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례회통 ()

목차
관련 정보
식례회통
식례회통
가족
문헌
1801년 홍양묵이 각종 제사의 의식과 절차에 대해 서술한 의례서. 유교의례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1801년 홍양묵이 각종 제사의 의식과 절차에 대해 서술한 의례서. 유교의례서.
내용

2책. 사본. 당시 제사에 관하여 모르거나 의심스러운 점이 있어도 정확히 참고할만한 지침서가 없으므로, 여러 예가(禮家)의 설을 모으고 행하여지던 관행과 집안에 전하여오는 바를 참고하여 편찬한 것이다.

기제(忌祭)·삭망의(朔望儀)·천신(薦新)·제녜(祭禰) 등 제의(祭儀)와 묘제(墓祭)에 있어서의 제사의 절차·진설(陳設)·축식(祝式)·제기(祭器)·찬품(饌品) 등에 관해 설명하고 있다. 예컨대, 기제사의 제의는 사당(祠堂)·조계(阼階)·신주(神廚)·묘제세수(廟祭世數)·불천지위(不遷之位)·소목(昭穆)·합독(合櫝)·유서(遺書)·제전제기(祭田祭器)·신알(晨謁)·배(拜)·택일(擇日)·구기(拘忌)·재계(齋戒)·왕침(王寢)·행시제소(行時祭所)·병제(幷祭)·기명(器皿)·찬품·성생(省牲)·과소(果蔬)·유과유병(油果油餠)·포혜(脯醯)·식염(食鹽)·좌반절육(佐飯切肉)·어육(魚肉)·탕(湯)·적(炙)·염장초(鹽漿醋)·미식면식(米食麵食)·병밀(餠蜜)·병채(餠菜)·반갱(飯羹)·소주(燒酒)·생시소기(生時所嗜)·모사(茅沙)·현주(玄酒)·시접거중거서지별(匙楪居中居西之別)·제시복색(祭時服色)·기제복색(忌祭服色)·관분(盥盆)·내외위(內外位)·행제조만(行祭早晩)·예사당(詣祠堂)·출주축(出主祝)·참강(參降)·좌설(左設)·작헌(酌獻)·제주지의(祭酒之義)·계반개(啓飯蓋)·축판(祝板)·축(祝)·독축(讀祝)·거애(擧哀)·아헌(亞獻)·종헌(終獻)·진적(進炙)·삽시(揷匙)·정저(正箸)·유식(侑食)·합문(闔門)·계문(啓門)·철갱진차(徹羹進茶)·수조(受胙)·고리성(告利成)·하시저합반개(下匙筯合飯蓋)·사신(辭神)·납주(納主)·철(徹)·준(餕)·감묘제행제시(坎墓祭行祭時)·빈가행제시(貧家行祭時)·체행(替行)·과시추행(過時追行)·노병행제(老病行祭)의 순서로 서술하고 있다.

이 책이 인용, 참고하고 있는 우리 나라 예가(禮家)로는 송시열(宋時烈)·송준길(宋浚吉)·이언적(李彦迪)·김장생(金長生)·강석기(姜碩期)·박세채(朴世采)·권상하(權尙夏)·이이(李珥)·이황(李滉)·송익필(宋翼弼)·송인(宋寅)·김집(金集)·정구(鄭逑)·정경세(鄭經世)·성혼(成渾)·이재(李縡) 등이며, 특히 송시열의 설을 많이 참고하고 있어 노론가의 제의를 살피는 데 도움이 된다. 규장각도서에 있다.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