율리유곡 ()

목차
관련 정보
율리유곡
율리유곡
고전시가
작품
조선 중기에 김광욱(金光煜)이 지은 연시조.
목차
정의
조선 중기에 김광욱(金光煜)이 지은 연시조.
내용

조선 중기에 김광욱(金光煜)이 지은 연시조. 모두 14수로, ≪청구영언≫·≪해동가요≫ 등의 가집에 수록되어 있다. 강호가도(江湖歌道) 계열의 전원시가(田園詩歌)이다. “陶淵明(도연명) 죽은후에 ᄯᅩ연명이 나닷말가/밤ᄆᆞ을 녯일홈이 맛초와 ᄀᆞᆺ틀씨고/돌아와 守拙田園(수졸전원)이야 긔오내오 달으랴”(제1수) 하여 도연명의 전원생할의 소박[守拙]을 이상으로 삼고 있다.

벗을 만나면 “열어날 줄렷ᄯᅳᆫ입이니 ᄃᆞᆫ아쓴아 먹으리라”(제3수) 하여 벗과 술병을 기울이고, 농사의 여가에는 여러 사람과 어울려 “崔行首(최행수) 쑥달힘하새 趙同甲(조동갑) ○달힘하새”(제14수) 하며 강(講)을 즐기고, 이리하여 “내몸을 내몸을 내ᄆᆞ자니즌이 ᄂᆞᆷ이 안이니즐야”(제2수)라고 세상의 시끄러움을 잊어버린다는 내용이다.

조선시대의 전원시가는 이렇듯 농촌생활의 소박을 동경하였으며, 그리하여 한적(閒寂)의 미를 추구하였다. 관념적인 말이 없고, 소재도 농촌의 생활에서 취하여, 형상이 소박에 맞추어졌다. 특히 보리술·풋죽·쑥달임·꽃달임·닭찜·게찜 등의 소재를 통하여 농촌생활의 담박함을 나타내었다.

참고문헌

『한국문학사』(조윤제, 동국문화사, 1963)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최진원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