숙왕 복위8) 3월, 충숙왕이 충혜왕에게 왕위를 물려줄 것을 유언으로 남기고 사망했으나, 원 측에서 이를 승인하지 않는 가운데 충혜왕의 왕위 계승은 지연되었다. 이러한 가운데 같은 해 8월, 충혜왕이 충숙왕비인 경화공주를 간음하는 사건이 발생하였고, 충숙왕이 사망한 후 심왕을 옹립하고자 하는 의도를 갖고 있었던 좌정승(左政丞) 조적(曺頔)은 공주로부터 이를 듣고 병력을 모아 충혜왕을 공격하였다. 조적의 난은 진압되었지만, 이 사건으로 인해 충혜왕은 원으로 압송되어 형부(刑部)에 수감되었다. 당시 충혜왕에 대해 부정적이었던 권신 백안(伯顔, 바얀)이 실각하고 탈탈(脫脫, 톡토)이 집권하게 되는 원의 정국 변동 속에서 충혜왕은 1340년(충혜왕 복위1) 3월, 석방되어 원으로부터 왕위의 계승을 인정받아 다시 왕위에 올랐다.

충혜왕은 측근 세력을 양성하고 시위 부대를 양성해 왕권을 강화하고자 하였다. 그 측근에는 군소(群小) 혹은 주3라 불리는 무뢰배도 다수 포함되어 있었으며, 사료에는 충혜왕이 이들과 함께 벌인 악행들이 기록되어 있기도 하다. 또한 사적인 재정 기반 및 국가 재정을 확충하는 데에도 힘을 기울였다. 복위한 해에 사적으로 보흥고(寶興庫)를 설치하기도 하였고, 1342년(충혜왕 복위3)에는 주4덕천고(德泉庫), 보흥고의 포(布) 4만 8,000필을 풀어 시장에 점포[鋪]를 열게 하였다. 또한 측근을 통해 금 · 은 · 포 등을 원에 가지고 가서 무역하게 하거나, 포를 회회가(回回家)에 주어 그 이윤을 취하기도 하였다. 후자의 경우 당시 주6 상인들이 주축이 되어 행해지던 원의 알탈(오르톡) 무역에 참여한 정황을 보여 준다. 관련해서 1343년(충혜왕 복위4)에 지은 삼현신궁(三峴新宮)이 대규모 방직 시설로서 설계, 설립된 공간이었다는 점도 주목된다. 이 과정에서 무리하게 세금을 징수하거나 백성들의 토지와 노비를 빼앗는 등의 실정(失政)이 있었다.

1343년 8월, 이운(李芸) · 조익청(曹益淸) · 기철(奇轍) 등이 원 중서성(中書省)에 상서(上書)해, 왕이 탐욕스럽고 음탕하며 부도덕한 행동을 하니, 고려에 입성(立省)해서, 즉 고려의 정동행성(征東行省)을 원 내지의 행성들과 동일하게 운영해서 백성들을 편안하게 해 줄 것을 요청하였다. 이 요청은 받아들여지지 않았지만, 같은 해 11월, 원의 사신들이 와서 충혜왕을 원으로 압송해 갔고, 같은 해 12월, 원에서는 백성을 심하게 착취한 죄를 물어 충혜왕을 게양현(揭陽縣)으로 유배 보냈다. 이듬해 정월, 왕은 유배길에 악양현(岳陽縣)에서 사망했는데, 당시 나라 사람들 가운데 이 소식을 듣고 슬퍼하는 자가 아무도 없었고, 주7 중에는 기뻐하는 자들도 있었다고 한다.

상훈과 추모

1357년(공민왕 6) 헌효(獻孝)라는 시호를 올렸고, 1367년(공민왕 16) 원에서 충혜(忠惠)라는 시호를 내렸다. 능은 영릉(永陵)으로 지금의 개성에 있다.

참고문헌

원전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원사(元史)』

단행본

김창현, 『고려후기 정치사』(경인문화사, 2017)
김광철, 『원간섭기 고려의 측근정치와 개혁정치』(경인문화사, 2018)

논문

권용철, 「대원제국 말기 정국과 고려 충혜왕의 즉위, 복위, 폐위」(『한국사학보』 56, 고려사학회, 2014)
이강한, 「고려 충혜왕대 무역정책의 내용 및 의미」(『한국중세사연구』 27, 한국중세사학회, 2009)
전병무, 「고려 충혜왕의 상업활동과 재정정책」(『역사와 현실』 10, 한국역사연구회, 1993)
주석
주1

숙직하면서 지킴. 또는 그런 사람. 우리말샘

주2

임금 자리를 후계자에게 전하여 줌. 우리말샘

주3

성질이 고약하고 못된 짓을 하는 젊은이. 우리말샘

주4

고려 시대에, 왕실 재정을 맡아보던 관아. 충숙왕 17년(1330)에 내방고를 고친 것이다. 우리말샘

주5

황제를 호위한다는 명목으로 속국의 왕족들이 볼모로 가서 머물던 일. 또는 그런 지위. 우리말샘

주6

‘회흘’의 다른 이름. 우리말샘

주7

조선 중기 이후에 ‘평민’을 이르던 말.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1)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