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도 장연사지 동·서 삼층석탑 ( · )

청도 장연사지 동ㆍ서 삼층석탑
청도 장연사지 동ㆍ서 삼층석탑
건축
유적
문화재
경상북도 청도군 매전면 장연사터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 시기에 조성된 2기의 석조 불탑. 보물.
정의
경상북도 청도군 매전면 장연사터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 시기에 조성된 2기의 석조 불탑. 보물.
개설

1980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석탑은 청도군 매전면 장연리 일대에 조성된 낮은 구릉지대에 동서로 위치해 있다. 서탑은 파손된 것을 복원하였으며 동탑은 서탑에 비해 상태가 양호한 편이다.

역사적 변천

쌍탑이 위치한 곳은 오래전부터 장연사(長淵寺), 혹은 흥경사(興景寺)로 전해올 뿐 정확한 문헌기록이나 유래는 남아 있지 않다. 쌍탑 가운데 서탑은 파손된 것을 1979년 원래 자리에 복원해 놓았고 동탑은 1984년 해체 및 수리되었는데, 이때 1층 탑신 상면 사리공에서 목제금칠사리합(木製金漆舍利盒)과 내부에서 녹유사리병이 봉안된 사리장엄구가 발견되었다.

한편 탑이 위치한 곳에서 남쪽의 개천을 넘어 과수원에는 상단부가 파손 결실된 당간지주가 남아 있다. 또한 절터에서 마을 입구 쪽으로 가면 길명마을 초입 마을회관에 배례석(拜禮石)이 비석처럼 세워져 있다. 따라서 장연사는 쌍탑이 위치한 지역 이외에 광범위한 지역을 포함하는 큰 규모의 사찰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탑의 제작시기는 서탑 기단부의 상당수가 새로운 부재로 수리되었으나 상층기단의 탱주가 1개로 줄어든 점과 옥개 층급받침이 4단인 점 등으로 미루어 9세기 통일신라시대에 세워진 것으로 보인다.

내용

쌍탑 가운데 서탑의 기단은 새로 복원되어 원래 형태는 알 수 없으나 동탑은 원래의 기단을 유지하고 있다. 동탑의 기단은 상하층 이중기단으로 하층기단은 하대저석과 면석, 갑석이 각각 한 돌로 되어 있다. 하대면석은 총 4매로 남면과 북면에는 좌우측에 우주가 새겨진 긴 판석을 두고 동서면 중앙에 탱주만 새겨진 면석을 끼워 넣어 소위 ‘H’자형의 결구법을 보이고 있다. 하대갑석은 동서남북 방향으로 각각의 이음이 있게 총 4매로 되어 있다. 갑석 상단에는 호·각형 2단의 중대 받침이 있고 합각 쪽으로 약한 기울기를 두고 있으나 합각선과 솟음기법은 표현되지 않았다.

상층기단은 면석과 갑석이 각각 별도의 부재로 구성되었다. 면석은 4매로 반시계방향으로 엇물림 결구했다. 갑석은 2매로 동서면에 이음이 있다. 갑석 상면에는 2단의 각형 탑신받침을 모각하였고 하단에는 부연이 있다. 합각 쪽으로 갑석의 경사도는 매우 미미하며 합각선은 없다.

서탑의 기단은 상하층 이중기단으로 되어 있으나 하층기단 면석은 결실, 복원되어 정확한 형태는 알 수 없다. 다만 동탑의 구조로 보아 4매의 판석을 결구했을 것으로 보인다. 하층갑석 역시 동탑과 같은 4매로 구성되었을 가능성이 높지만 현재는 동북면의 1매만이 원래의 갑석이고 나머지 3매는 새로운 부재로 복원되었다.

상층기단은 동탑과 같이 면석과 갑석이 각각의 부재로 구성되었다. 면석은 4매로 동탑과는 다른 결구법을 보인다. 즉 남면은 중앙에 1주의 탱주를 두고 좌우측에 우주가 모각된 긴 부재를 두고 동면과 서면은 중앙에 1주의 탱주를 두고 향좌우측에 우주가 모각된 부재를 남면에 붙이고 북면은 중앙에 1주의 탱주만 모각된 부재를 끼워 넣어 결구하였다. 갑석은 동서면에 이음이 있는 2매의 부재로 구성되었는데, 상단에는 3단의 탑신받침이 있고 하단에는 부연이 있다. 합각 쪽으로의 경사도는 약하며 합각선은 표현되지 않았다.

탑신부는 동·서탑 모두 3층으로 각 층 탑신석과 옥개석이 1매로 총 6매로 구성되어 있다. 탑신석은 모두 네 모서리에 우주를 모각하였고 탑신의 장식기법은 없다. 옥개석은 4단의 옥개받침과 상단에는 2단의 각형 탑신받침이 있다. 옥개받침과 처마 사이에 1단의 물끊기 홈이 있고 두 탑 모두 전각부의 풍경공은 마련되지 않았다. 다만 동탑의 옥개석의 낙수면이 급한 편에 비해 서탑은 완만한 곡선을 지니고 있으며 전각부의 반전도 동탑이 급한 편이다.

상륜은 동탑의 경우 복발만 남아 있고 서탑은 노반과 복발이 남아 있으나 이 복발은 최근 복원된 것이다. 동탑의 복발은 편구형으로 중앙에 꽃띠가 둘러져 있는데 중심부 상하로 원공이 관통되었다. 서탑의 노반은 방형 육면체이며 상단부에 2단으로 돌림띠가 있고 원공이 관통되어 3층 옥개석까지 이르고 있다.

특징

동·서 쌍탑은 상하층 이중기단의 전형양식으로 거의 비슷한 양식을 띠고 있으나 세부적으로 초층탑신 받침의 형태와 옥개석의 낙수면 경사 등에서 약간의 차이를 보인다. 서탑의 경우 도괴된 후 복원할 때 기단부의 다수의 부재가 새로 추가되어 정확한 형태는 알 수 없으나 동·서탑 모두 상하층 1주씩의 탱주와 4단의 옥개받침을 지닌 9세기 초반 신라석탑 양식을 보여준다.

의의와 평가

장연사지 동·서 삼층석탑은 탑 표면에 부조상이나 기타 장식이 없는 단순한 양식이지만 운문사 동서 삼층석탑과 함께 청도 지역의 쌍탑이라는 점이 주목된다. 또한 동탑에서 다른 곳에서 발견되지 않은 목제금칠사리함을 포함한 사리장엄구가 발견되어 신라 불사리장엄 연구에 귀중한 자료로 평가받고 있다.

참고문헌

『경상북도의 석탑Ⅳ』(국립문화재연구소, 2010)
『불사리장엄』(국립중앙박물관, 1991)
집필자
신용철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