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반 ()

목차
관련 정보
호족반
호족반
공예
물품
식기를 받치는 작은 규모의 상.
목차
정의
식기를 받치는 작은 규모의 상.
내용

식기를 올려 두었던 가구로 조선시대 이전에는 조(俎), 조궤(俎机) 혹은 반(盤)이라는 이름이 전해지고 있다. 조선시대에는 안(案), 상(床), 탁(卓), 반(盤), 소반(小盤) 등의 명칭을 찾을 수 있으며, 또 반을 판(板)으로 지칭하기도 하는 등 다양한 이름이 있었다. 그 중 '반'과 '상'이라는 명칭이 널리 쓰였고, 이후 치수와 상관없이 '소반'이라는 명칭으로 굳어지게 되었다.

형태는 평평한 반면(盤面)의 통판 널과 여기에 연결되는 다리로 이루어진다. 반(盤) 아래에는 여러 가지 조각이나 문양으로 장식한 난간이 있고, 대부분의 경우에는 다리를 견고하게 하여 주는 주1주2가 있다.

이동하기 편리한 소형 상이 사용된 것은 조선시대 유교이념인 주3 · 주4의 사상으로 겸상보다는 독상이 주로 쓰였으며, 공간적으로도 부엌과 방이 멀고 규모가 작으면서 좌식생활(坐式生活)을 하는 한식 온돌방에 적합하였기 때문이다.

소반의 종류는 산지 · 형태 · 용도에 따라 60여종으로 분류되며 명칭과 구조가 다르다. 각 지역은 그 지방 특유의 수목과 생활양식에 따라 지방색을 띠며, 그중 특색이 두드러지는 것이 통영반(統營盤) · 나주반(羅州盤) · 해주반(海州盤)으로 제작 · 기교면에서 뛰어나다.

반면의 형태는 8각 · 12각 · 장방형 · 4방형 · 원형 · 반월형(半月形) · 연엽형(蓮葉形) · 화형(花形) 등으로 분류되며, 다리는 모양에 따라 주5 · 주6 · 주7 · 주8 등으로 불린다. 경상도는 죽절형, 전라도는 호족형, 강원도 · 경기도는 구족형이 주로 나타나고 있다.

쓰임새에 따라서는 주9 · 주10 · 주11 · 주12 · 주13 · 주14 · 주15 · 주16 · 주17 · 주18 등으로 나누어진다. 재료는 은행나무 · 호두나무 · 가래나무 · 오동나무 · 피나무 · 느티나무 등이 반면에 사용되었고, 다리에는 소나무 · 단풍나무 · 버드나무 등이 쓰였다.

표면의 칠은 주19 · 주20 · 주21과 일반 식물성 기름칠을 하여 소반이 트거나 흠이 생기는 것을 막고 방수가 되게 하였다. 색깔은 주22 · 석간주(石間硃 : 산화철을 많이 포함한 붉은 빛의 흙) · 주23 등으로 입히며, 좀더 진한 색을 내기 위해 먹물이나 검은 흙을 섞어 바르기도 하였다. 화려하게 주24를 박아 장식한 것도 있다.

참고문헌

『이조목공가구의 미』(배만실, 보성문화사, 1980)
『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특별전도록 11-소반-』(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 1982)
『한국의 미 24-목칠공예-』(이종석 감수, 중앙일보사, 1985)
『국보 5-공예-』(진홍섭 편, 예경산업사, 1986)
주석
주1

소반의 네 다리 중간쯤에 건너지르는 가는 나무오리.    우리말샘

주2

목기류나 가구류를 놓을 때, 발밑에 건너대는 널.    우리말샘

주3

유교 사상에서, 남자와 여자 사이에 분별이 있어야 함을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4

오륜(五倫)의 하나. 어른과 어린이 사이의 도리는 엄격한 차례가 있고 복종해야 할 질서가 있음을 이른다.    우리말샘

주5

상다리 모양이 개의 다리처럼 휜 막치 소반.    우리말샘

주6

상다리 모양이 호랑이의 다리 모양으로 된 소반. 개다리소반과 같으나 다리의 굴곡이 더 심한데 전라남도 나주에서 생산되는 나주반에 이 형식이 많다.    우리말샘

주7

다리를 대의 마디 모양으로 장식한 소반.    우리말샘

주8

반면(盤面) 가운데 다리가 하나 있는 소반(小盤).    우리말샘

주9

음식을 차려 놓는 상.    우리말샘

주10

주로 술과 안주를 벌여 놓는 작은 소반.    우리말샘

주11

‘번상’을 격식을 차려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12

제사를 지낼 때 제물을 벌여 놓는 상.    우리말샘

주13

음식을 차려 놓는 사각형의 큰 상.    우리말샘

주14

대궐에서, 잔치나 제사에 쓰는 소반(小盤)을 통틀어 이르던 말.    우리말샘

주15

돌날에 돌잡이할 때 차려 놓는 상.    우리말샘

주16

약사발을 올려놓거나 나르는 데 쓰는 자그마한 소반.    우리말샘

주17

입춘(立春) 날 궁중에서, 진상된 햇나물로 차리던 음식. 민간에서는 쑥떡과 나물로 만들었다.    우리말샘

주18

과실 따위를 담는 쟁반.    우리말샘

주19

불에 달이지 아니한 옻칠.    우리말샘

주20

누런색이 조금 섞인 붉은색의 칠.    우리말샘

주21

검은 빛깔의 옻.    우리말샘

주22

황토를 빻아서 만든 가루.    우리말샘

주23

치자나무의 열매. 열을 내리는 작용이 있어 여러 가지 출혈증과 황달, 오줌양이 적으면서 잘 나오지 않는 증세에 쓴다.    우리말샘

주24

금조개 껍데기를 썰어 낸 조각. 빛깔이 아름다워 여러 가지 모양으로 잘게 썰어 가구를 장식하는 데 쓴다.    우리말샘

집필자
배만실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