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성진성 ()

건축
유적
문화재
조선시대, 부산광역시 강서구 천성동에 축조한 경상우수영 소속 수군진성.
유적
건립 시기
1544년
관련 인물
이순신
둘레
848m
소재지
부산광역시 강서구
시도지정문화재
지정기관
부산광역시
종목
부산광역시 시도기념물(1989년 03월 10일 지정)
소재지
부산 강서구
내용 요약

천성진성은 강서구 천성동에 축조한 조선시대 경상우수영 소속 수군진성이다. 삼포왜란과 사량진왜변 등을 겪으면서 수군 증강을 위해 경상우수영 관할의 여러 진을 정비하는 과정에서 1544년(중종 39)에 석축으로 쌓은 평지성이다. 평면 형태는 남북 방향이 긴 직사각형으로 전체 둘레 848m, 성벽 너비는 5m, 잔존 높이 4m 정도 규모이다. 초축 이후 북쪽과 동쪽 방향으로 성벽을 확장하였고 북·남·동쪽에는 옹성(甕城)을 두른 문지와 문지 좌우와 성벽 중간 중간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치성(雉城)을 두었고 성벽 바깥에 해자를 둘렀다.

정의
조선시대, 부산광역시 강서구 천성동에 축조한 경상우수영 소속 수군진성.
발굴 경위 및 결과

천성진성 문화재 복원 정비를 위하여 복원 정비 계획에 따라 2016년 북문지 일원 시굴 조사를 시작으로 2022년까지 5차에 걸쳐 시 · 발굴 조사가 실시되었다. 조사 결과 주1문지와 성벽 및 주2 · 주3 · 주4 등의 부속 시설물과 건물지 등이 확인되었다. 북문지와 남문지의 옹성의 구조가 확인되었고, 북문지의 경우 원형의 옹성에서 성벽을 확장하는 과정에서 사각형의 옹성으로 개축된 것을 확인하였다. 북벽 및 동벽에서 확인된 성벽은 주17에서 20cm 정도 안으로 들여 성벽의 주12을 배치하였고 기단석 안쪽으로는 깬 돌로 주13하였는데 외벽에 순차적으로 덧대어 쌓는 3단의 계단식 내벽이 확인되었다. 1438년(세종 20)에 정한 읍성의 축조의 기본 법식인 「축성신도(築城新圖)」의 내용이 수군진성에도 적용되었음을 보여 주는 중요한 사례이다.

건물지 동편에서는 너비 550cm 규모의 대형의 주14 계단지가 처음으로 확인되었다. 치성의 경우 평면 사각형으로 성벽과 동시에 축조되었으며 규모는 길이 6m, 너비 490cm, 잔존 높이 320cm이다. 치성과 연접된 성벽 상부에서는 바닥에 주18이 깔린 정면 1칸∼2칸, 측면 1칸 규모의 건물지가 확인되었다, 건물지 위치는 성 내부뿐만 아니라 거제와 진해만 방향이 양호하게 조망되므로 주5의 기능을 겸한 포루로 추정하였다. 해자는 초축의 동쪽 성벽에서 바깥쪽으로 18m 떨어진 곳에서 너비 5m, 잔존 깊이 1m 규모가 확인되었다.

성 내부에서는 주6터로 추정되는 건물지와 주7터, 주8, 회랑 구조의 건물지, 담장과 축대 등이 확인되엇다. 성내 동남쪽에서 확인된 객사는 정면 6칸, 측면 2칸 규모로 객사 뒤쪽으로 이어지는 회랑과의 공간 배치 상황으로 보아 정면 5칸이었던 것이 남쪽으로 1칸 증축된 것으로 추정하였다. 객사 앞쪽에는 월대로 추정되는 공간이 확인되었는데, 바닥에 얇은 돌이 깔리고 북쪽 일부에서는 그 위에 깔린 와전이 확인되었다.

출토 유물로 북문지에서 가정 18년(嘉靖十八年, 1539)이 적힌 암막새가 출토되었는데 천성진성 축조 이전의 건물에 쓰였던 기와가 재사용된 것으로 추정하였다. 한편, 북문지에서 주9가 수습되었고, 건물지 주변에서 조선시대 주10의 갑찰편 560여 점과 투구편, 화살촉 등이 출토되었다.

건립 경위

가덕도는 거제도의 동북부 해안과 진해만의 동쪽 지역이 관망되는 곳으로 고대로부터 왜구가 침입하는 길목에 위치하고 있다. 천성진성은 삼포왜란사량진왜변 등을 겪으면서 수군 증강을 위해 경상 우수영 관할의 여러 진을 정비하는 과정에서 1544년(중종 39)에 처음에는 보(堡)로 축성되었다. 1544년(중종 39) 6월에 쌓기 시작하여 9월에 완성되었다, 천성진성에서 북동쪽 3km 거리에 위치한 가덕진성(加德鎭城)과 더불어 거제도 동북부 해안과 진해만 동쪽을 관할하였다.

