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신민단 ()

근대사
단체
1919년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조직되었던 독립운동단체.
이칭
이칭
신민회, 대한신민회, 신민단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1919년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조직되었던 독립운동단체.
개설

신민회 · 대한신민회, 또는 신민단으로도 불렸다. 단장 김규면(金圭冕), 부단장 한광택(韓光澤), 총무부장 최상진(崔相鎭), 재무부장 이존수(李存洙), 외무부장 김덕보(金德甫) 등이 선임되었다.

연원 및 변천

3 · 1독립선언이 선포되자, 이들은 국내 진공을 위한 독립전쟁 준비와 문화운동을 효과적으로 전개하고자 조직 확대를 꾀하였다. 그 뒤 만주 · 노령 · 한국에 40여 개의 지구조직 및 2만여 명의 단원을 확보하였다. 단원들에게 교육활동을 통해 애국심을 고취하며, 농민운동과 식산조합을 만들어 공부할 길을 열어 주었다.

한편, 독립군으로 2개의 지부를 신설해 왕청현지부(汪淸縣支部)에 단장 김준근(金準根) 사령관 겸 참모장으로 박승길(朴昇吉), 혼춘현지부(琿春縣支部)에 사령관 한경세(韓景世)를 임명하였다. 병력 증강을 위해  함경북도 · 간도 · 러시아령 등지에서 모은 군자금으로 장총과 권총 및 탄약을 구입해 500여 명의 독립군을 무장시켰다.

이 단은 북간도 무력독립운동 8개 단체의 하나로서 1920년 10월 20일 250명의 병력을 제1연대장 홍범도(洪範圖) 예하의 군으로 통합해 완루구 · 어랑촌전투에서 혁혁한 공을 세웠다. 그 뒤 12월 밀산(密山)에서 개최된 대한독립군단 결성을 위한 집회에 대한신민회의 대표로 김성배(金聖培)를 파견했으나 별다른 성과를 거두지 못하였다.

혼춘사건이 일어나고 이어서 일제의 무자비한 독립군 소탕전이 전개되자, 혼춘지부는 왕청지부와 함께 노령으로 망명, 이주하였다. 그 뒤 군사훈련과 독립사상 고취를 위해 활약하던 중, 1922년 12월 레닌정부로부터 해체령 및 무장해제령을 통고받았다.

이에 한경세 · 문성룡(文成龍)의 재소파(在蘇派)와 김규식(金奎植)의 만주파로 분열되었으며, 소련에 대한 보복으로서 김규식이 소련군 3명을 살상하였다. 이 사건으로 한경세와 문성룡은 체포, 투옥되어 재소파단체는 해체되었다. 그리고 김규식일파는 만주로 탈출해 독립운동의 재개를 꾀했으나 곧 해체되었다.

의의와 평가

기회를 포착해 국내진공을 꾀하려던 꿈은 좌절되었으나, 실력양성과 독립정신 고취를 통한 민족역량의 성숙에 기여, 지속적인 독립운동이 가능할 수 있었다.

참고문헌

『한국민족독립운동사연구(韓國民族獨立運動史硏究)』(신용하, 을유문화사, 1985)
『독립운동사』 5(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1973)
『조선독립운동(朝鮮獨立運動)』 Ⅲ(김정명 편, 원서방, 1967)
『한국독립운동사(韓國獨立運動史)』 3(국사편찬위원회, 1967)
『한국독립사(韓國獨立史)』(김승학, 독립문화사, 1965)
『現代史資料』 27(姜德相 編, みすず書房, 1977)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