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진 ()

목차
관련 정보
고대사
인물
삼국시대 신라 진흥왕 때 백제와 함께 고구려가 차지하고 있던 한강 유역을 공격하여 점령한 장군.
이칭
이명
굴진지(屈珎智)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미상
주요 관직
대각간(大角干)
내용 요약

구진은 삼국시대 신라 진흥왕 때 백제와 함께 고구려가 차지하고 있던 한강 유역을 공격하여 점령한 장군이다. 「창녕 신라 진흥왕 척경비」에 보이는 굴진지와 동일인으로 추정되며, 대각간 관등을 보유한 가장 이른 사례이다.

정의
삼국시대 신라 진흥왕 때 백제와 함께 고구려가 차지하고 있던 한강 유역을 공격하여 점령한 장군.
인적 사항

구진(仇珍)은 『삼국사기』 「거칠부전」 진흥왕 12년(551) 조에 "구진(仇珍) 대각찬(大角飡)"으로 나오며, 561년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되는 「 창녕 신라 진흥왕 척경비」에 보이는 "한지▨▨(漢只▨▨) 굴진지(屈珎智) 대일벌간(大一伐干)"을 동일인으로 보기도 한다.

대각찬과 대일벌간은 모두 대각간(大角干)의 다른 표기로, 신라 17등 관등 중 제1위인 각간(角干) 위에 설정된 비상설(非常設) 관등이다. 『삼국사기』 「직관지(職官志)」에는 660년(태종무열왕 7)에 백제를 멸망하게 한 공로로 김유신(金庾信)에게 처음 준 관등이라고 기록되어 있지만, 이 사례를 통해 그전부터 수여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고위 관등 보유자로서는 이례적으로 한지벌부(漢只伐部), 즉 한기부(漢岐部) 소속일 가능성이 있으며, 적어도 551년(진흥왕 12)부터 561년(진흥왕 22)까지 대각간의 지위에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주요 활동

『삼국사기』 「거칠부전」에 551년(진흥왕 12) 왕이 거칠부와 구진 대각찬, 비태(比台) 각찬, 탐지(耽知) 잡찬, 비서(非西) 잡찬, 노부(奴夫) 파진찬, 서력부(西力夫) 파진찬, 비차부(比次夫) 대아찬, 미진부(未珍夫) 아찬 등 8명의 장군에게 명하여 백제와 함께 고구려를 공격할 것을 명령했다고 되어 있다.

『일본서기』에 따르면, 같은 해 백제 성왕이 신라군과 함께 고구려의 한강 하류 거점인 한성(漢城)과 (남)평양(平壤)을 공격하여 무너뜨렸다. 또 「거칠부전」에 따르면, 신라는 그 승세를 타고 죽령(竹嶺)에서 고현(高峴)까지 10군(郡)을 취하였다. 여기에서 죽령은 현재의 죽령이며, 고현에 관해서는 임진강 방면에 비정하는 견해도 있었지만, 북한강 최상류의 철령(鐵嶺)으로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랬을 때 10군은 후대에 삭주(朔州)로 편제되는 남한강 유역의 주1, 주2 및 북한강 유역의 군들로 볼 수 있다.

『일본서기』에 따르면, 552년(진흥왕 13) 백제가 고구려와 신라의 화친으로 인하여 한성과 남평양, 즉 한강 하류역을 포기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 되었으며, 신라가 이 지역까지 점령하여 553년(진흥왕 14) 한강 유역 전체를 신주(新州)로 편성하였다.

참고문헌

원전

『삼국사기』
『일본서기』
「창녕 신라 진흥왕 척경비」

논문

박성현, 「5~6세기 고구려·신라의 경계와 그 양상」(『역사와 현실』 82, 한국역사연구회, 2011)
張彰恩, 「6세기 중반 한강유역 쟁탈전과 管山城 戰鬪」(『震檀學報』 111, 진단학회, 2011)
전덕재, 「신라의 한강 유역 진출과 지배방식」(『鄕土서울』 73,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2009)
李仁哲, 「新羅의 漢江流域 進出過程에 대한 考察」(『鄕土서울』 57,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1997)
주석
주1

본명 내토군(奈吐郡, 지금의 제천, 단양)

주2

본명 평원군(平原郡, 지금의 원주)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