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산집 ()

유교
문헌
조선 후기부터 개항기까지 생존한, 학자 이운정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6년에 간행한 시문집.
문헌/고서
간행 시기
1936년
저자
이운정(李運楨)
편자
이종현
권책수
6권 3책
판본
석인본
표제
방산집(方山集)
소장처
국립중앙도서관, 경기대학교 도서관, 고려대학교 도서관, 대구가톨릭대학교 중앙도서관, 동국대학교 중앙도서관, 충남대학교 도서관, 성암고서박물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방산집』은 조선 후기부터 개항기까지 생존한 학자, 이운정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6년에 간행한 시문집이다. 유치명의 제자로서 저자는 주희·도연명·이언적·이황·유치명 등의 작품에 차운한 시를 지어 영남의 주자학자로서의 면모가 드러난다. 유가 경전과 예학에 대한 논의를 펼친 편지 또한 수록되어 있다.

정의
조선 후기부터 개항기까지 생존한, 학자 이운정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6년에 간행한 시문집.
저자 및 편자

저자는 이운정(李運楨), 편자는 이종현(李鍾炫)이다.

서지사항

6권 3책. 석인본. 국립중앙도서관, 경기대학교 도서관, 고려대학교 도서관, 대구가톨릭대학교 중앙도서관, 동국대학교 중앙도서관, 충남대학교 도서관, 성암고서박물관 등에 있다.

편찬 및 간행 경위

1936년 저자의 재종손인 이종현에 의해 편집, 간행되었다.

구성과 내용

서문은 없고, 권말에 이종현의 발문이 있다.

권1·2는 시 297수, 권3·4는 소(疏) 1편, 서(書) 50편, 잡저(雜著) 15편, 잠(箴) 5편, 명(銘) 7편, 찬(贊) 2편, 권5·6은 서(序) 9편, 기(記) 10편, 발(跋) 8편, 상량문(上樑文) 2편, 축문(祝文) 2편, 제문(祭文) 17편, 뇌문(誄文)·유사·묘갈명 각 1편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시에는 주희(朱熹)·도연명(陶淵明)· 이언적(李彦迪)· 이황(李滉)· 유치명(柳致明) 등의 작품에 차운한 것들이 있다. 또한 익재(益齋) 이제현(李齊賢)의 문집에 실려 있는 이제현 초상화를 보고 느낀 감회를 적은 시 「독익재선생유집, 홀어권수, 엄대진상, 송연숙경, 익절감모, 수주유운(讀益齋先生遺集, 忽於卷首, 儼對眞像, 悚然肅敬, 益切感慕, 遂足遺韻)」도 특기할 만하다.

서(書)에서는 그의 학문에 대한 해박한 지식을 엿볼 수 있다. 별지와 문목에는 『중용』『근사록(近思錄)』 등 경전에 관한 질의·응답과 상례(喪禮)와 혼례 등 예설에 관한 해설 등 당시 선비들의 면모를 대변하는 작품이 많다. 유치명의 제자로서 스승에게 보낸 편지가 7편이나 실려 있다.

잡저의 「치포설(治圃說)」은 선비와 농사에 대한 불가분의 관계를 밝힌 것이다. 공자(孔子)와 번지(樊遲)의 문답을 인용하여 대의를 밝히고, 이윤(伊尹)과 부열(傅說) 등의 현인들도 미천했을 때 학문을 연구하면서 농사를 지어 보신하는 계책을 삼은 것을 설명하면서 농사가 천하의 대본임을 주장한 글이다.

「축사문(逐蛇文)」은 서재에 들끓는 뱀을 몰아내기 위해 지은 것으로, 한유(韓愈)의 「제악어문(祭鱷魚文)」을 모방한 것이다. 뱀과의 대화에서 생명을 소중하게 여겨 죽이지 못하니 스스로 물러가서 비명에 죽는 일이 없도록 하라고 권유하면서 동물에 대한 깊은 애정을 표시한 글이다.

그밖에도 아침에 글을 배워서 밤늦도록 읽을 것을 맹세한 「조익모습잠(朝益暮習箴)」과 잠을 적게 자고 새벽에 일어나서 밤늦도록 공부를 하겠다는 결심을 나타낸 「숙야강학잠(夙夜講學箴)」이 있다. 이 글들은 독서와 학문에 대한 기본을 규정한 것으로, 선비들의 마음가짐을 굳게 하는 데 필요한 금언(金言)이라 하겠다.

의의 및 평가

정재(定齋) 유치명 이후 퇴계학파의 학문적 향방을 간취할 수 있는 문헌이다.

참고문헌

인터넷 자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이운정)(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45327)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