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규식 ()

우사 김규식
우사 김규식
정치
인물
일제강점기 때, 파리강화회의에서 대한민국임시정부 대표 명의의 탄원서를 제출하였고, 해방 이후 이승만의 남한단독정부수립안에 반대하며 통일독립촉성회를 결성한 학자 · 정치인 · 독립운동가.
이칭
우사(尤史)
이칭
요한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81년(고종 18)
사망 연도
1950년
본관
청풍(淸風)
관련 사건
파리강화회의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김규식은 일제강점기 파리강화회의에서 대한민국임시정부 대표 명의의 탄원서를 제출한 독립운동가이다. 정치인이자 학자, 종교인이다. 1881년에 태어나 한국전쟁기에 납북되어 1950년에 사망했다. 6세에 고아가 되어 미국 북장로파 선교사 언더우드의 보살핌 아래 성장했다. 미국에서 석사학위를 받고 귀국하여 강사와 교회 일에 열중하다가 일제의 교회 탄압이 시작되자 중국으로 망명했다. 1918년 모스크바 약소민족대회 및 1919년 파리강화회의에 한국 대표로 참석했고, 민족혁명당을 창당했으며 임시정부 국무위원을 지냈다. 해방 후 통일 정부수립에 힘을 쏟았다.

정의
일제강점기 때, 파리강화회의에서 대한민국임시정부 대표 명의의 탄원서를 제출하였고, 해방 이후 이승만의 남한단독정부수립안에 반대하며 통일독립촉성회를 결성한 학자 · 정치인 · 독립운동가.
개설

본관은 청풍(淸風). 교명(敎名)은 요한(Johann), 아호는 우사(尤史). 부산 동래 출신. 중방파(仲房派) 23세손으로 1881년 김지성(金智性)의 둘째아들로 태어났다.

생애 및 활동사항

당시 우리나라에 파견된 청나라의 위안스카이(袁世凱)가 내정간섭을 단행하자, 동래부사의 막료로 있던 그의 아버지 지성은 일본과의 관계설정에 관한 상소문을 올렸는데, 이것이 화근이 되어 귀양갔다. 더욱이 1887년에는 어머니마저 사망하여 6세에 고아가 되었는데, 마침 미국 북장로파의 선교사 언더우드(Underwood,H.G.)의 보살핌으로 성장하였으며, 그 때 요한이라는 교명을 받았다.

1906년에 조순환(趙淳煥)의 딸 은수(恩受)와 결혼하여 아들 둘을 얻었으나, 차남 진동(鎭東)만 남았다. 1917년에 첫부인과 사별하고, 1919년에 김순애(金淳愛)와 재혼하여 장녀 우애(尤愛)을 얻었다. 1897년부터 1903년까지 미국 버지니아주의 로노크대학교(Roanoke University)에서 공부하였으며, 이듬해 프린스턴대학원(Princeton Academy)에서 석사학위를 받고 귀국하여, 1904년부터 1913년까지 언더우드 목사의 비서, YMCA학교 교사, 경신학교(儆新學校) 학감으로 있었고, 1910년부터 1912년까지는 연희전문학교 강사를 역임하였다.

그의 교회활동으로는 1910년에 새문안교회의 헌당식을 보게 되었고 장로가 되었으며, 1911년에는 경기 · 충청장로회 서기로 뽑혔고, 1912년에는 전국주일학교연합회 집행위원회 부위원장직을 맡기도 하였다. 1911년 일본의 교회탄압이 시작되자, 1913년 중국으로 망명하여 화북(華北)과 몽골 지방에서 상업에 종사하였으며, 1916년에 앤더슨마이어회사(Anderson & Meyer Company)에 입사하여 올란바토르 지점장을 지냈다.

정치적 활동으로는 1918년 모스크바에서 개최된 약소민족대회 및 1919년 파리강화회의에 한국대표로 참석하여 1945년 11월 고국에 돌아올 때까지의 해외활동을 들 수 있다. 1919년 3월 파리에 도착한 그는 조선혁명당의 이름으로 항일전선을 구축하고, 파리에 조선공보국(朝鮮公報局)을 설치하여 그 해 4월 10일 공보국 회보를 발간하는 한편, 젊은층을 흡수하여 신한청년당을 조직, 그 대표가 되었다.

이들은 대한민국임시정부 대표 명의로 된 탄원서를 강화회의에 제출하고 「한국민족의 주장」 · 「한국의 독립과 평화」 등의 민족선언서를 작성, 배포하였다. 이어 대한민국임시정부 구미위원부(歐美委員部) 위원장, 학무총장 등에 선임되었으며, 1921년 극동피압박민족대회에 참석하여 상설기구를 창설하고, 1927년에 그 의장직을 맡으면서 기관지 『동방민족(東方民族)』을 창간하였다.

1935년 민족혁명당을 창당하여 그 주석이 되었고, 1942년 임시정부 국무위원을 지냈다. 1945년 8 · 15광복이 되자 11월 23일 환국, 그 해 12월 27일 모스크바삼상회의의 결정문을 국민에게 발표하고 즉각 반탁운동을 전개하였다. 1946년 2월 민주의원 부의장, 3월 미소공동위원회 한국 대표, 5월에 좌우합작 준비작업을 추진하고, 그 해 6월부터 7월까지 ‘미군정 좌우합작위원회’ 예비회담에 참가하였고, 12월 입법의원 의장, 1947년 10월 민족자주연맹 의장이 되었다.

1948년 1월 유엔한국임시위원단의 서울 도착을 계기로 더욱 자기의 정치노선에 정열을 쏟아, 남북협상의 정치활동을 펼쳤다. 그 해 2월 이승만의 남한단독정부수립안에 반대하고, 김구와 연합하여 그 해 2월 남북협상을 제안하였다. 3월 15일 김일성 · 김두봉의 회신에 따라 남북협상 5원칙을 제시하고, 4월 21일 38선을 넘어 평양을 방문, 4자회담을 가졌다. 그러나 성과 없이 돌아온 이들은 5월 14일 북한측의 제2차 남북협상 제의를 거절하고, 5월 21일 통일독립촉성회를 결성하여 그 이전의 5 · 10남한단독총선거에 ‘불반대 · 불참가’했다는 성명을 발표함으로써 건국기초작업에 대한 그의 정치활동에 종지부를 찍었다.

한편, 교육가와 학자로서의 활동은 상해 푸탄대학(復旦大學)에서의 영문학 강의(1923), 모교인 로노크대학교에서 명예법학박사 학위취득(1923), 톈진(天津) 북양대학(北洋大學)의 생활(1927∼1929), 난징(南京) 중앙정치학원(中央政治學院) 교수(1933), 쓰촨대학(四川大學) 강의(1936) 등과 같은 강단생활을 하였으며, 1950년에 6 · 25전쟁이 일어나면서 납북되어, 그 해 12월 10일 만포진 근처에서 일생을 마친 것으로 알려졌다.

저서로는 『엘리자베드시대의 연극입문』(1940), 중국 근대 비극시 『원용사(婉容詞)』의 영문번역(1943), 『실용영문작법』(1944) · 『실용영어』(1945), 그리고 시집으로 『양자유경(揚子幽景)』(1945) 등이 남아 있다.

상훈과 추모

1989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이 추서되었다.

참고문헌

『해방삼년사』Ⅰ·Ⅱ(송남헌, 까치, 1985)
『대한민국독립유공인물록』(국가보훈처, 1977)
『김규식의 생애』(이정식, 신구문화사, 1974)
「한국근대인물백인선」(동아일보사, 『신동아』 1월호 부록, 1970)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