덕복 ()

목차
관련 정보
고대사
인물
신라 문무왕 때 당에서 숙위로 활동하고, 귀국할 때 새로운 역법을 전한 인물.
이칭
성명
김덕복(金德福)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미상
주요 관직
대나마
내용 요약

덕복은 문무왕대에 중국 당나라에서 숙위를 마치고 돌아와 새로운 역술을 전하였다. 관등은 10등 대나마를 지냈다. 신라는 그의 역술을 기초로 하여 새로운 역법을 쓰게 되었다. 그 밖의 행적에 관해서는 전하는 자료가 없다.

정의
신라 문무왕 때 당에서 숙위로 활동하고, 귀국할 때 새로운 역법을 전한 인물.
인적 사항

덕복(德福)은 이름만 전하고 성씨가 전하지 않는다. 다만, 신라에서 김씨 왕족의 경우 일반적으로 그 성(姓)이 생략되어 표기되었으므로, 덕복도 진골 출신으로서 성이 김씨였을 가능성이 크다. 당나라에 주1로 파견된 것도 이러한 이유에서 가능하였으리라 추정된다.

주요 활동

덕복은 당나라에 숙위로 가서 활동하다가 문무왕 14년(674)에 돌아왔다. 귀국할 때 당에서 배운 역술(曆術)을 전하여 신라에서 새로운 역법(曆法)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그의 관등은 10등 대나마(大奈麻)였으며, 당에 숙위로 간 시기는 기록이 없으나 김한림(金漢林)과 김삼광(金三光)이 문무왕 6년(666)에 파견되었으므로 그들이 돌아온 뒤 덕복이 파견되었으리라 추정된다.

숙위에 관해서는 그간 숙위학생(宿衛學生), 신라 하대의 주2과 혼동하여 이해되기도 하였다. 숙위는 원래 궁정을 수비하는 친위대를 가리켰으나, 당나라가 이를 국외로 확대 적용하여 주변국의 왕족을 당에 파견하여 숙위를 맡게 하였다.

숙위는 당의 이해만 대변한 것이 아니고, 현지에 체류하는 상주 외교관 역할도 수행하였다. 일부는 스스로 국학에서 수학하거나 신라의 학생들을 인솔해 가서 당 조정에 국학 입학을 요청하였다. 덕복의 경우 당나라 국자감의 6학 중 산학(算學)에서 역술을 배웠다고 보인다. 귀국 후의 활동 관련 자료는 없다.

참고문헌

원전

『삼국사기』

논문

김창석, 「신라 문화의 국제성」(『신라의 대외관계와 문화교류』, 경상북도문화재연구원, 2016)
고현정, 「일본 儀鳳曆의 傳來 문제와 新羅」(『韓國古代史硏究』 75, 2014)
申瀅植, 「新羅의 宿衛外交」(『韓國古代史의 新硏究』, 一潮閣, 1984)
주석
주1

황제를 호위한다는 명목으로 속국의 왕족들이 볼모로 가서 머물던 일. 또는 그런 지위.

주2

신라 때에, 당나라 국자감에 파견하였던 유학생. 수학 기한은 10년이었다. 처음에는 진골 귀족이 주로 파견되었다가 점차 육두품 이하 출신이 증가하였다.    우리말샘

집필자
김창석(강원대 교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