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화도 ()

목차
관련 정보
자연지리
지명
전라남도 신안군 압해읍 매화리에 있는 섬.
이칭
이칭
매화섬, 모양섬, 모양도
지명/자연지명
면적
8.51㎢
둘레
26.1㎞
소재지
전라남도 신안군 압해읍 매화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매화도(梅花島)는 전라남도 신안군 압해읍 매화리에 있는 섬이다. 두 산정이 중심에 있어 해안선이 둥근 편이며 그 주변부는 넓은 갯벌로 덮여 있다. 새로 생긴 천산대교 북서쪽에 위치하며 압해도의 갯벌 해안과 갯골을 사이에 두고 마주하고 있다. 연안에 가까우며 주변에 고하도, 병풍도, 마산도, 대기점도, 소악도 등 많은 갯벌로 덮인 섬들과 앞해도를 사이에 두고 있다. 매화도는 구릉지와 간척지가 있고 계곡의 저수지도 있어 농업이 주를 이루지만 인근 갯벌에서 어패류 등의 채취로 반농 반어촌을 이룬다.

정의
전라남도 신안군 압해읍 매화리에 있는 섬.
자연환경

동경 126° 00′, 북위 34° 55′에 위치한다. 목포시(木浦市)에서 북서쪽으로 20㎞, 압해도(押海島)에서 북쪽으로 2.3㎞ 지점에 있다. 매화도는 새로 생긴 천사산대교 북서쪽에 위치하며 압해도의 갯벌 해안과 갯골을 사이에 두고 마주하고 있다. 연안에 가까우며 주변에 고하도(高下島), 병풍도(屛風島), 마산도(馬山島), 대기점도(大奇點島), 주1 등 많은 갯벌로 덮인 섬들과 압해도를 사이에 두고 있다. 주2상 옥천대 남서부 말단에 속하며 시대 미상의 운모 편암류와 주3 주4 화강암 그리고 이를 덮고 있는 주5 화산암류인 주6, 제4기 충적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섬의 중심 산지를 이루는 매화산(240.1m)과 170m의 노망산은 자은도(慈恩島)와 같은 응회암질로 되어 있어 풍화와 침식에 강해 산지로 남아 있다. 두 산릉을 토대로 서쪽은 둥근 해안선을 유지하며 동쪽은 양두산 줄기가 이어지면서 굴곡이 심한 편이다. 하지만 서해의 주7에 위치하여 주변이 대부분 갯벌로 둘러싸여 있다. 섬의 주8들은 상대 간척(干拓)되어 전체적으로 둥근 꽃잎 모양을 하고 있다. 마산도와 노둣길로 주9 있다. 1월 평균 기온은 0.8℃, 8월 평균 기온은 26.3℃, 연 강수량은 1,126㎜이다.

변천과 현황

본래 지도군 선도면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 시에 대동, 학동, 청석, 산두, 마산마을을 합해 매화리가 되면서 매화리의 중심 섬이 되었다. 1969년, 무안군(務安郡)에서 신안군(新安郡)의 분군으로 신안군에 편입된 섬이다. 1600년경에 안동 권씨가 처음 입도하였고, 이후 1610년에 전주 이씨가 이주해 마을이 형성되었다. 매화도의 면적은 8.51㎢이며 이 중 주10은 각각 1.44㎢이고 주11은 1.02㎢로 반농 반어촌이다. 해안선의 연장은 26.1㎞이다. 가구 수는 117호이며, 인구는 175명(남 89명, 여 86명)으로 남초현상을 보인다. 1개의 법정리와 3개의 행정리를 가진 매화리의 본 섬이다. 북서쪽 부속 도서(附屬 주12인 황미도와는 갯벌 위로 노둣길이 만들어져 연도되어 있다. 기섬 선착장에서 목포 북항까지 15.72㎞이고, 압해읍 기룡항 여객선 터미널까지는 5.4㎞로 가깝다. 공공기관으로는 주13가 2곳, 치안 주14가 1곳, 보건 진료소(保健 주15가 1곳이 있다. 송전탑으로 전기가 공급되고, 매화산과 노망산 골짜기를 막아 매화제 상수원의 간이 상수도 시설은 담수량이 적어 약간의 가뭄에도 식수 부족으로 고통을 겪었다. 하지만 2023년, 광역 상수도(廣域 주16 공급으로 위생적이고 안정적인 수돗물을 공급받을 수 있게 되었다. 동력 어선(動力 주17이 19척이고 갯벌이 많아 방조제(防潮堤)는 13곳에 이른다. 승용차 7대, 화물차 13대, 승합차 1대가 있다. 서비스 시설로는 일반 음식점과 민박집이 1곳씩 있다. 어촌 정주항 1곳과 선착장은 3곳이, 주18은 2곳이 있다. 종교 시설로는 교회가 1곳이 있다. 경로당은 1곳이다. 주요 농산물은 쌀과 감자 · 고구마이고, 보리 · 마늘 · 고추 · 콩 · 참깨 등도 생산된다. 주요 수산물은 갯벌의 바지락 · 낙지 · 숭어 등이고 김 양식도 하고 있다. 교통은 압해도에서 매화도를 경유하는 일반 여객선이 운항되지만, 최근 천사대교의 개통으로 운항 수가 줄어들었다. 압해초등학교 매화분교장이 있었지만 2010년에 폐교되었다.

