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사복시(內司僕寺)
조선시대 왕의 말과 수레를 관리하던 관청. # 내용
고려시대에 내구(內廄) 관리는 상승국(尙乘局)의 여러 기능 중에 하나였으나, 조선 건국 후 내사복시의 전담기능으로 독립되었다. 관원으로는 내승(內乘) 3인이 있었는데, 1인은 사복시정이 겸임하였고, 나머지 2인은 종2품에서 9품까지의 관원이 통틀어서 겸임하였다.
이 인원은 연산군 때 잠시 7인으로 늘어났으나, 중종 즉위와 함께 환원되었다. 그러나 왕이 경희궁으로 이어할 때는 1인을 더 두는 것이 관례였다. 이 밖에 이속으로 서리 5인이 있었는데, 이들은 모두 사복시로부터 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