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과목병입사기 ()

불교
문헌
조선 후기, 승려 연담 유일이 당나라 승려 규봉 종밀(圭峰宗密, 780~841)이 지은 『도서』를 과목을 만들어 체계화한 후 이를 해설하는 사기를 덧붙인 주석서.
문헌/고서
편찬 시기
조선 후기
간행 시기
1797
저자
연담 유일(蓮潭有一)
권책수
1권
소장처
동국대학교, 국립중앙도서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도서과목병입사기(都序科目幷入私記)』는 화엄종의 제5조인 종밀이 선종의 자료를 모아서 찬술한 『선원제전집』 100권에 대한 자서(自序)라고 할 수 있는 『도서』에 대해 과단을 나누고 차례대로 풀이한 주석서이다. "사기"란 경론, 어록 등을 해석한 글을 말하는 것으로 사사로운 견해를 덧붙인다는 뜻의 겸칭이다. "과목"이란 경론 등을 주석할 때 전체를 일목요연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내용을 나눈 것이다. 유일은 『도서』에 대해 과목을 만들어 체계화하고 본문을 해석하여 자신의 사상을 드러내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 승려 연담 유일이 당나라 승려 규봉 종밀(圭峰宗密, 780~841)이 지은 『도서』를 과목을 만들어 체계화한 후 이를 해설하는 사기를 덧붙인 주석서.
서지사항

『도서과목병입사기(都序科目幷入私記)』는 1796년(정조 20)에 1권 1책의 목판본으로 간행되었다. 이 책의 서두에는 1797년(정조 21) 유일이 쓴 「자서(自序)」가 수록되어 있다. 동국대학교에 소장된 1798년 간행본(刊行本)을 저본(底本)으로 하여 편찬한 책이 『한국불교전서』 10책에 수록되어 있다. 『도서과목병입사기』는 유일의 또 다른 저술인 『법집별행록절요과목병입사기』와 합철되어 있다.

내용

유일은 이 책의 「자서」에서 " 상봉 정원(霜峰淨源)이 처음으로 『선원제전집도서과문(禪源諸詮集都序科文)』을 지었으나 그 내용이 너무 간략하여 아직 부족한 면이 있었다. 뒤를 이어 설암 추붕(雪岩秋鵬)『선원제전집도서과평(禪源諸詮集都序科評)』을 짓고 회암 정혜(晦庵定慧)가 『선원제전집도서착병(禪源諸詮集都序着柄)』을 지음으로써 비로서 자세한 해석이 이루어졌다. 세 가지 책은 뒤로 갈수록 완성되어 정혜의 글이 가장 뛰어나다"라고 하였다. 이처럼 유일은 「자서」를 통해 이전에 편찬된 『선원제전집도서(禪源諸詮集都序)』에 대한 주석서들을 평가하였다.

『도서과목병입사기』의 본문은 『도서』의 "과목"을 도표로 제시하고 본문을 풀이하는 형식으로 서술되어 있다.

유일은 종밀(宗密)이 선종교종이 서로 다투고 돈교(頓敎)와 점교(漸敎)를 주장하며 서로 다투는 폐단을 제거하기 위해 『도서』를 지은 것으로 파악하였다. 그래서 유일은 『도서』의 핵심 요지가 돈오점수(頓悟漸修)에 있다고 주장하였다. 유일은 특히 정려가 돈오점수를 이지(理智)로 파악한 것에 대해서 사지(事智)로 보아야 한다고 하며 정려의 견해를 반박하였다. 그러나 정혜는 돈오점수(頓悟漸修)를 이지(理智)로 해석하는 것은 문제의 소지가 있다고 지적하고, 사지(事智)로 이해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종밀이 『도서』를 집필한 주된 이유는 8세기 말 9세기 초에 분열되어 있던 중국 불교계를 통합하기 위한 것이었다. 당시 교학자와 수행자 사이에 분열이 있었고, 선 수행자 내에서도 여러 종파가 분열하고 있었다. 종밀은 이렇듯 분열하고 있는 선종과 교종의 여러 종지를 일부에 국한해서 보면 모두 잘못이지만 회통(會通)하여 보면 모두 옳다는 입장을 근간으로 하여 불교계를 통합하고자 하였다. 유일은 이러한 종밀의 입장을 계승한 것이다.

『도서과목병입사기』는 유일이 책을 집필한 장소였던 전라남도 해남 대흥사(大興寺)를 비롯하여 도갑사(道岬寺) · 보림사(寶林寺) · 내장사(內藏寺) · 선운사(禪雲寺) 등의 강원에서 교리를 연구하는 학인들에게 참고서로 이용되었으며, 이후 점차 전국적으로 보급되었다.

참고문헌

단행본

이정희, 「도서과목병입사기 해제」(동국대학교 불교학술원, 『한국불교전서편람』, 2015)

논문

이진영, 「연담유일의 선사상」(『한국선학』 30, 한국선학회, 2011)

인터넷 자료

원각사성보박물관(http://www.wongaksa.or.kr/g4/bbs/board.php?bo_table=junggak_09&wr_id=1716&page=)
동국대학교 불교학술원 불교기록문화유산 아카이브(https://kabc.dongguk.edu/)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