참고문헌

단행본

『도서지』 (내무부, 1985)
『신안통계연보』 (신안군, 2010)
『한국도서백서』 (전라남도, 1996)
『한국지명유래집』 전라·제주편 (국토지리정보원, 2010)

인터넷 자료

신안군청(www.shinan.go.kr)
주석
주1

전라남도 신안군 지도읍에 속하는 섬. 면적은 1㎢. 우리말샘

주2

지각을 이루는 암석들의 구조적ㆍ변형적 특징과 그 상호 관계. 우리말샘

주3

마그마가 주변의 암석을 뚫고 들어가다. 우리말샘

주4

중생대를 다시 셋으로 나누었을 때 가운데에 해당하는 지질 시대. 약 1억 8000만 년 전부터 약 1억 3500만 년 전까지의 약 4,500만 년간의 시기이다. 양치식물, 은행나무, 소철류, 파충류, 암모나이트, 공룡 따위가 번식하였으며, 조류의 선조인 시조새도 나타났다. 우리말샘

주5

중생대를 3기로 나누었을 때 마지막 지질 시대. 약 1억 4,500만 년 전부터 6,500만 년 전까지의 시대를 말한다. 우리말샘

주6

화산이 분출할 때 나온 화산재 따위의 물질이 굳어져 만들어진 암석. 우리말샘

주7

육지로 둘러싸인, 육지에 가까운 바다. 우리말샘

주8

강이나 바다의 물이 활등처럼 뭍으로 휘어드는 부분. 우리말샘

주9

큰 도로 좌우에 연하여 있는 곳. 우리말샘

주10

물을 대지 아니하거나 필요한 때에만 물을 대어서 채소나 곡류를 심어 농사를 짓는 땅. 우리말샘

주11

물을 대어 주로 벼를 심어 가꾸는 땅. 우리말샘

주12

주된 섬이나 어떤 지역 따위에 딸려 있는 크고 작은 섬. 우리말샘

주13

관공서나 기업체 따위에서 본사나 본점 이외의 필요한 지역에 설치하는 사무소. 우리말샘

주14

2003년에 기존의 파출소 2~5개를 통합하여 지구대를 만든 체제에서, 지구대가 없는 지역에 경찰관을 파견하여 주로 민원 업무 따위를 처리하도록 한 곳. 우리말샘

주15

의료 취약 지역에 설치하여 운영하는 보건 의료 시설. 우리말샘

주16

국가나 지방 자치 단체, 한국 수자원 공사 따위가 인정하는 자가 둘 이상의 지방 자치 단체에 원수 또는 정수를 공급하는 일반 수도. 우리말샘

주17

‘어선법 시행 규칙’에서, 선회기를 포함한 추진 기관을 설치한 어선. 우리말샘

주18

나룻배가 닿고 떠나는 일정한 곳. 우리말샘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