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일원론 ()

목차
관련 정보
유교
개념
성리학에서 이(理)를 우주의 근원적 존재 또는 유일한 근원적 존재가 아니더라도 분열된 존재가 아니라 통일된 존재라고 설명하는 성리학이론.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이일원론은 성리학에서 이(理)를 우주의 근원적 존재 또는 유일한 근원적 존재가 아니더라도 분열된 존재가 아니라 통일된 존재라고 설명하는 성리학 이론이다. 중국 한나라 이후 불교의 전파와 더불어 이(理)의 개념이 중요해졌다. 송대에는 유교 철학의 형이상학적 근거로 태극, 도, 천과 함께 이(理) 또는 기(氣)가 궁극 존재로 개념 정립을 하게 되었다. 고려 말에 성리학이 수용되면서 이(理)와 기(氣)는 이기론, 사단칠정론 등 다양한 사상적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조선 시대 주류를 이루었던 주자학파는 이(理)를 근원적 궁극 존재로서 높이 평가하였다.

목차
정의
성리학에서 이(理)를 우주의 근원적 존재 또는 유일한 근원적 존재가 아니더라도 분열된 존재가 아니라 통일된 존재라고 설명하는 성리학이론.
내용

전자의 경우가 근원적 존재의 일원성을 주장한다면, 후자의 경우는 이의 일원성을 강조한다.

이일원론은 이원론(二元論) 및 다원론(多元論)과 더불어 우주의 근원적 존재가 한 가지 또는 두 가지나 여러 가지로 이루어졌다는 인식의 이론의 하나다. 이 때 그 근원적 존재가 무엇이냐에 관한 이해에 따라 그 종류가 여러 가지임을 강조하기도 하고 한 가지로 통일되어 있음을 강조하기도 한다.

인간은 경험적으로 우주의 다양한 존재 현상을 직접적으로 자각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존재 현상의 다양성을 넘어서 그 근원을 탐구하려고 할 때에, 일원론의 경우 우선 모든 현상적 다양성은 하나의 근원적 존재에서 나왔다는 생성론적(生成論的)인 일원론을 취할 수도 있다. 그리고 그 다양성을 가능하게 하는 원리의 통일성을 파악하는 본체론적(本體論的)인 일원론을 취할 수도 있다.

가 근원적 존재라는 생성론적인 경우보다 논리적인 일원론이 중심을 이루고 있다고 하겠다. 이가 만물의 생성적인 존재 근거라고 보는 경우도 가능하지만, 대체로 이는 존재 현상의 본체론적 근거로 이해되는 것이다.

이에 상대되는 개념은 기(氣)로 제시된다. 송대 이후 이 · 기는 존재의 형식과 양상을 설명해 주는 기본 개념을 이루어 왔다. 기는 사물을 형성하는 기본 질료거나 만물의 질료적 전체를 의미하고 있기 때문에 생성론적 근원의 의미를 갖기도 한다.

그런데 이는 현상의 본체적 근거이거나 지배 원리를 의미하고 있기 때문에 생성론적인 존재 근거로 파악하려는 것은 잘못된 것으로 비판받아 왔다. 여기서 이일원론은 우주의 궁극적 존재는 실질적으로 이뿐이라는 유리론(唯理論)과, 궁극적 존재의 기본 양식의 하나로서 이는 본질적으로 통일적 존재라는 이일론(理一論)으로서 분석해 볼 수 있다.

궁극적 존재에 관한 유교 철학의 경전적 개념은 우선 ≪ 주역≫에서 언급된 ‘태극(太極)’이나 경전의 일반적인 용어로 ‘천(天)’ 또는 ‘도(道)’를 들 수 있다. 그리고 ≪ 맹자≫는 이와 기의 개념이 나타나기 시작하는 단계라 할 수 있다. ≪노자 도덕경≫ · ≪장자≫ · ≪열자≫ 등 도가 철학에서도 ‘도’ · ‘자연’ · ‘박(樸)’ · ‘태역(太易)’ · ‘기’ 등이 궁극 존재로 제시되면서 철학적 논의가 심화되어 갔다.

또한, 한대(漢代) 이후 불교의 전파와 더불어 이의 개념이 궁극 존재의 의미로 강화되었다. 그리고 송대에는 유교 철학의 형이상학적 근거에 대한 탐구와 더불어 태극 · 도 · 천과 함께 이 또는 기가 궁극 존재로 확고한 개념 정립을 보게 되었다.

