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2년 국보로 지정되었다. 높이 37㎝, 밑지름 8.9㎝. 간송미술관 소장. 정병은 원래 중국을 통해 전해진 것으로, 고려시대에 가장 세련된 형태의 정병이 만들어져 청자는 물론 청동기로 제작된 여러 우수한 작품들이 전해온다.
서긍(徐兢)의 『선화봉사 고려도경(宣和奉使高麗圖經)』권31 기명2 정병조에 보면, 귀인(貴人) · 국관(國官) · 관사(觀寺) · 민사(民舍) 모두가 정병을 쓰며 물을 담는다는 내용이 있다. 또한 불교에서는 비구(比丘)가 지녀야 하는 18물 중의 하나로서 정병을 들고 있다. 합천 해인사 보물대장의 관욕기(灌浴器)라고 한 기명조항에 정병에 관한 설명이 있고 실제로 은입사(銀入絲)된 아름다운 정병이 보관되어 있어, 정병은 고려시대부터 불사에서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정병이라는 명칭은 원래 정수(淨水)를 담는 여러 형태의 물병을 모두 포함하는데, 우리나라에서는 대체로 긴 목에 나팔 모양의 주구(注口)가 달려 있고 타원형의 몸체에 굽이 달린 형태의 병만을 정병이라 통칭하는 것은 아마도 사찰에서 주로 사용된 정수병이 대부분 이러한 형태였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이 정병은 목과 어깨의 선이 부드럽고 주구(注口)의 뚜껑은 없어진 상태이나 세련된 형태를 보인다. 문양은 모두 백 상감 기법으로 평화로운 연못가의 정경이 회화적으로 표현되어 있다. 1962년 국보로 지정된 청동 은입사 포류수금문 정병과 매우 흡사한 모습을 보여 주고 있어 청자 상감기법과 청동기의 은입사기법의 연관성이라는 측면에서 주목된다.
이 정병처럼 단색으로 이루어진 상감기법은 초기 상감청자의 한 가지 특징이다. 이 정병은 유태(釉胎)가 정선되고 유빙렬이 거의 없는 초기 상감청자의 하나이다. 유약은 옅은 녹회청색이며 맑고 고르게 시유되었으며, 굽 밑에 규석(硅石) 조각을 받쳐 구웠다. 전라남도 강진의 청자 가마터에서 이와 비슷한 파편이 수집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