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공(老公)
어느 나이부터 노인인가에 대해서는 시대마다 다른데,『예기(禮記)』에는 60세를 기(耆), 70세를 노(老)라고 부른다고 되어 있다. 수(隋)에서는 60세 이상을 노라 하였는데, 당 이후에도 기본적으로 이를 답습하였다. 그러나 신라에서는 정 위에 제(除)와 노의 두 개 연령등급이 설정되어 있었다. 김유신이 70세가 되자, 노라 하여 궤장(几杖)을 내려준 사실이 있어 신라에서는 제가 60세, 노가 70세 이상일 가능성도 있다. - 『신라촌락사회사연구』(이인철, 일지사, 1996) - 「신라 통일기 왕실의 촌락지배」(윤선태,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박사학위논문, 2000) - 「신라균전성책의 분석을 통해본 촌락지배의 실태」(兼若逸之, 연세대학교 사학과 박사학위논문, 1984) - 「신라의 율령고」(전봉덕,『서울대학교논문집 인문사회』4, 19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