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산창(駕山倉)
가산창은 1760년(영조 36) 진주에 설치되어 경상도 서남부 일대의 세곡을 보관하던 조창이다. 17세기 이후 경상도의 세곡은 서울의 경강선 또는 군현이 보유하고 있는 지토선 등으로 운반하였다. 그러나 이 선박들은 국가에서 관리하는 선박이 아니었기 때문에 선주들의 농간이 개입될 여지가 많았다. 조선왕조는 경상도의 세곡 운송을 공적인 영역으로 전환하고자 진주, 창원, 밀양 등 3곳에 각각 조창을 설치하였다. 그중 가산창은 진주, 곤양, 하동, 단성, 남해, 사천, 고성 등 7읍의 세곡을 보관하고 운송하였다.각 조창에는 총책임자인 도차사원(都差使員)과 조운선을 이끌고 항해하는 인솔자 영운차사원(領運差使員)이 각각 임명되었는데 가산창의 경우 진주목사가 도차사원을, 적량진첨절제사(적량첨사)가 영운차사원을 각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