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사(判事)
조선시대 도평의사사·중추원·돈녕부·의금부 등 1품에서 3품까지의 관직. # 내용
고려시대의 판사는『고려사』 백관지(百官志)에 의하면, 재신을 비롯한 타관(他官)이 겸직하는 관직이었다.
상서육부와 제사의 경우, 상서육부에는 정3품의 상서(尙書)가 장관으로 되어 있고, 비서성 등의 제사에는 정3품·종3품의 경(卿), 종3품·정4품의 감(監)이 장관으로 되어 있었는데도 그 위에 재신 또는 정3품·종3품의 타관이 겸대하는 판사를 따로 두어 이중적 권력체제를 이루었다.
이와 같이, 고려시대에 특수한 권력구조를 가지고 있던 판사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