≪태극도설≫에서 주돈이(周敦頤)는 “무극이면서 태극이다(無極而太極)”라고 말했다. 여기에서의 태극을 주희(朱熹)가 “조화(造化)의 추뉴(樞紐)요, 만물의 근저(根柢)”라고 정의했는데, 이는 태극이 근원적 궁극 존재임을 확인한 것이다.

그리고 태극을 무극으로 해명한 것은 방소(方所)나 형상이 없다는 것을 말한다고 하면서, 형상이 없으나 이가 있음을 말한 것이라고 주희는 해명하였다. 따라서, 주희에 의하면 태극은 형상적인 것을 넘어선 것이며, 물질적인 분할이 불가능한 통일체가 곧 이다. 여기서 태극은 곧 이고, 이 이를 만물의 근거인 본체로서 통일체로 파악되는 이일원론이 제시된다.

그러나 주희에게 있어서는 본체로서의 태극 내지 이와 더불어 현상적인 다양성을 형성하는 음양(陰陽), 곧 기의 존재도 확고하게 인식되고 있다. 따라서, 이는 태극으로서 본체론적인 유일의 근본 존재라는 의미와 더불어 물질적 분할 가능성을 초월한 통일체라는 의미를 함께 내포하고 있다. 또한, 주희는 태극으로서의 이와 음양으로서의 기를 서로 분별될 수 있는 두 가지의 근원적 존재로 인정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기이원론’의 주창자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기의 관계에 대해서 주희는 한편으로는 “이와 기는 단연코 두 가지”라고 주장하면서도, 다른 한편에서 실재하는 것으로서의 이와 기는 분별해 파악할 때에는 둘이고 합해서 파악할 때는 하나라면서 “둘이면서 하나이고 하나이면서 둘(二而一 一而二)”이라는 양면적 관계로 해명하였다. 여기에서 이와 기가 이원적이냐 일원적이냐 하는 문제는 형식적으로 단정할 수 없는 복합적 의미를 지니는 것이다.

한편, 주희는 이와 기의 관계를 단순히 평행적 관계로만 해명하고 있지 않다. 그는 현상적으로는 이와 기가 병존하지만, 논리적으로는 이가 기에 앞선다는 ‘이선기후설(理先氣後說)’을 제시해 기에 대한 이의 근원적 우위성을 내세움으로써 이원론에 머물지 않는 일원론적 측면을 보여 주기도 한다.

주희의 사상은 심성론(心性論)의 문제와 관련해 성(性)이 곧 이라는 성즉리설(性卽理說)로 나아갔다. 이에 비해 육구연(陸九淵)이나 왕수인(王守仁)은 심(心)이 곧 이라는 심즉리설(心卽理說)을 내세워 주희와는 대립되는 견해를 보여 주었다.

그러나 육구연과 왕수인의 경우에도 궁극 존재의 본질적 양상은 이라고 주장한다. 따라서 이일원론은 그들에게 있어서 오히려 강화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고려 말에 성리학이 수용되어 정착되면서 이가 학문의 근본 과제로 되었다. 이는 이색(李穡)정몽주(鄭夢周)를 가리켜 ‘동방 이학(東方理學)의 시조’라고 지적한 데에서도 알 수 있다.

정도전(鄭道傳)≪심기리편(心氣理篇)≫에서 불교의 근본 개념을 심으로, 도가(道家)의 근본 개념을 기로, 그리고 유교의 근본 개념을 이로 배당함으로써 유교 철학에서 이의 궁극성을 지적하였다. 그리고 그는 이 이가 천지에 앞서 존재하는 것이요, 기도 이로 말미암아 생기는 것이라고 언급하였다.

권근(權近)≪입학도설(入學圖說)≫에서 "만물은 하나의 태극에서 유출되는 것이므로 만물은 하나의 이를 갖추었고, 만물이 갖춘 이는 하나의 원천에서 나온 것이며, 풀 한 포기 나무 한 그루도 각각 하나의 태극을 갖추고 있다."고 한다. 태극, 곧 이는 하나의 통일적 궁극 존재이면서 만물에 보편적으로 내재하고 있음을 확인시켜 준 것이다.

그는 또한 천(天)을 일(一)과 대(大)의 두 글자로 분석하면서 하나[一]라는 의미는 이로써 말하면 상대가 없는 것이라면서 이의 본질이 일원적 통일성이라고 해석하였다.

