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책. 사본. 당시 제사에 관하여 모르거나 의심스러운 점이 있어도 정확히 참고할만한 지침서가 없으므로, 여러 예가(禮家)의 설을 모으고 행하여지던 관행과 집안에 전하여오는 바를 참고하여 편찬한 것이다.
기제(忌祭)·삭망의(朔望儀)·천신(薦新)·제녜(祭禰) 등 제의(祭儀)와 묘제(墓祭)에 있어서의 제사의 절차·진설(陳設)·축식(祝式)·제기(祭器)·찬품(饌品) 등에 관해 설명하고 있다. 예컨대, 기제사의 제의는 사당(祠堂)·조계(阼階)·신주(神廚)·묘제세수(廟祭世數)·불천지위(不遷之位)·소목(昭穆)·합독(合櫝)·유서(遺書)·제전제기(祭田祭器)·신알(晨謁)·배(拜)·택일(擇日)·구기(拘忌)·재계(齋戒)·왕침(王寢)·행시제소(行時祭所)·병제(幷祭)·기명(器皿)·찬품·성생(省牲)·과소(果蔬)·유과유병(油果油餠)·포혜(脯醯)·식염(食鹽)·좌반절육(佐飯切肉)·어육(魚肉)·탕(湯)·적(炙)·염장초(鹽漿醋)·미식면식(米食麵食)·병밀(餠蜜)·병채(餠菜)·반갱(飯羹)·소주(燒酒)·생시소기(生時所嗜)·모사(茅沙)·현주(玄酒)·시접거중거서지별(匙楪居中居西之別)·제시복색(祭時服色)·기제복색(忌祭服色)·관분(盥盆)·내외위(內外位)·행제조만(行祭早晩)·예사당(詣祠堂)·출주축(出主祝)·참강(參降)·좌설(左設)·작헌(酌獻)·제주지의(祭酒之義)·계반개(啓飯蓋)·축판(祝板)·축(祝)·독축(讀祝)·거애(擧哀)·아헌(亞獻)·종헌(終獻)·진적(進炙)·삽시(揷匙)·정저(正箸)·유식(侑食)·합문(闔門)·계문(啓門)·철갱진차(徹羹進茶)·수조(受胙)·고리성(告利成)·하시저합반개(下匙筯合飯蓋)·사신(辭神)·납주(納主)·철(徹)·준(餕)·감묘제행제시(坎墓祭行祭時)·빈가행제시(貧家行祭時)·체행(替行)·과시추행(過時追行)·노병행제(老病行祭)의 순서로 서술하고 있다.
이 책이 인용, 참고하고 있는 우리 나라 예가(禮家)로는 송시열(宋時烈)·송준길(宋浚吉)·이언적(李彦迪)·김장생(金長生)·강석기(姜碩期)·박세채(朴世采)·권상하(權尙夏)·이이(李珥)·이황(李滉)·송익필(宋翼弼)·송인(宋寅)·김집(金集)·정구(鄭逑)·정경세(鄭經世)·성혼(成渾)·이재(李縡) 등이며, 특히 송시열의 설을 많이 참고하고 있어 노론가의 제의를 살피는 데 도움이 된다. 규장각도서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