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구 ()

목차
관련 정보
형원사 보감국사묘응탑비 탁본(탑본)
형원사 보감국사묘응탑비 탁본(탑본)
불교
인물
고려후기 대선사, 양가도승통, 왕사 등을 역임한 승려.
이칭
구을(丘乙)
무극노인(無極老人)
시호
보감(寶鑑)
이칭
청분(淸玢)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251년(고종 38)
사망 연도
1322년(충숙왕 9)
본관
청풍(淸風)
주요 관직
양가도승통|왕사|국사
목차
정의
고려후기 대선사, 양가도승통, 왕사 등을 역임한 승려.
내용

청풍김씨(淸風金氏). 속명은 청분(淸玢). 자는 구을(丘乙), 호는 무극노인(無極老人). 부모가 복령사(福靈寺) 관음보살에게 기도하여 낳았다. 어릴 적부터 탑을 만들고, 벽을 향하여 앉아 사색에 잠겼으며, 용모가 단정하고 성품이 자애로워 소미타(小彌陀)라고 불렸다. 10세 때 무위사(無爲寺)로 출가하여 천경선사(天鏡禪師)의 제자가 되었으며, 구산선(九山選)의 상상과(上上科)에 수석으로 급제하였다.

그 뒤 일연(一然)을 따라 공부하여 그 자리를 이어 강석(講席)을 열었다. 1284년(충렬왕 10) 국청사(國淸寺)의 금탑(金塔) 속에 불아(佛牙)를 봉안하는 경찬법회(慶讚法會)에 참석하였으며, 1289년 이후 운문사(雲門寺)·내원당(內院堂)·연곡사(鷰谷寺)·보경사(寶鏡寺)의 주지를 역임하였다. 충렬왕은 가리법복(伽梨法服)을 하사하고, 여러 차례 글을 내렸으며 대선사(大禪師)로 삼았다.

충선왕이 즉위하여 양가도승통(兩街都僧統)을 제수하고, 대사자왕법보장해국일(大師子王法寶藏海國一)이라는 호를 내렸다. 1313년 충숙왕이 즉위하면서 왕사(王師)로 삼았다. 2년 후 은퇴하여 영원사(瑩源寺)에 머무르다가 말년에 송림사(松林寺)로 옮겨 임종게(臨終偈)를 남기고 앉아서 입적하였다.

저서로는 『어록(語錄)』 2권, 『가송잡저(歌頌雜著)』 2권, 『신편수륙의문(新編水陸儀文)』 2권, 『중편지송사원(重編指頌事苑)』 30권 등이 있었다고 하나 현재는 전하지 않는다. 또한, 스승인 일연이 지은 『삼국유사』의 전후소장사리조(前後所藏舍利條) 끝에 첨가한 안설(按說)과 진표전간(眞表傳簡) 아래에 부기한 관동풍악발연수석기(關東楓岳鉢淵藪石記)는 그가 지은 것이다. 국사로 추증되었고, 시호는 보감(寶鑑), 탑명은 묘응(妙應)이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익재난고(益齋亂藁)』
『동문선(東文選)』
『조선금석총람(朝鮮金石總覽)』(조선총독부, 1919)
「삼국유사(三國遺事)의 간행(刊行)과 유통(流通)」(김상현, 『한국사연구(韓國史硏究)』38, 1982)
「보각국존일연(普覺國尊一然)에 대한 연구(硏究)」(채상식, 『한국사연구(韓國史硏究)』26, 1979)
집필자
김상현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