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등 ()

목차
관련 정보
고대사
제도
신라 중고기를 중심으로 확인되는 신료 집단에 대한 칭호.
이칭
이칭
대중등, 신(臣)
제도/관직
설치 시기
법흥왕 대
내용 요약

대등(大等)은 신라 중고기(中古期)를 중심으로 확인되는 신료 집단에 대한 칭호이다. 진흥왕 대 여러 금석문에서 그 존재가 나타나며, 당시 국정 운영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 것으로 보인다. 상대등, 전대등, 사대등(仕大等) 등은 대등으로부터 분화된 관직명이다.

목차
정의
신라 중고기를 중심으로 확인되는 신료 집단에 대한 칭호.
내용

『삼국사기』에는 834년(흥덕왕 9)에 내려진 사치 금지령 중 주2 규정에 진골 대등이 하나의 등급으로 나온다. 이를 진골과 대등으로 나누어 보느냐 진골의 대등으로 해석하느냐에 따라 대등에 대한 이해가 달라진다. 그 외에는 문헌 기록에 보이지 않으며, 창녕 신라 진흥왕 척경비진흥왕순수비 등 진흥왕 대의 금석문(金石文)들에서 그 존재가 확인된다.

그보다 조금 앞선 시기에 만들어진 단양 신라 적성비에는대중등(大衆等)이 나오는데, 대등의 전신(前身)으로 여겨진다. 대등의 성격에 대해서는 종래 화백회의의 구성원으로 파악하는 견해가 강하였으나, 상대등을 의장(議長)으로 하는 화백회의의 존재에 대해서는 의문이 제기된다.

금석문에서 확인되는 대등은 모두 국왕으로부터 17관등을 수여받은 신료들이다. 구체적으로 중앙의 상급 · 고위 신료를 가리킨다는 견해, 신(臣)과 대치되기도 함을 감안하여 중앙의 신하 집단에 대한 주3으로 파악하는 견해, 특정 사안을 감독 · 관리하기 위하여 왕이 선발한 신하 집단으로 보는 견해 등이 있다. 당시 국정 운영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존재였음은 분명하다.

성립 시점은 주1가 해체되고 중앙집권적 국가 체제가 정비되는 법흥왕 때로 추정된다. 그 뒤 고위 신료 집단들에 대한 호칭은 대신(大臣) 등으로 변화하여 나가지만, 흥덕왕의 사치 금지령에서 확인되는 것처럼 대등이라는 용어 자체는 신라 말까지 유지된 듯하다.

한편 신라 최고위급 관직에 해당하는 상대등(上大等)을 비롯하여, 『삼국사기』 직관지에는 집사부(執事部)의 차관(次官)인 전대등(典大等), 소경(小京)의 장관인 사신(仕臣)의 이칭 사대등(仕大等) 등 대등에서 파생된 듯한 관명들이 등장한다.

창녕 신라 진흥왕 척경비에는 행사대등(行使大等)이라는 관명이 나오는데, 주(州)의 통치와 관련된 지방관인 듯하다. 이들은 업무의 전문화가 필요해지면서 대등으로부터 분화되어 관직으로 정착한 것으로 보인다.

참고문헌

원전

『삼국사기(三國史記)』
단양 신라 적성비
마운령 신라 진흥왕 순수비
서울 북한산 신라 진흥왕 순수비
창녕 신라 진흥왕 척경비
황초령 신라 진흥왕 순수비

단행본

이기백, 『신라정치사회사연구』(일조각, 1974)

논문

양자량, 「6세기 신라 대등 성격에 대한 검토: 진흥왕대 비문 분석을 중심으로」(『신라문화』 53,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2019)
이재환, 「신라의 회의제와 상대등의 성격에 대한 재검토」(『대구사학』 131, 대구사학회, 2018)
박대재, 「신라의 사령지회의와 화백」(『신라문화』 44,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2014)
이종서, 「신라 중고기 '대등'의 어의와 성격」(『신라문화』 31,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2008)
전덕재, 「신라 화백회의의 성격과 그 변화」(『역사학보』 182, 역사학회, 2004)
노용필, 「신라 진흥왕대 대등의 분화와 그 정치적 배경: 창녕 진흥왕순수비 회집인명의 대등관계 부분의 분석을 중심으로」(『역사학보』 127, 역사학회, 1990)

인터넷 자료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삼국사기(https://db.history.go.kr)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한국고대금석문(https://db.history.go.kr)
주석
주1

삼국 시대에, 부(部)를 중심으로 운영되던 정치 체제. 중앙 집권적 정치 체제를 형성하기 이전의 단계로, 고구려 5부ㆍ백제 5부ㆍ신라 6부가 있었다.    우리말샘

주2

예전에, 신분이나 직업에 따라서 다르게 맞추어서 차려입던 옷의 꾸밈새와 빛깔.    우리말샘

주3

넓은 범위로 부르는 이름. 또는 두루 쓰이는 이름.    우리말샘

집필자
이재환(중앙대 교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