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95년(성종 14) 지리적 조건을 고려해 전국을 10도로 나누고, 죽령(竹嶺)을 기준으로 해서 그 남쪽 지역을 지칭한 명칭이다. 이는 당나라 태종이 산천의 형편에 따라 전국을 10도로 나누어 정한 것을 본받아 만든 것이다.
여기에는 이전에 상주(尙州)의 관할하에 있던 12주(州)·48현(縣)이 포함되어 있었다. 하지만 현재로서는 상주·대주(尙州)·강주(剛州)·용주(龍州)·계주(稽州)·선주(善州)·길주(吉州)만 『고려사(高麗史)』 지리지 등에서 확인된다.
이후 영남도는 영동도(嶺東道) 및 산남도(山南道)와 함께 1106년(예종 1)에 경상진주도(慶尙晉州道)로 불렸다. 1171년(명종 1)에는 경상주도(慶尙州道)와 진합주도(晉陜州道)로 다시 나뉘어졌다. 1204년(신종 7)에 상진안동도(尙晉安東道)로 합속된 뒤 1314년(충숙왕 1)에 경상도(慶尙道)가 되었다.
한편 영남도를 비롯한 10도의 성격에 관해 여러 견해가 제시되었다. 도가 지방 행정구역의 최고단위이기는 하지만 행정구역이 아니라 다만 순찰·감찰 구역에 불과하며, 상주하는 도의 장관은 존재하지 않았다는 견해가 있다. 또 도의 장관을 관찰사로 보고 관찰사가 관할구역을 순찰하였다는 견해가 있다.
도의 장관을 전운사(轉運使)로 보고 도는 중앙정부와 주(州)·군(郡) 사이의 행정구역이 아니라 조부(租賦)를 운반하는 방면을 표시하거나 지방 순찰구획으로서의 기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지방행정의 중심은 어디까지나 주·군·현의 외관들이라는 견해도 있다. 또 절도사가 도의 장관으로서 도를 전제(專制)하고 무능한 수령을 몰아냈다는 견해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