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종은 고려전기 제5대 왕이다. 재위 기간은 975년~981년이며, 태평이라는 연호를 사용했다. 즉위 초에 왕선을 집정으로 삼아 정권을 맡겼는데 전횡을 일삼자 귀양보냈고, 980년의 왕승의 모반도 제압하여 위기를 넘겼다. 976년 전시과를 제정하여 고려 토지제도의 기초를 다졌고, 과거제도를 다시 시행했으며, 송과의 국교도 돈독히 했다. 981년 병이 위독해지자 사촌동생인 개령군 왕치에게 왕위를 넘겼다. 여러 가지 치적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사에 뜻이 없고 오락과 여색을 탐하고 바둑을 좋아해 정치와 교화가 쇠퇴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부왕인 광종에 의해 추진된 호족(豪族)세력 숙청(肅淸: 반대파를 처단하거나 제거함)의 소용돌이 속에서, 부왕(父王)과의 관계마저 원활하지 못해 불안하게 소년시절을 보낸 것으로 알려졌다. 경종은 독자적으로 정권(政權)을 담당할 능력을 갖추지 못해, 즉위 초에 왕선(王詵)을 집정(執政)으로 삼아 정권을 맡겼다. 이와 전후해 광종 때에 참소(讒訴)당한 사람들의 자손(子孫)들에게 복수할 것을 허락하였는데, 서로 함부로 죽이는 사태가 발생, 새로이 원성이 드높아졌다.
이 같은 사태는 광종의 왕권의 한계성을 보여주는 것으로 이해된다. 광종은 재위시 호족세력을 숙청하고 왕권을 강화해 상당한 성과를 거두기는 했으나, 광종이 죽은 뒤 경종 즉위 초에는 잔존(殘存)한 구세력(舊勢力)에 의한 반발이 거세게 일어났던 것이다. 976년(경종 1) 정권을 독차지하고 있던 왕선은 복수를 빙자해 태조의 아들인 천안부원군(天安府院君)을 죽여 커다란 물의(物議)를 일으켰다. 이에 왕선을 귀양보내고 함부로 사람을 죽이는 행위와 복수를 금하는 조처를 취하였다. 그리고 순질(筍質) · 신질(申質)을 각각 좌집정(左執政) · 우집정(右執政)으로 삼고, 모두 내사령(內史令)을 겸하게 하였다. 정치권력의 독주를 막고, 이를 분산시키고자 한 것이었다.
976년 전시과(田柴科)를 처음으로 제정했다. 977년 친히 진사시를 주관해 고응(高凝) 등 여섯 사람의 급제자를 뽑았다. 또한 송나라와의 국교(國交)도 돈독히 하여 사신의 내왕이 있었다. 979년(경종 4) 발해인(渤海人) 수만 명이 귀화(歸化)하였으며, 청새진(淸塞鎭: 지금의 평안북도 희천)에 성을 쌓기도 하였다. 980년 왕승(王承) 등의 모역(謀逆: 반역을 꾀함)이 있었으나, 최지몽(崔知夢)의 건의에 따라 미리 대비해 왕승 등을 잡아 죽이고 위기를 넘겼다. 그러나 981년 7월 병이 위독해지자 사촌동생인 개령군(開寧君) 왕치(王治: 成宗)에게 왕위를 넘겼다.
경종의 업적 가운데 주목되는 것은 전시과(田柴科)를 처음으로 제정했다는 사실이다. 이 전시과는 제도적으로 미비한 점이 있었으나, 고려 전기 토지제도(土地制度)의 시초가 된다는 점에서, 의의는 매우 큰 것이었다. 이 때의 전시과는 관품의 높고 낮음을 논하지 않고, 다만 인품에 따라 제정한 것으로 외형상 940년(태조 23)에 제정된 역분전(役分田)과 비슷하다. 역분전 역시 지급기준을 관계(官階)에 두지 않고 성행(性行)의 선악과 공로의 대소에 두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전시과는 지급대상자를 사색공복제(四色公服制)에 의해 네 계층으로 구분하고 있어, 관품과 인품을 병용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역분전과는 약간의 차이가 있었다. 이와 같은 변화는 광종 때 추진된 왕권강화책과 국가체제 정비의 결과로 나타난 새로운 역사적 상황의 반영이라 생각된다. 즉, 경종은 광종이 닦아놓은 치적(治積)을 바탕으로 역분전보다는 발전된 토지제도를 마련할 수 있었던 듯하다.
경종의 정치적 태도는 이미 즉위 초에 신라의 마지막 왕이었던 김부(金傅)에게 상보도성령 식읍1만호(尙父都省令食邑一萬戶)의 봉작(封爵)을 더한 것으로 보아, 신라계 정치세력을 두둔했던 것으로 생각된다. 한편 모후(母后)인 대목왕후황보씨로 대표되던 지방호족계통 정치세력도 받아들일 수밖에 없었던 것 같다. 이러한 상황이 즉위 초 조정에서 반광종(反光宗)의 분위기를 생성한 연유로 보인다.
이처럼 치적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사(政事)에 뜻이 없고 오락과 성색(聲色: 음악과 여색을 아울러 이르는 말)에 몰두했으며, 바둑을 좋아해 정교(政敎)가 쇠잔(衰殘)하였다고 평가받고 있다.
시호는 헌화(獻和)이며 능은 영릉(榮陵)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