변천

임진왜란으로 폐허가 되었다가 1652년(효종 3) 천성진을 안골포에 있는 신문(新門)으로 옮겼으나 원래 위치로의 옮겨 설치하자는 논의가 있었고, 1656년(효종 7) 가덕도의 원래 위치로 이설되었다. 1871년(고종 8)까지 왜선과 주19 등의 출현에 따라 외적에 대한 요망과 방어의 역할을 맡았지만, 1895년(고종 32) 갑오개혁 이후 군제 개편에 따라 진이 폐지되었다.

형태와 특징

해발 459.4m의 연대봉에서 서쪽으로 완만하게 이어지는 구릉 말단부에 해당하는 곳으로, 천성항의 동쪽에 위치한다. 석축으로 쌓은 평지성으로 평면 형태는 남북 방향이 긴 직사각형이다. 전체 둘레 848m, 동서 성벽 간 거리 190m, 남북 성벽 간 거리 230m로 성벽 너비는 5m, 잔존 높이 4m 정도 규모이다. 초축 이후 북쪽과 동쪽 방향으로 성벽을 확장하였다. 확장한 성벽은 동서 성벽 50m, 남북 성벽 150m 규모이다. 북 · 남 · 동쪽에는 옹성을 두른 문지가 남아 있다. 문지 좌우와 성벽 중간 중간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치성을 두었다. 지표상에서 성벽 외곽으로 일정한 거리에 구(溝)처럼 낮은 저지대가 형성되어 있어 성 밖에는 해자를 두른 것으로 보인다. 〈군현지도, 1872년, 규장각 소장〉 중 천성진지도에는 진성 내 우측에 객사, 좌측에 아사 등의 내부 시설물들과 4대문이 표현되어 있다.

의의 및 평가

천성진성은 1544년 축조된 경상우수영 소속 수군진성으로 동쪽 가덕진과 함께 진해만 연안 방어의 최일선이었다. 남해안 일대 조선시대 수군진성 중 원형이 가장 잘 남아 있으며 성벽도 비교적 양호하게 남아 있다. 객사지 발굴 조사에서 조선 후기 두정갑 편 560여 점이 출토되어 동래 읍성에서 발굴된 조선 전기 주16과 함께 갑옷 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다.

참고문헌

단행본

『천성진성-2017년 시굴조사 보고서-』(부산박물관, 2017)
『천성진성 Ⅱ-2018년 2차 발굴조사 보고서-』(부산박물관·부산광역시 강서구청, 2020)
『천성진성 Ⅲ-2020년 천성진성 3차 시굴조사 보고서-』(부산박물관, 2021)
『천성진성 제4차 발굴조사 약식보고서』(부산박물관, 2021.4)
『천성진성 제5차 발굴조사 약식보고서』(부산박물관, 2022.6)
주석
주1

성문을 보호하고 성을 튼튼히 지키기 위하여 큰 성문 밖에 원형이나 방형(方形)으로 쌓은 작은 성.

주2

성벽에 달라붙은 적을 사살하기 위하여 사각형 또는 원형으로 성벽에 붙여 내어 쌓은 구조물.

주3

성가퀴를 앞으로 튀어나오게 쌓고 지붕을 덮은 시설물.

주4

방어를 위하여 성주위에 둘러 판 못.

주5

장수가 올라서서 명령ㆍ지휘하던 대.

주6

관아의 건물.

주7

조선시대에 주로 왕의 위패를 봉안하고 공식행사를 하던 곳.

주8

궁전의 정전과 같은 중요한 건물 앞에 설치하는 넓은 기단형식의 대(臺).

주9

사람과 말의 이동을 저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지면에 설치하는 마름열매 모양의 방어용 무기.

주10

두루마기 형태의 옷 안에 갑옷미늘을 부착하는 방식의 갑옷.

주12

건축물이나 비석 따위의 기초로 쌓는 돌. 우리말샘

주13

돌이나 벽돌을 쌓을 때에 그 틈서리에 시멘트나 모르타르를 채워 다지는 일. 우리말샘

주14

성 위에 오름. 우리말샘

주15

다른 곳으로 옮기어 설치함. 우리말샘

주16

작은 쇳조각을 이어 붙여 만든 갑옷. 우리말샘

주17

건축물을 세우기 위하여 잡은 터에 쌓은 돌. 우리말샘

주18

지붕을 이는 데에 쓰기 위하여 흙이나 시멘트 따위를 구워 만든 건축 자재. 우리나라에는 수키와와 암키와의 구별이 있다. 우리말샘

주19

모양이 다른 배라는 뜻으로, 다른 나라의 배를 이르는 말. 주로 조선 시대에 외국의 철선을 이르는 데에 쓰였다.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나동욱(복천박물관)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