이언적(李彦迪)은 태극론을 쟁점으로 부각시키면서 궁극 존재의 개념을 더욱 엄밀하게 규정하였다. 그는 태극이 도의 본체며 모든 조화의 영요(領要)라 하였다. 그리고 충막무짐(沖漠無朕)한 가운데 모든 형상을 갖추고 있는 천 · 지 · 일월 · 귀신 · 풍우 · 성명(性命) · 윤리 등 모든 현상의 본말(本末)이 하나의 이[一理]로 꿰뚫려 있다면서 태극, 곧 이의 궁극적 일원성을 강조하였던 것이다.

조선시대 성리학의 철학적 깊이와 수준을 열어준 인물인 이황(李滉)기대승(奇大升)과 벌인 사단칠정논쟁(四端七情論爭)을 통해 이기론의 기본 문제를 철저하게 검토하였다. 그는 이가 지극히 허(虛)하면서 지극히 실(實)하다거나, 지무(至無)이면서 지유(至有)하다고 하여, 무극이면서 태극이라는 개념과 일치시키고 있다.

또한, 그는 이는 털끝만큼도 증가나 감소가 있을 수 없고 음양 · 오행(五行)과 만물 · 만사의 근본이라고 이가 궁극적 실체임을 명백히 설명하였다.

그렇지만 기대승과 사단칠정논쟁의 발단에서부터 보여 주었던 것처럼, 그는 사단을 이의 발동으로, 칠정을 기의 발동으로 분별한다. 그의 주장이 이기이원론적 성격을 띠고 있음을 말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 논쟁의 전개과정에서 그는 “사단은 이가 발동하지만 기가 따라가고, 칠정은 기가 발동하지만 이가 타고 간다(四端理發而氣隨之 七情氣發而理乘之).”고 이와 기를 결합시키고 있지만, 이것은 역시 이기호발설(理氣互發說)로서 이원론적 성격을 버리지는 못했던 것이다.

한편, 그도 “이와 기는 서로 떠날 수도 없고 서로 혼동할 수도 없다(理氣不相離而不相雜).”는 주희의 주장을 기본 전제로 받아들이고 있다. 그리하여 그가 비록 서로 혼동할 수 없다(不相雜)는 측면을 강조하였다고 할지라도 엄격한 이원론에 그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그의 주장은 이기일원적이원론(理氣一元的二元論)이라고 규정하는 것이 좀더 사실에 접근하는 것으로 보인다.

더구나 그는 이의 우위성을 강조해, 이는 지극히 존귀해 상대가 없으며 사물에 명령을 하지 명령받지 않는다면서 기가 이를 이길 수 없다고 주장한다. 그리고 이렇게 이존론(理尊論)의 입장을 지키고 있는 만큼 그도 이일원론의 기본 입장을 포지(抱持)하고 있다고 하겠다.

이이(李珥)는 이황과 쌍벽을 이루는 성리학의 석학으로서 이와 기가 서로 떠날 수 없음을 강조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이와 기의 통일성을 그는 ‘이기의 묘(理氣之妙)’라고 표현하기도 하였다. 그는 “이는 발동하지 않고 소이연(所以然)의 원리이며, 모든 발동하는 것은 기의 작용이라 하여, 기가 발동하고 이는 타고 가는 한 가지 길이 있다.”라면서 기발이승일도설(氣發理乘一途說)을 내세웠다. 이렇게 일원적 통일성을 강조하는 것이 그의 철학적 입장이 지닌 특성이다.

또한 그는 이의 근원적 통일성을 중시해 정 · 주(程朱)의 이일분수설(理一分殊說)을 계승하면서, 동시에 이와 기의 관계를 이는 융통하는 보편적이고 형이상적인 존재지만 기는 국한되는 형이하적 존재라고 이통기국설(理通氣局說)을 제안하였다. 즉, 그의 이 개념이 이일원론에 일치하는 것은 사실이지만, 다른 한편에서 그에게 있어서는 기 역시 또 하나의 궁극성을 지니고 있어서 이 속에 흡수될 수 없는 존재다. 따라서 그의 주장은 이기이원적 일원론(理氣二元的一元論)으로 규정하는 것이 적절할 것이다.

