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진태 ()

경제
인물
구한말, 일제강점기 조선 경제계의 대표적 친일 기업가.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53
사망 연도
1933
출생지
경기도 양주
주요 경력
한성공동창고회사 사장, 대한천일은행 이사, 조선일보 초대 사장, 중추원 참의, 대정친목회 부회장
대표 상훈
한일병합 기념장, 일본 훈 4등 서보장, 쇼와천황 즉위기념 대례기념장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조진태는 구한말, 일제강점기 조선 경제계의 대표적 친일 기업가이다. 원래 무과에 급제하여 20년간 관직에 있었으나, 갑오개혁 직후에 퇴직하고 기업가로 변신하였다. 을사늑약 이후 일제의 식민지화 작업에 편승하여 경제계의 거물로 성장하였다. 한성은행, 대한천일은행, 조선상업은행 등 주로 금융계의 최고 경영자로 활동하였다. 친일 기업가로서 조선총독부 산업조사위원, 중추원 참의 등을 역임하며 일제의 식민 통치에도 적극 가담하였다.

정의
구한말, 일제강점기 조선 경제계의 대표적 친일 기업가.
인적사항

조진태는 1853년 경기도 양주에서 출생하였다. 20대 초반인 1875년 무과에 급제하여 관직에 나갔고, 이후 1895년까지 20년간 주1. 무관으로서는 최고위직인 주2에 올랐고 방어사주3를 지냈다. 퇴직 직전인 1894년에는 순무영 주4 군관으로 동학농민군의 진압에 주5

기업인으로의 변신

40대 초반이었던 1895년 관직을 떠나 군부피복회사(軍部被服會社)를 설립하고 기업인으로 변신하였다. 오랜 관직 생활을 떠난 직접적 계기는 명확하지 않으나, 갑오개혁에 의한 군부의 관제 개혁의 영향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한다. 군부피복회사는 이름에서 보듯이 군부에 주6과 군복을 납품하는 회사이다. 공직 생활 동안 축적된 인맥과 주7의 특혜에 기댄 사업이었다. 사업은 잘되었던 것으로 보이며, 기업가로서의 활동 폭도 점차 넓어졌다. 1897년, 새롭게 마차 회사 경영을 시작했고, 1899년에는 대한천일은행 설립에 참여하였다.

주요 활동

1900년대에 들어서면서 이미 조선 재계의 대표 인물로 성장해 있었다. 특히 을사늑약으로 일제 통감정치가 시작되고 한국의 식민화 작업 수행을 위해 대한제국 재정고문으로 파견된 메가타 다네타로[目賀田種太郞]의 신망을 얻으면서 급성장하였다. 1905년 경성상업회의소 설립 발기인이었고, 이후 회장을 역임하였다. 1906년, 한성농공은행 설립위원, 1908년 한성은행 감사, 동양척식주식회사 설립위원, 그리고 이후 1925년까지 감사를 맡았다. 1909년에는 한성공동창고주식회사 사장이 되었다.

이 시기에 오면 친일 기업가로서의 모습이 보다 적극적으로 나타났다. 1907년 재정 고문 메가타가 일본으로 돌아가게 되자 ‘메가타 남작 송별회’의 주8을 맡았고, 1909년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9]의 장례식에 경성상업회의소 대표로 참가했다. 1912년, 메이지[明治] 일본 왕이 사망했을 때도 주10을 만들어 무료 배포하고, 한편으로 경성부 대표 자격으로 일본을 방문하여 조문했다.

일제강점기 조선 재계에서 위상은 더 높아졌다. 1912년 조선상업은행 은행장, 1916년 다이쇼[大正]실업친목회 발기인, 1918년 주11 설립위원과 상담역, 1920년 조선일보사 초대 사장, 1921년 조선총독부 주12 위원, 1926년 조선철도주식회사 이사가 되었다. 1927년에는 조선총독부 자문(諮問) 기구인 중추원 칙임관 대우 참의로 임명되어 1933년 사망할 때까지 직위를 유지하였다.

참고문헌

단행본

오미일, 『근대 한국의 자본가들-민영휘에서 안희제까지, 부산에서 평양까지』(푸른역사, 2014)
이승렬, 『제국과 상인』(역사비평사, 2007)
친일인명사전편찬위원회, 『친일인명사전』(민족문제연구소, 2009)

인터넷 자료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https://db.history.go.kr)
대한민국 신문아카이브(https://nl.go.kr/newspaper)
주석
주1

공직에 종사하다. 우리말샘

주2

조선 시대에, 오위의 군사를 거느리던 장수. 종이품의 관원으로 12명을 임명하였는데, 임진왜란 뒤에 정삼품으로 하고 인원도 15명으로 늘렸으나 실권은 훈련도감에 빼앗겼다. 우리말샘

주3

인동은 현재 경북 구미와 칠곡 지역이다.

주4

부하, 식구, 제자 등을 거느림. 우리말샘

주5

조진태가 무관 출신이 아닐 가능성에 대한 연구도 있다. 이승렬은 당시에는 일정한 재력을 가진 상인들이 허직으로 무반직을 받는 일이 많았기 때문에 무반 출신으로 단정하기 어렵다고 하였다. 오히려 포전(布廛)조합에 가입한 시전(市廛) 상인 출신일 가능성을 제기하였다(이승렬, 『제국과 상인』, 역사비평사, 2007, 117~119쪽).

주6

베와 무명을 아울러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7

전에 그 벼슬자리에 있던 벼슬아치. 우리말샘

주8

어떠한 일을 평의하는 데 참여하는 사람. 우리말샘

주9

일본의 정치가(1841~1909). 막부 정권 타도에 앞장섰으며, 총리대신과 추밀원 의장을 지냈다. 주한 특파 대사로서 을사조약을 강제로 체결하였으며, 1905년에 초대 조선 통감으로서 우리나라 국권 강탈을 준비하던 중, 1909년에 하얼빈에서 안중근 의사에게 피살되었다. 우리말샘

주10

상중에 있거나 죽음을 슬퍼하는 뜻을 나타내기 위하여 옷깃이나 소매 따위에 다는 표. 보통 검은 헝겊이나 삼베 조각으로 만들어 붙인다. 우리말샘

주11

1918년에 산업 기관에 자금을 대출할 목적으로 설립한 특수 은행. 동양 척식 주식회사의 실질적인 지배를 받으면서 일제의 한국에 대한 경제적 침략에 큰 역할을 하였으며, 광복 이후 한국 식산 은행으로 되었다가 1952년에 한국 산업 은행에 흡수되었다. 우리말샘

주12

1921년에 일제가 식민지 조선의 산업 전반을 조사하려고 만든 기구. 우리말샘

집필자
배석만(카이스트)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