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남도 ()

영남도
영남도
고려시대사
개념
고려시대 10도의 하나인 지방 행정구역.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고려시대 10도의 하나인 지방 행정구역.
개설

995년(성종 14) 지리적 조건을 고려해 전국을 십도로 나누고, 죽령(竹嶺)을 기준으로 해서 그 남쪽 지역을 지칭한 명칭이다. 이는 당나라 태종이 산천의 형편에 따라 전국을 10도로 나누어 정한 것을 본받아 만든 것이다.

여기에는 이전에 상주(尙州)의 관할 하에 있던 12주(州) ·48현(縣)이 포함되어 있었다. 하지만 현재로서는 상주 · 대주(尙州) · 강주(剛州) · 용주(龍州) · 계주(稽州) · 선주(善州) · 길주(吉州)만 『고려사(高麗史)』 지리 등에서 확인된다.

연원 및 변천

이후 영남도는 영동도(嶺東道)산남도(山南道)와 함께 1106년(예종 1)에 경상진주도(慶尙晉州道)로 불렸다. 1171년(명종 1)에는 경상주도(慶尙州道)와 진합주도(晉陜州道)로 다시 나뉘어졌다. 1204년(신종 7)에 상진안동도(尙晉安東道)로 합속된 뒤 1314년(충숙왕 1)에 경상도(慶尙道)가 되었다.

의의와 평가

한편 영남도를 비롯한 10도의 성격에 관해 여러 견해가 제시되었다. 도가 지방 행정구역의 최고단위이기는 하지만 행정구역이 아니라 다만 순찰 · 감찰 구역에 불과하며, 상주하는 도의 장관은 존재하지 않았다는 견해가 있다. 또 도의 장관을 관찰사로 보고 관찰사가 관할구역을 순찰하였다는 견해가 있다.

도의 장관을 전운사(轉運使)로 보고 도는 중앙정부와 주(州) · 군(郡) 사이의 행정구역이 아니라 조부(租賦)를 운반하는 방면을 표시하거나 지방 순찰구획으로서의 기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지방행정의 중심은 어디까지나 주 · 군 · 의 외관들이라는 견해도 있다. 또 절도사가 도의 장관으로서 도를 전제(專制)하고 무능한 수령을 몰아냈다는 견해도 있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고려(高麗) 군현제도(郡縣制度)의 연구(硏究)』(김윤곤, 경북대학교박사학위논문, 1983)
「고려전기(高麗前期)의 외관제(外官制)」(변태섭, 『한국사연구(韓國史硏究)』2, 1968 ; 『고려정치제도사연구(高麗政治制度史硏究)』, 1971)
「고려(高麗) 지방제도(地方制度)의 정비(整備)와 주현군(州縣軍)의 성립(成立)」(이기백, 『조명기박사화갑기념불교사학논총(趙明基博士華甲記念佛敎史學論叢)』, 1965 ; 『고려병제사연구(高麗兵制史硏究)』, 일조각, 1977)
「고려(高麗) 지방제도(地方制度)의 연구(硏究) 상(上)」(하현강, 『사학연구(史學硏究)』13, 1962)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