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한호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후기에, 우의정, 대사헌, 좌참찬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경소(景昭)
시호
정간(貞簡)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752년(영조 28)
사망 연도
1827년(순조 27)
본관
나주(羅州)
주요 관직
우의정|대사헌|판의금부사|좌참찬
정의
조선 후기에, 우의정, 대사헌, 좌참찬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나주(羅州). 자는 경소(景昭). 임굉유(林宏儒)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임세집(林世諿)이고, 아버지는 승지 임상원(林象元)이며, 어머니는 심위(沈瑋)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783년(정조 7) 사마시에 합격하여 진사가 되고, 1792년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한 뒤 홍문관수찬·함경도북평사·암행어사·이조참의·대사간 등을 지냈다.

1803년(순조 3) 대사간으로 있을 때 정순왕후 김씨(貞純王后金氏)의 수렴청정을 반대, 한 때 안주에 유배되었다가 이듬해 풀려나온 뒤 이조참의·강원도관찰사·이조참판·형조판서·대사헌·한성부판윤 등을 거쳐 1818년 이조판서가 되었다.

그 뒤 판의금부사·세자시강원우빈객·좌참찬을 지낸 다음 우의정에 올랐으나 질병으로 거듭 사직을 청원, 허락되지 않다가 1823년 판중추부사로 전임된 뒤 관직을 떠났다. 퇴임 직전에 건의된 서얼(庶孼)을 위한 인재등용책은 간접적이나마 세도정치로 부패된 관계숙정(官界肅正: 관료들의 세계를 바로 잡음)의 한 방안이 되기도 하였다.

성품이 청렴결백하고 소박하여 권세와 이익을 좇는 데에 물들지 않았으며, 자손이 번성하여 세칭 ‘복인(福人)’이라 하였다. 시호는 정간(貞簡)이다.

참고문헌

『정조실록(正祖實錄)』
『순조실록(純祖實錄)』
『국조방목(國朝榜目)』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집필자
조원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