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자 상감 연지원앙문 정병 ( )

목차
관련 정보
청자 상감연지원앙문 정병
청자 상감연지원앙문 정병
공예
유물
국가유산
고려 전기의 청자 정병.
이칭
이칭
청자상감유죽연로원앙문정병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청자 상감연지원앙문 정병(靑磁 象嵌蓮池鴛鴦文 淨甁)
분류
유물/생활공예/토도자공예/청자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국보(1962년 12월 20일 지정)
소재지
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로 102-11 (성북동, 간송미술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고려 전기의 청자 정병.
내용

1962년 국보로 지정되었다. 높이 37㎝, 밑지름 8.9㎝. 간송미술관 소장. 정병은 원래 중국을 통해 전해진 것으로, 고려시대에 가장 세련된 형태의 정병이 만들어져 청자는 물론 청동기로 제작된 여러 우수한 작품들이 전해온다.

서긍(徐兢)의 『선화봉사 고려도경(宣和奉使高麗圖經)』권31 기명2 정병조에 보면, 귀인(貴人) · 국관(國官) · 관사(觀寺) · 민사(民舍) 모두가 정병을 쓰며 물을 담는다는 내용이 있다. 또한 불교에서는 비구(比丘)가 지녀야 하는 18물 중의 하나로서 정병을 들고 있다. 합천 해인사 보물대장의 관욕기(灌浴器)라고 한 기명조항에 정병에 관한 설명이 있고 실제로 은입사(銀入絲)된 아름다운 정병이 보관되어 있어, 정병은 고려시대부터 불사에서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정병이라는 명칭은 원래 정수(淨水)를 담는 여러 형태의 물병을 모두 포함하는데, 우리나라에서는 대체로 긴 목에 나팔 모양의 주구(注口)가 달려 있고 타원형의 몸체에 굽이 달린 형태의 병만을 정병이라 통칭하는 것은 아마도 사찰에서 주로 사용된 정수병이 대부분 이러한 형태였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이 정병은 목과 어깨의 선이 부드럽고 주구(注口)의 뚜껑은 없어진 상태이나 세련된 형태를 보인다. 문양은 모두 백 상감 기법으로 평화로운 연못가의 정경이 회화적으로 표현되어 있다. 1962년 국보로 지정된 청동 은입사 포류수금문 정병과 매우 흡사한 모습을 보여 주고 있어 청자 상감기법과 청동기의 은입사기법의 연관성이라는 측면에서 주목된다.

이 정병처럼 단색으로 이루어진 상감기법은 초기 상감청자의 한 가지 특징이다. 이 정병은 유태(釉胎)가 정선되고 유빙렬이 거의 없는 초기 상감청자의 하나이다. 유약은 옅은 녹회청색이며 맑고 고르게 시유되었으며, 굽 밑에 규석(硅石) 조각을 받쳐 구웠다. 전라남도 강진의 청자 가마터에서 이와 비슷한 파편이 수집된다.

참고문헌

『문화재대관 - 국보 도자기 및 기타』(문화재청, 2011)
『한국의 미』청자(최순우 감수, 중앙일보사, 1981)
「고려청자와 불교」(윤용이, 『여산유병덕회갑기념논총』, 원광대학교출판국, 1990)
「한국고대의 금속병」(이난영, 『미술자료』23, 국립중앙박물관, 1978)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