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상건 ()

근대사
인물
한말, 일제강점기 의병운동과 대한민국임시정부에 참여하여 활동한 독립운동가.
이칭
이명
현상건(玄相健)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75년
사망 연도
1926년
출생지
경기도 개성
주요 경력
고종 황제 밀사
대표 상훈
건국훈장 애국장(1995)
내용 요약

현상건은 한말, 일제강점기 의병운동과 대한민국임시정부에 참여하여 활동한 독립운동가이다. 경기도 개성 출생으로, 1905년 을사늑약 이후 의병 활동에 투신하였다. 3·1운동 이후에는 대한민국임시정부 경기도 개성군 조사원으로 활동하였다. 중국 상하이에서 만국평화회의 밀사 파견 운동을 전개하였으며, 군자금 모금 등 항일운동에 앞장섰다.

정의
한말, 일제강점기 의병운동과 대한민국임시정부에 참여하여 활동한 독립운동가.
인적 사항

현상건(玄尙健)은 1875년 경기도 개성에서 출생하였으며, 이명은 현상건(玄相健)이다.

주요 활동

1903년 용암포사건(龍巖浦事件)을 계기로 러 · 일 양국 사이에 전쟁의 기운이 감돌자, 8월 광무황제( 고종)의 밀사로 러시아와 프랑스로 파견되어 전시국외중립(戰時局外中立)에 대한 유럽 각국의 승인을 획득하려고 노력하였다. 1904년 1월 21일 다시 광무황제의 밀명으로 중국 지부로 밀행하여 한국의 국외 중립을 선언하여 영국 · 프랑스 · 이탈리아 등 유럽 각국으로부터 중립화를 승인받는 데 큰 역할을 하였다.

귀국 후 1904년 2월 일제가 한일의정서(韓日議定書)를 강제 체결하자, 이용익(李容翊) · 이학균(李學均) 등과 함께 한일의정서 체결을 결사 반대하였다. 일제로부터 체포당할 위기에 처하자 손탁(Sontag)의 집에 피신한 뒤 중국 상하이로 망명하였다. 그 후 1905년 주1 이후 왕산(旺山) 허위(許蔿)가 의병을 일으켜 일본군을 상대로 항일 투쟁을 전개하기 위하여 군자금 모집을 독려하자 이에 호응하여 의병들에게 군자금을 제공하였다.

1909년에는 페트로그라드(지금의 상트페테르부르크)에 있는 이범진(李範晋)이 중심이 되고 러시아 주2이상설(李相卨) · 전명운(田明雲), 만주의 유인석(柳麟錫) 등과 함께 상하이에서 주3 밀사 파견 운동을 전개하여 한국이 자주독립 국가임과 일제의 만행을 세계 만방에 널리 알리고자 노력하였다.

1919년 4월 주5가 조직되자 평정관(評政官)으로 선임되어 국민대회를 개최하고 임시정부를 선포하였으며, 11월에는 대한민국임시정부의 경기도 개성군 조사원으로 임명되어 군자금 모집과 민족의식 고취 등 반일 투쟁에 적극적으로 앞장섰다.

상훈과 추모

1995년 건국훈장 애국장이 추서되었다.

참고문헌

단행본

황태연, 『갑진왜란과 국민전쟁』(청계, 2017)
류시중·박병원·김희곤 역주, 『국역 고등경찰요사』(도서출판 선인, 2010)
『대한민국임시정부 자료집 –조선민족운동연감』 별책 2(국사편찬위원회, 2009)
『한국민족운동사료』 중국 편(국회도서관, 1974)
『독립운동사』 5(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1973)
金正明 編, 『朝鮮獨立運動』 Ⅱ(原書房, 1967)
문일민, 『한국독립운동사』(애국동지원호회, 1956)

논문

백옥경, 「대한제국기 번역관 현상건의 활동」(『역사와 실학』 57, 역사실학회, 2015)

신문

『동아일보』(1926. 5. 24.)
『신한민보』(1919. 7. 10.)

인터넷 자료

공훈전자사료관(http://e-gonghun.mpva.go.kr)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http://db.history.go.kr)
주석
주1

대한 제국 광무 9년(1905)에 일본이 한국의 외교권을 빼앗기 위하여 강제적으로 맺은 조약. 고종 황제가 끝까지 재가하지 않았기 때문에 원인 무효의 조약이다.    우리말샘

주2

러시아의 동남쪽 끝에 있는 지방. 우리나라 동해에 접하여 있으며 두만강을 사이로 우리나라와 국경을 이루고 있다. 아연ㆍ석탄 따위의 지하자원이 많고 나무를 가공하는 산업이 발달하였다. 중심 도시는 블라디보스토크이다. 면적은 16만 5900㎢.    우리말샘

주3

제정 러시아 황제 니콜라이 이세의 주창으로 1899년과 1907년에 세계 여러 나라의 대표가 네덜란드의 헤이그에 모여 군비 축소와 세계 평화를 논의한 국제회의. 국제 분쟁의 평화적 처리 협약, 독가스 및 특수 탄환 사용 금지의 선언 따위를 채택하고 국제 중재 재판소를 설치하였는데, 2차 회의 때에 고종이 밀사를 파견하여 당시 일본의 대한 제국에 대한 부당한 간섭을 호소하고 밀서를 전달하려 하였으나 일본의 방해로 실패하였다.    우리말샘

주4

1919년 4월에, 서울에서 조선의 독립을 준비할 목적으로 세워진 임시 정부. 같은 해 9월에 중국 상하이에서 상하이 대한민국 임시 정부로 통합되었다.    우리말샘

주5

1919년 4월에, 서울에서 조선의 독립을 준비할 목적으로 세워진 임시 정부. 같은 해 9월에 중국 상하이에서 상하이 대한민국 임시 정부로 통합되었다.    우리말샘

집필자
성주현(1923 제노사이드연구소)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