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주전집 ()

학주전집
학주전집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문신, 김홍욱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718년에 간행한 시문집.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 김홍욱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718년에 간행한 시문집.
편찬/발간 경위

1718년(숙종 44) 김홍욱의 손자 김두벽(金斗璧)이 편집·간행하였고, 1873년(고종 10) 7대손 김만재(金萬載)가 중간하였다. 권두에 신응조(申應朝)·권변(權忭)의 서문, 권말에 김상현(金尙鉉)의 발문이 있다.

서지적 사항

10권, 부록 5권, 합 15권 6책. 활자본. 규장각 도서·국립중앙도서관·국민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내용

권1∼6에 시 541수, 권7에 소(疏) 9편, 차(箚) 3편, 권8에 계사(啓辭) 6편, 전문(箋文) 5편, 교서 2편, 서독(書牘) 6편, 묘갈 1편, 묘표 1편, 권9에 행장 1편, 제문 13편, 서(序) 3편, 기(記) 2편, 잠(箴) 1편, 상량문 1편, 권10에 논전제(論田制) 6편, 논병제(論兵制) 9편, 논성지(論城池) 2편, 부록 권1∼3에 신도비명·시장(諡狀)·묘지명·존주휘편(尊周彙編) 등, 권4·5에 세계·연보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는 「동행록(東行錄)」·「남행록(南行錄)」·「서행록(西行錄)」 등으로 편집하여 저자가 관계에서 활약할 때의 시작들을 엮었다. 소의 「청감염철소(請減鹽鐵疏)」는 서산·태안 지방의 철물·소금 생산에 종사하는 사람들이 바쳐야 할 필목(疋木)이 과중해 도망가는 일이 많고 생산이 감축된 실정에 있으니 이를 탕감해 주기를 청원하는 소다. 「인한재응지소(因旱災應旨疏)」에는 당시의 심한 가뭄이 소현세자빈을 사사한 데에서 기인한다고 주장하고, 그 원통함을 풀어 주어야 한다는 내용이 들어 있다. 이 상소로 저자는 효종의 진노를 사 장살(杖殺)되었다.

계 가운데 「헌부피혐계(憲府避嫌啓)」는 당시 영의정 김자점(金自點)의 비리를 지적해 탄핵한 글이다. 「진호읍민폐계(陳湖邑民幣啓)」는 임진왜란으로 당시 호남의 백성들이 곤궁하고 피폐해 있음을 지적하고, 이에 대한 구원과 대책을 조정에 요청한 글이다.

서독 가운데 「상포저조상국익서(上浦渚趙相國翼書)」에서는 임진왜란을 겪은 뒤 백성들의 삶이 피폐되고 곤궁에 처해 있으므로, 부세제도(賦稅制度)인 대동법(大同法)을 변혁하여 백성들을 구제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송준길(宋浚吉)과 송시열(宋時烈)에게 답한 「답송명보송영보별지(答宋明甫宋英甫別紙)」에서는 국사와 경전에 관해 논하고 있다.

「논전제」에서는 공물(貢物)·전세(田稅) 등 조세에 관한 문제 6조, 「논병제」에서는 상번(上番)·수포(收布) 등 군정에 관한 문제 9조, 「논성지」에서는 남한산성 등을 수축하는 문제 2조를 들어 논하고 있다. 그밖에 송시열이 찬한 신도비명, 민진후(閔鎭厚)가 찬한 시장 등이 있고, 「존주휘편」에는 저자의 행적에 관한 기록을 뽑아 모아 놓기도 하였다.

관련 미디어 (2)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