낭랑산성 ()

목차
관련 정보
중국 슈옌현 낭랑산성 전경
중국 슈옌현 낭랑산성 전경
건축
유적
중국 요령성 안산시 수암만족자치현(岫巖滿族自治縣) 양가보향(楊家堡鄕) 낭랑성촌(娘娘城村)에 있는 삼국시대 고구려의 포곡식 석축 성곽. 산성.
목차
정의
중국 요령성 안산시 수암만족자치현(岫巖滿族自治縣) 양가보향(楊家堡鄕) 낭랑성촌(娘娘城村)에 있는 삼국시대 고구려의 포곡식 석축 성곽. 산성.
내용

수암현성의 동남 10여km 위치에 자리잡고 있는데, 청석관(靑石關)이라고도 하였다.

산성의 남쪽에는 신개령하(新開岭河)가 흐르고 있으며, 산정에서 사방을 조감할 수 있고 교통이 편리하기 때문에 군사적 요충지로서 적합한 지리적 형세이다. 성안에는 1839년에 창건한 작은 낭랑묘(娘娘廟)가 있어, 낭랑산성이라 부르게 된 것이다.

낭랑산성은 전형적인 포곡식(包谷式) 산성으로 내성(內城)과 외성(外城)으로 나뉘는데, 내성의 길이는 2.8여km에 이르고, 외성은 약 2.4km이다. 외성은 반원형으로 내성에 이어져 있다.

성벽은 산 능선을 따라 잘 다듬어진 돌로 쌓은 석축(石築)산성인데, 문화대혁명 때 많이 파괴되었으나 서쪽의 산능선 부근의 300여m가 비교적 완전한 형태로 남아 있는 편이다. 현재 남아 있는 성벽의 높이는 대략 3∼9m, 너비는 상단부가 2.5∼3m 정도이다.

동서남북에 모두 문지(門址)가 있으며 계곡 입구에 자리잡은 동문(東門)이 폭이 3m 정도로 가장 규모가 크며 정문의 기능을 하였다. 또 방어 능력을 높이기 위하여 동문의 남쪽에는 3개의 치(雉 : 성벽에 돌출시켜 쌓은 성벽)가 설치되어 있었으나 현재는 많이 무너져내렸다.

성안에는 저수지가 있고, 성의 서북쪽에는 3단으로 축조한 봉수대(烽火臺)가 설치되어 있는데, 지금은 상당히 무너진 상태이다. 또 성 남쪽의 험준한 곳에 연개소문(淵蓋蘇文)의 동생 연개소영(淵蓋蘇英)의 무덤으로 전하는 대형 분묘유적이 있는데, 만주국 때 일본인에 의하여 파괴되었다.

이 산성은 규모나 지리적 위치로 보아 고구려 당시에도 군사적으로 매우 중요한 요충지였을 것으로 보이며, 대체로 고구려의 적리성(積利城)으로 추정되고 있다. 적리성에 관한 문헌기록으로는 당태종의 대규모 침략이 실패하고 2년 후인 647년(보장왕 6)에 당의 장군 우진달(牛進達) 등이 석성을 쳐서 함락하고 이어 적리성을 공격한 기록이 있다.

이 기록에서 석성을 요령성 장하현(莊河縣)의 성산산성(城山山城)으로 비정할 경우, 당시 작전의 전개 방향으로 볼 때 낭랑산성이 적리성일 가능성이 크다. 이 밖에 《삼국사기》 지리지 4에 수록된 〈목록 目錄〉에 고구려 멸망기에 압록강 이북의 도망한 7성(城)의 하나로 기록되어 있다.

참고문헌

『삼국사기』
『당서(唐書)』
『遼寧文物古蹟大觀』(遼寧省文物管理委員會, 遼寧大學出版社, 1994)
『高句麗の歷史と遺蹟』(田中俊明, 中央公論社, 1995)
집필자
임기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