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녕 술정리 동 삼층석탑 ( )

창녕 술정리 동 삼층석탑 전경
창녕 술정리 동 삼층석탑 전경
건축
유적
문화재
경상남도 창녕군 창녕읍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전형적인 석조 불탑. 국보.
정의
경상남도 창녕군 창녕읍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전형적인 석조 불탑. 국보.
개설

1962년 국보로 지정되었다. 창녕읍 도심에 위치한 탑으로, 이중기단에 삼층의 탑신을 지닌 전형적인 통일신라 석탑의 모습이다. 석탑이 위치한 곳은 오랜 시간 도심화가 진행되어 다른 유구는 찾아 볼 수 없다. 기단부의 결구수법이나 탑신부의 구성은 경주 왕경에 건립된 석탑과 비교될 정도의 안정감과 정교한 조각 수법을 지니고 있어 왕경내 장인이 직접 파견되어 건립된 것으로 보인다.

역사적 변천

석탑이 위치한 사찰에 대하여 확실한 문헌기록은 없으나 인근 창녕읍 교동에 위치한 창녕 인양사 조성비(보물, 1963년 지정)에 기록된 인양사(仁陽寺) 혹은 대곡사(大谷寺)로 추정되는 곳이다. 이 절터는 2004년 탑 일대에 대한 시굴조사와 2008년 10월부터 2009년 6월까지 전면조사가 이루어졌다. 2008년 조사에서는 ‘송림사(松林寺)’명 기와가 출토되어 해당 사찰의 원래 이름을 추정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가람배치에 있어서 탑과 금당의 배치가 남북 축선보다는 동서축선이었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석탑은 1965년 문화재관리국(현 문화재청)에서 전면 해체수리를 진행하였는데, 이때 3층 탑신석 상면 방형사리공에서 동제잔형사리기와 황색유리사리병, 향편 및 소형 구슬 등이 발견되어 국립중앙박물관에서 보관하고 있다.

내용

석탑은 이중기단에 삼층탑신을 지닌 전형적인 신라석탑 양식이다. 현재 탑 지대석 외곽으로 1열로 구획한 석렬이 남아 있는데, 한쪽 모서리에 탑구로 보이는 석재가 남아 있다. 따라서 원래 외곽에 판석으로 탑구를 형성했을 것으로 보인다. 기단부는 상하층 2중으로 되어 있다. 하층기단은 지대석과 면석을 한 돌로 하여 5매의 판석으로 결구하였다. 하대갑석도 5매로 구성되었는데 갑석 상면은 끝 부분 쪽으로 약한 경사가 있으며 갑석 중앙에는 호각형(弧角形)의 2단 괴임으로 상대면석을 받치고 있다. 상층기단 면석은 1면 1매의 판석으로 엇물림하여 결구되었다. 상대갑석은 4매로 하단에는 1단의 부연을 두고 상면 중앙에는 2단의 각형 괴임을 두어 초층탑신을 받치고 있다.

탑신부는 탑신석과 옥개석이 각각 1매로 구성되었는데, 탑신부는 모두 모서리에 우주를 새겼고 표면의 문비 등의 장식은 생략되었다. 옥개석은 3층이 모두 처마 아래로 5단의 층급받침을 가지고 있으며 상면에 2단의 각형 괴임을 두어 위층 탑신을 받치고 있다. 옥개석의 낙수면은 모서리에서 경쾌한 반전을 보이고 있으며 각 옥개석 모서리에는 양쪽 전각부에 1개씩의 풍경공이 뚫려 있다. 상륜부는 모두 결실되었고 3층 옥개석 중앙에 원형의 찰주공이 남아 있다.

특징

석탑을 구성하는 부재는 기단부에 18매, 탑신부 6매로, 상하층 기단 탱주숫자 2:2의 석탑과 거의 유사한 구성을 보이고 있다. 8세기 경주지역 석탑들이 하층기단 면석을 구성할 때 ‘ㄱ’자형 귀틀석을 쓰는 것과는 달리 판석만으로 결구한 특징을 지니고 있다. 또한 기단부 외곽에 나타나는 탑구의 흔적이라든가 탑의 외관상 보이는 비례는 전성기 신라석탑의 모습을 보여주는데 부족함이 없다.

의의와 평가

창녕 지역은 신라 진흥왕대에 정치·군사적으로 중요한 요충지로 여겨져 일찍부터 신라 왕경의 문화가 전파된 곳이다. 특히 8세기에 이르러 왕실의 적극적 후원으로 많은 사찰들이 건립되는데, 술정리 동삼층석탑이 위치한 사찰 역시 그 가운데 하나로 보인다. 이 석탑은 결구 수법과 각 부분의 조각 수법이 매우 치밀하고 정교할 뿐만 아니라 안정적인 체감률과 적당한 비율로 8세기 전성기 석탑의 전형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왕경중심의 석탑문화가 8세기 무렵 경주를 벗어나 왕경 외곽지역으로 전파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귀중한 석탑으로 평가되어 신라탑파사 연구에 있어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참고문헌

『창녕술정리사지』(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2011)
『경상남도의 사지』Ⅰ(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2009)
「창녕 술정리 동삼층석탑 석재의 원산지 해석 및 표면균열에 관한 연구」(김재환·좌용주, 『암석학회지』19-4, 한국암석학회, 2010)
「창녕 인양사비문의 탑 관련기사에 대한 검토」(박홍국, 『신라문화』32,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2008)
「통일신라 이중기단 석탑의 형식」(신용철, 『동악미술사학』9, 동악미술사학회, 2008)
「창녕 술정리 동삼층석탑의 사리구」(김주태, 『고고미술』7-5, 한국미술사학회, 1966)
집필자
신용철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