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락 ()

목차
관련 정보
언락 / 편락
언락 / 편락
국악
작품
전통성악곡인 가곡 중의 하나.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전통성악곡인 가곡 중의 하나.
내용

전통성악곡인 가곡 중의 하나. 촘촘히 엮어 나가는 낙시조(樂時調), 즉 엮는 ‘낙’이라는 뜻으로 ‘편락시조’로도 불린다. 남창으로만 불리고 황(黃) · 태(太) · 중(仲) · 임(林) · 남(南)의 평조선법(平調旋法)인 우조(羽調)로 부르다가 3장 중간에서 황 · 중 · 임의 3음으로 된 계면조(界面調)로 변조된다. 종지음은 탁중려[㑖]이고, 5장과 대여음(大餘音) · 중여음(中餘音)의 형식으로 되어 있다.

장단은 특이하여 대여음은 10점(點) 16박으로 가곡의 기본 장단을 사용하고, 초장에서 5장까지는 1장단이 10점 10박으로 변형된 장단을 사용한다. 노래말은 중형(엇) 또는 장형(사설) 시조시를 사용하는데, 자수가 늘어나면 3장과 5장의 장단이 확대되기도 한다. 하규일(河圭一) 전창(傳唱)으로 <나무도> · <청(靑)을치> · <솔아래의> · <봉황대상(鳳凰臺上)> · <목붉은> · <석인(昔人)이>의 여섯 곡이 있고, 노래말에 따라 가락이 조금씩 다르다. 가장 널리 불리는 곡의 노래말은 다음과 같다.

(초장) 나무도 바희돌도 없는 메에,

(2 장) 매게 휘 좃긴 가톨의 안과,

(3 장) 대천(大川) 바다 한가운데 일천석 실은 배에 노도 잃고 닷도 끊고 용총(龍驄)도 걷고 키(치)도 빠지고 바람불어 물결치고 안개 뒤섯겨 잦아진 날에 갈 길은 천리만리 남고 사면이 검어 어득저뭇 천지적막(天地寂寞) 가치놀 ᄯᅥ는듸 수적(水賊) 만난 도사공의 안과,

(4 장) 엊그제,

(5 장) 임 여흰 나의 안이사 엇다가를 허리요.

<태평가>를 제외한 다른 가곡과 마찬가지로 단(單)재비로 된 거문고 · 가야금 · 젓대 · 세피리 · 해금 · 장구 등의 관현 반주에 맞추어 부르는 독창곡이다. 대여음이 전주로 사용되고, 한배는 대개 1분 70정간(井間)의 빠른 속도로 부르다가 4장에 이르러 1분 30정간의 속도로 느려진다. 우조인 < 언락(言樂)>과 계면조인 <편삭대엽(編數大葉)> 사이에 부른다.

가곡원류≫에 의하면 ‘봄 · 가을의 비 · 바람과 초 · 한의 하늘과 땅[春秋風雨 楚漢乾坤]’과 같은 곡태(曲態)로 시끄럽고 변화무쌍한 곡이다. 수록되어 있는 악보로는 ≪ 현금오음통론(玄琴五音統論)≫ · ≪방산한씨금보(芳山韓氏琴譜)≫ 등이 있고, ≪ 청구영언≫ · ≪가곡원류≫ 등에 노래말이 전한다.

참고문헌

『청구영언(靑丘永言)』
『가곡원류(歌曲源流)』
『국악사론』(장사훈, 대광문화사, 1983)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