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잠 성북리 석조 보살 입상 ( )

목차
관련 정보
대전 진잠 성북리 석조보살입상
대전 진잠 성북리 석조보살입상
조각
유물
문화재
대전광역시 유성구 성북동 봉소사(鳳巢寺)에 있는 불상.
목차
정의
대전광역시 유성구 성북동 봉소사(鳳巢寺)에 있는 불상.
내용

높이 2.53m. 1989년 대전광역시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보살상은 계룡산 봉소사 경내의 뜰에 남향하여 서 있다.

기다란 타원형의 얼굴은 비만하면서도 부드러운 골격을 이루고 있다. 부푼 양 뺨에서는 따뜻한 양감이 느껴진다. 가늘고 좁은 두 눈은 반개(半開)하였고, 길게 호를 그리고 있는 양 눈썹이 날렵하다.

미간에서부터 곧게 이어지는 코는 직선에 가까운 콧날이 우뚝하다. 작은 입술은 꼭 다물고 있는 입매가 천진스럽다. 이마 중앙에는 백호(白毫 : 부처의 두 눈썹 사이에 있는 희고 빛나는 가는 터럭)가 뚜렷하다. 늘어진 귀는 어깨에 닿을 듯한데 약간 뒤쪽으로 젖혀 있다.

살이 많이 오른 뺨에 비해 턱은 편편하게 앞으로 내밀었다. 머리 위에는 높은 원통형의 보관(寶冠)을 썼는데, 화려한 장식이나 문양 없이 간결하게 처리하고 있다.

얼굴과 맞붙은 둥근 어깨에는 우견 편단(右肩偏袒 : 오른쪽 어깨가 드러남)의 천의(天衣 : 천인(天人)이나 선녀의 옷)를 걸치고 있다. 드러난 상체는 평판적이면서도 단단한 탄력성을 보여 준다. 둥글게 사선을 그리는 옷자락이 오른 어깨에서 왼쪽 옆구리께로 정돈되고 있다.

일정한 간격으로 완만한 곡선을 그리며 늘어진 상체의 옷주름은 복부에서부터 이중의 호를 그리며 보다 깊숙한, U자형에 가까운 형태로 변모하고 있다. 무릎 부위에는 조밀한 수직선을 사용하여 군의(裙衣) 자락을 나타내었다. 홈을 파듯 새겨 넣은 굵은 옷주름이 둔탁하고도 무거워 보인다.

편평한 가슴에는 아무런 장식 치레를 걸치지 않고 있다. 그러나 다소 뻣뻣해 보이는 양팔에는 상박과 손목에 각기 고리 모양의 팔찌를 감고 있다. 오른손은 손바닥을 밖으로 하여 옆으로 내려뜨린 여원인(與願印)을 결하고 있다.

왼손은 가슴 위로 접어 올려 손가락을 둥글게 모아 쥐었는데, 정확한 수인(手印)은 불분명하다. 양손은 통통한 편이며, 팔의 길이가 과장되게 길어 다소 어색해 보인다.

보살상은 한 돌에 조각하였다. 귀 뒤의 공간과 몸통과 양팔 사이를 깎아 내지 않고 그대로 마무리한 것이 눈에 띈다. 조각 수법 · 착의법 · 안면 표현 등에서 고려 말에서 조선 전기로 이행해 가는 과정의 작품으로 추정된다.

참고문헌

『문화유적총람』-사찰편-(충청남도, 1990)
『문화재대관』(충청남도, 1985)
집필자
최성은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