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구 ()

목차
관련 정보
순천 송광사 십육조사 진영 중 제13세 각진국사 복구 진영
순천 송광사 십육조사 진영 중 제13세 각진국사 복구 진영
불교
인물
고려후기 제30대 충정왕의 왕사를 역임한 승려.
이칭
무능수(無能叟), 각엄존자(覺儼尊子)
이칭
무언수(無言叟)
시호
각진(覺眞)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270년(원종 11)
사망 연도
1355년(공민왕 4)
출생지
경상남도 고성
주요 관직
왕사|국사
목차
정의
고려후기 제30대 충정왕의 왕사를 역임한 승려.
내용

수선사(修禪社) 16국사 중 제13세 국사. 성은 이씨, 호는 무능수(無能叟) 또는 무언수(無言叟). 고성(固城) 사람이다. 부친은 충렬왕 때의 문관인 존비(尊庇)이다.

어려서부터 자질이 맑아 불법(佛法)을 존경하였고 놀 때도 불가(佛家)의 규칙을 본떴다고 한다. 10세 때 조계산(曹溪山)의 천영(天英) 밑에서 출가하고 구족계를 받았으나, 천영이 입적하자 수선사 제12세 자각국사(慈覺國師)도영(道英)을 좇아 공부하였다.

21세 때 선선상상과(禪選上上科)에 합격하였으나 산림 속에 머물러 명리에 초연하였다. 도영이 그를 지극한 예로써 대우하고 학도들을 맡기려 하였으나, 그는 “얻은 바 있은 뒤라야 남에게 전할 수 있는 것인데 진실로 감당할 수 없다.” 하고, 백암사(白巖寺)로 옮겨가 10여 년 동안 참선하며 진리를 연구하였다.

그 뒤 월남사(月南寺)·수선사 등에 40여 년을 머물면서 중생제도와 국태민안을 위하여 노력하였다. 충정왕의 왕사(王師)가 되어 각엄존자(覺儼尊者)라는 호를 받았고, 또 1352년(공민왕 1)에는 공민왕에게서 왕사의 책(冊)을 받았다.

이 때 왕명을 받아 전라남도 영광군불갑사(佛岬寺)에 머무르고 있었는데, 왕은 그의 나이와 건강을 염려하여 그의 초상화를 그려서 예를 거행할 정도로 지극한 정성과 존경으로 섬겼다. 1355년불갑사에서 백암사로 옮겨 거처하다가 그 해 7월 27일에 임종게(臨終偈)를 남기고 입적하였다.

문인으로는 선원(禪源)·백화(白華)·가지(迦智)·마곡(麻谷) 등이 있다. 국사로 추증되었고 시호는 각진(覺眞), 탑호는 자운(慈雲)이다. 1359년 칙명에 의하여 이달충(李達衷)이 비명(碑銘)을 짓고 이제현(李齊賢)이 글씨를 써서 불갑사에 비를 세웠다.

참고문헌

『동문선(東文選)』
『조선금석총람 (朝鮮金石總覽)』상(조선총독부, 1919)
집필자
김위석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