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석 ()

장항 앞바다의 썰물
장항 앞바다의 썰물
자연지리
개념
지구 · 달 · 태양 간의 인력에 의하여 발생하는 해수면의 규칙적인 승강운동.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조석은 지구·달·태양 간의 인력에 의하여 발생하는 해수면의 규칙적인 승강운동이다. 주로 달의 인력에 의해 조석, 즉 밀물과 썰물이 나타나게 된다. 태양은 지구와의 거리가 워낙 멀어 그 영향력이 달에 비해 적다. 바닷물이 가장 꽉 차게 들어오는 만조와 해수면이 가장 낮아지는 간조가 있다. 이런 만조와 간조가 교체될 때 해안 수위의 차이, 즉 조차가 발생한다. 우리 서해안의 조차는 세계적으로도 큰 편인데 그중에서 조차가 가장 큰 곳은 아산만이다. 동해는 수심이 깊고 일본열도로 둘러싸여 조차가 작다. 조차가 큰 항만은 선박 접안이 어렵다.

목차
정의
지구 · 달 · 태양 간의 인력에 의하여 발생하는 해수면의 규칙적인 승강운동.
개설

조석은 주로 의 인력에 의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물론 태양도 영향을 미치지만 태양과 지구 사이의 거리가 워낙 멀어 그 영향력은 달의 45% 정도에 불과하다. 세계적으로는 만조와 간조가 하루에 두 번씩 나타나는 지역과 한 번씩 나타나는 지역이 있는데, 우리나라 해안에서는 만조와 간조가 하루에 두 번씩 나타난다.

밀물과 썰물은 대개 12시간 25분을 기준으로 반복된다. 이는 지구가 자전을 할 때, 달도 지구 주위를 약 13° 공전하기 때문에 달이 다음 날 지구의 동일 지점으로 오는데 걸리는 시간은 지구가 50분 더 자전을 한 24시간 50분이 되기 때문이다.

내용

해수면의 상승으로 육지 쪽으로 밀려오는 물은 밀물 또는 창조(漲潮)라고 하고, 해수면의 하강으로 바다 쪽으로 빠지는 물은 썰물 또는 낙조(落潮)라고 한다. 그리고 조석에 의하여 높아진 해면은 고조(高潮) 또는 만조(滿潮)라고 하고, 낮아진 해면은 저조(低潮) 또는 간조(干潮)라고 한다. 조석간만(潮汐干滿)의 차이, 즉 조차(潮差)란 말은 고조와 저조 간의 높이 차이를 의미한다. 아침에 들어왔다가 나가는 물을 조수(潮水), 저녁에 들어와서 나가는 물을 석수(汐水)라고 한다.

지구와 태양과 달이 일직선상에 놓이는 그믐과 보름[望] 직후, 즉 음력 2∼4일과 17∼19일에는 조차가 가장 큰 사리 또는 대조(大潮)가 나타난다. 그리고 태양과 달이 지구에 대하여 직각으로 놓이는 상현과 하현 직후, 즉 음력 8∼10일과 23∼25일에는 조차가 가장 작은 조금 또는 소조(小潮)가 나타난다.

오늘날에는 여러 지역의 조석 관측 결과와 자료에 기초하여 약 1개월 이내의 변화, 즉 단주기(短週期)의 변화와 1년 주기의 변화, 즉 장주기(長週期)의 변화를 예보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예보에서 기압 또는 바람의 영향을 제거할 수 있다면 대단히 정확한 값(±2㎝ 이내의 오차)을 구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어민들은 예로부터 음력의 날짜에 경험적으로 ‘물때[潮時]’를 맞추어 왔다. 물때는 15일을 주기로 하여 하루 단위로 나누었는데, 1개월에 모든 ‘물’이 두 번씩 나타나도록 하였다.

조금부터 시작하여 그 다음 날은 무시[水深]라고 하고, 시간이 경과하여 밀물이 많아짐에 따라서 한물에서 열물까지 두었는데, 사리는 여덟물에서 열물까지의 기간에 나타난다. 열물 뒤에는 밀물이 점차 감소하여 한꺾기[一折] · 두꺾기[二折] · 아치조금[亞潮]이 지난 다음 조금이 다시 돌아온다.

현황

우리나라 서해안의 조차는 세계적이다. 서해안에서도 조차가 가장 큰 곳은 아산만으로 평균 대조차는 8.5m이다. 이곳에서 북쪽과 남쪽으로 갈수록 조차는 점차 감소한다. 북쪽으로 인천 8.1m, 남포 6.2m, 용암포 4.9m, 남쪽으로 군산 6.2m, 목포 3.1m로 나타난다. 남해안에서는 서에서 동으로 갈수록 조차가 감소하여 여수 2.5m, 부산 1.2m로 나타난다. 동해안의 조차는 0.2∼0.3m에 불과하다.

황해는 태평양에 열린 거대한 만과 같은 바다로 가장 깊은 곳도 수심이 80m 미만이기 때문에 대양에서 밀려오는 조랑(潮浪)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이에 반하여 동해는 수심이 깊고, 일본열도로 둘러싸여 있어 조차가 매우 작다.

만조와 간조가 교체될 때에는 해안에 조류(潮流)가 발생한다. 좁은 만이나 해협에서는 조류가 왕복성 운동을 하는데, 유속이 매우 빨라진다. 임진왜란 당시 이순신 장군이 전공을 세운 울돌목[鳴梁海峽]에서는 유속이 대조 시에는 시속 16㎞, 소조 시에는 시속 13㎞에 달한다. 경기도 김포시인천광역시 강화도 사이의 염하(鹽河)도 조류가 빠르기로 유명하다.

밀물 때 하천 하구(河口)로 밀려드는 바닷물은 강물의 흐름을 막아서 수면을 높인다. 따라서 하천 하류의 수위도 하루에 두 번씩 승강운동을 한다. 이러한 하천 즉, 감조하천(感潮河川)들 가운데 한강은 인도교(人道橋)까지, 금강부여 부근의 규암(窺岩)까지, 낙동강은 삼랑진(三浪津)까지 조석이 영향을 미쳤다.

유량이 적은 소하천의 최하류부는 유역분지의 지표수를 유출하는 하도(河道)의 기능보다는 바닷물이 드나드는 갯골의 구실을 한다. 이러한 하천에서 대조 때에 밀물이 들어오면 급작스럽게 홍수가 발생한 것처럼 보인다. 과거에는 각종 선박들이 하구로부터 밀물을 이용하여 하천을 따라 내륙으로 들어오는 경우가 많았다.

일반적으로 조차가 크면 항만 건설에 불리하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것을 극복하기 위해 만조나 간조 때에 선박이 접안할 수 있도록 조차가 큰 인천항에는 갑문(閘門)이, 군산항에는 부교(浮橋)가 설치되어 있다.

참고문헌

『지구과학개론』(대학지구과학연구회, 1984)
『자연지리학』(권혁재, 법문사, 1983)
『한국지지』총론(건설부국립지리원, 1980)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