16세기에 이황과 이이 사이에 성리학상의 입장이 분열된 뒤, 17세기에 이현일(李玄逸)은 이황의 학설을 계승하였다. 이의 발동 능력을 강조해 기와 상대되는 이원성을 명백히 드러내고 있으나, 그는 궁극 존재로서 이의 근원성을 강조함으로써 이일원론의 입장도 강하게 내포하고 있음을 보여 주었다.

이현일의 아들 이재(李栽)도 태극 내지 이에 동정(動靜)의 능력을 인정함으로써 이를 기에 부속될 수 없는 일원적 궁극 존재로 강조하였다. 이상정(李象靖)도 이를 주재자로서 동정의 주체로 보고 기를 자료로서 동정의 도구로 보아 이주기자설(理主氣資說)을 주장하였는데, 이 역시 이의 궁극성과 일원성의 입장을 보여 주는 것이다.

유치명(柳致明)이나 이진상(李震相) · 곽종석(郭鍾錫)에 이르는 한말까지의 영남학파의 이른바 주리론(主理論)도 이일원론의 입장을 계승하였다고 할 수 있다. 그들은 기에 대한 이의 주재적 지위나 능동성 내지 선행적 특성을 통해 이의 우위성을 드러냄으로써 궁극존재를 이로 파악했던 것이다.

한편, 이이를 계승하는 17세기 이후의 성리학자들은 이의 능동성을 거부하면서 이를 기에 부착되는 것으로 주장, 일원적 통일성을 보여 주었다.

그 가운데 송시열(宋時烈) · 권상하(權尙夏) · 한원진(韓元震)의 경우는 심을 기로 해명하는 데에서 나아가 기의 기능을 강조함으로써 이의 지위를 상대적으로 감소시키는 입장에 섰다. 그리고 임성주(任聖周) 등의 유기론(唯氣論)에서와 같이 이일원론에 정면으로 대립되는 기일원론을 주장하는 입장에 선 학자들도 있다.

이기설에서 이른바 주리론과 주기론의 어느 쪽에도 치우치지 않고 절충적 견해를 취하는 성리학자들은 이와 기의 통일성을 중요시해 일원적으로 파악하는 경향이 강하였다.

이항(李恒)은 명대의 나흠순(羅欽順)의 이론과 일치하는 이기일물설(理氣一物說)을 취해 일원론적 입장을 밝혔다. 장현광(張顯光)은 이를 도의 경(經)으로, 기를 도의 위(緯)로 보는 이기경위설(理氣經緯說)을 제시하였는데, 이기일본설(理氣一本說)이라고도 한다. 이 · 기의 이러한 통일적 파악은, 그것이 비록 경 · 위 또는 체 · 용으로 분석될 수 있지만 이가 중심을 이루는 일원론의 입장임은 사실이다.

그런데 절충론적 입장에는 이 · 기가 서로 떠날 수 없다는 일원론적 주장과 이나 기가 어느 쪽도 배제될 수 없이 근원적 존재의 구조를 이루고 있다는 이원론적 주장이 혼합되어 있다. 따라서, 엄밀한 의미에서 절충론적 입장을 일원론이나 이원론으로 단정키는 어렵다.

그러나 유기론을 취해 궁극 존재를 기라고 보는 서경덕(徐敬德) · 임성주의 성리학적 입장이나 최한기(崔漢綺)의 실학파적 입장의 경우처럼 일반적으로는 기의 능동성을 강조하는 주기파(主氣派)조차도 다른 한편에서는 이의 궁극적 근원성을 인정하고 있다. 그리고 그러한 한에서 그 속에도 일원론의 특성이 내포되어 있음을 분석해 낼 수 있다.

더구나 조선시대 성리학의 주류를 이루는 주자학파의 이론이 이를 근원적 궁극 존재로서 높이는 기본 전제를 받아들이고 있다. 따라서 조선시대 성리학은 이 · 기의 개념이나 그 적용에서 상당한 차이와 대립이 있다 할지라도 이일원론의 관점을 기본 전제로서 내포하고 있으며, 이원론의 요소조차 궁극적으로는 일원론 속에 수렴되고 있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성리대전(性理大全)』
『입학도설(入學圖說)』
『회재전서(晦齋全書)』
『퇴계전서(退溪全書)』
『률곡전서(栗谷全書)』
『조선유학사』(현상윤, 민중서관, 1949)
『퇴율성리학의 비교연구』(채무송, 1971)
『한국유학사』(배종호, 연세대학교 출판부, 1974)
『中國哲學原論』(唐君毅, 1966)
집필자
금장태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