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책. 사본. 당시 제사에 관하여 모르거나 의심스러운 점이 있어도 정확히 참고할만한 지침서가 없으므로, 여러 예가(禮家)의 설을 모으고 행하여지던 관행과 집안에 전하여오는 바를 참고하여 편찬한 것이다.
기제(忌祭) · 삭망의(朔望儀) · 천신(薦新) · 제녜(祭禰) 등 제의(祭儀)와 묘제(墓祭)에 있어서의 제사의 절차 · 진설(陳設) · 축식(祝式) · 제기(祭器) · 찬품(饌品) 등에 관해 설명하고 있다. 예컨대, 기제사의 제의는 사당(祠堂) · 조계(阼階) · 신주(神廚) · 묘제세수(廟祭世數) · 불천지위(不遷之位) · 소목(昭穆) · 합독(合櫝) · 유서(遺書) · 제전제기(祭田祭器) · 신알(晨謁) · 배(拜) · 택일(擇日) · 구기(拘忌) · 재계(齋戒) · 왕침(王寢) · 행시제소(行時祭所) · 병제(幷祭) · 기명(器皿) · 찬품 · 성생(省牲) · 과소(果蔬) · 유과유병(油果油餠) · 포혜(脯醯) · 식염(食鹽) · 좌반절육(佐飯切肉) · 어육(魚肉) · 탕(湯) · 적(炙) · 염장초(鹽漿醋) · 미식면식(米食麵食) · 병밀(餠蜜) · 병채(餠菜) · 반갱(飯羹) · 소주(燒酒) · 생시소기(生時所嗜) · 모사(茅沙) · 현주(玄酒) · 시접거중거서지별(匙楪居中居西之別) · 제시복색(祭時服色) · 기제복색(忌祭服色) · 관분(盥盆) · 내외위(內外位) · 행제조만(行祭早晩) · 예사당(詣祠堂) · 출주축(出主祝) · 참강(參降) · 좌설(左設) · 작헌(酌獻) · 제주지의(祭酒之義) · 계반개(啓飯蓋) · 축판(祝板) · 축(祝) · 독축(讀祝) · 거애(擧哀) · 아헌(亞獻) · 종헌(終獻) · 진적(進炙) · 삽시(揷匙) · 정저(正箸) · 유식(侑食) · 합문(闔門) · 계문(啓門) · 철갱진차(徹羹進茶) · 수조(受胙) · 고리성(告利成) · 하시저합반개(下匙筯合飯蓋) · 사신(辭神) · 납주(納主) · 철(徹) · 준(餕) · 감묘제행제시(坎墓祭行祭時) · 빈가행제시(貧家行祭時) · 체행(替行) · 과시추행(過時追行) · 노병행제(老病行祭)의 순서로 서술하고 있다.
이 책이 인용, 참고하고 있는 우리나라 예가(禮家)로는 송시열(宋時烈) · 송준길(宋浚吉) · 이언적(李彦迪) · 김장생(金長生) · 강석기(姜碩期) · 박세채(朴世采) · 권상하(權尙夏) · 이이(李珥) · 이황(李滉) · 송익필(宋翼弼) · 송인(宋寅) · 김집(金集) · 정구(鄭逑) · 정경세(鄭經世) · 성혼(成渾) · 이재(李縡) 등이며, 특히 송시열의 설을 많이 참고하고 있어 노론가의 제의를 살피는 데 도움이 된다. 규장각도서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