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인지 서문 ( )

목차
관련 정보
언어·문자
개념
조선전기의 문신 · 학자 정인지가 작성한 『훈민정음』 해례의 서문. 『훈민정음』 ‘해례’ 「서문」.
이칭
이칭
『훈민정음』 ‘해례’ 「서문」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전기의 문신 · 학자 정인지가 작성한 『훈민정음』 해례의 서문. 『훈민정음』 ‘해례’ 「서문」.
내용

『훈민정음』은 9세종대왕](E0029857)이 작성한 「어제 서문」과 「예의」가 나오고 그 다음에 집현전 학사들이 작성한 ‘해례’가 이어진다. 그래서 「어제 서문」과 「예의」를 아울러 ‘본문’이라 칭하고 그 나머지, 즉 집현전 학사들이 새 문자의 제자 경위, 특성, 사용 방법 등을 설명하고 그 용례를 보여 준 부분을 ‘해례’라 칭한다. 「정인지 서문」은 『훈민정음』 ‘해례’의 「서문」이라 할 수 있다. 「정인지 서문」의 내용은 『훈민정음』의 ‘해례’를 집필하게 된 경위, 한자이두 사용의 불편함과 새 문자 창제의 동기와 필요성, 세종이 창제한 새 문자의 특징과 장점 등에 관하여 간략하게 설명하고 세종대왕의 뛰어난 업적을 찬양한 것인데, 집필자들을 대표하여 그 우두머리인 정인지가 작성하여 「정인지 서문」이라 한다.

「정인지 서문」에서는 먼저 풍토에 따라 말과 소리가 다름을 지적하고, 우리나라에서 한자를 빌려 썼으나 한자는 우리말에 맞지 않으며 신라 설총이 만들어 사용해 온 이두도 한자를 빌려 쓴 것이어서 한자 못지않게 불편하여 새 문자를 만들게 되었다고 설명하였다.

그리고 ‘훈민정음’을 계해년인 1443년 겨울에 세종대왕이 창제하였음을 말하고 새 문자의 성격을 “모양을 그리고 글자는 옛 전자를 본떠 소리로 인하여 음이 7조에 어울린다.”라고 설명한 다음, “천지인 삼극의 뜻과 음양이라는 이기의 묘함이 다 포괄되지 않음이 없다.”라고 칭송하였다. 이렇게 28자가 아주 교묘하게 잘 만들어졌기 때문에 지혜로운 사람은 나절이면 익히고 어리석은 사람도 열흘 안에 깨우칠 수 있다고 평가하였다.

이어서 새 문자인 훈민정음의 장점을 나열하였다. 첫째 이것으로써 한문을 풀이하면 그 뜻을 알 수 있고, 둘째 이것으로써 송사(訟事)를 심리하면 그 실정을 알 수 있고, 셋째 이것으로써 자운(字韻)의 음을 적으면 청탁을 능히 구분할 수 있고, 넷째 이것으로써 악가(樂歌)를 적으면 율려(律呂)를 극히 조화롭게 할 수 있다고 하면서, 세종대왕이 창제한 새 문자는 쓰는 데에 갖추어지지 않은 바가 없고 통달하지 않은 바가 없어서 바람 소리, 학의 울음소리, 닭의 홰치는 소리, 개 짖는 소리도 모두 이 글자로써 적을 수 있다고 칭찬하였다.

그리고 『훈민정음』 ‘해례’의 집필에 참여한 최항, 박팽년, 신숙주, 성삼문, 강희안, 이개, 이선로와 함께 새 문자에 대하여 요점만 간략히 요약한 줄거리를 서술하여 스승 없이도 깨우치도록 하였다고 설명하였다. 그리고 세종대왕은 하늘이 내신 큰 성인이어서 정음을 지은 것도 어떤 선인의 설을 이어받은 것 없이 자연으로 이룩하여 지극한 원리가 있지 아니한 바가 없다고 설명한 다음 우리 동방에 나라가 있은 지 오래지만 개물성무의 큰 지혜는 세종이 나타나 베풀기를 기다려 오늘에야 이루어지게 되었다고 세종대왕의 업적을 찬양하였다.

참고문헌

『훈민정음』(박창원, 신구문화사, 2005)
『훈민정음 연구』(강신항, 수정증보7판,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03)
『국어사개설』(이기문, 신정판, 태학사, 1998)
『음운과 문자』(김완진, 신구문화사, 1996)
집필자
김주필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