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보 ()

불교
인물
고려 전기에, 후백제의 견훤과 고려 태조의 왕사였던 승려.
이칭
광종(光宗)
시호
동진(洞眞)
이칭
옥룡선화상(玉龍禪和尙), 보운(寶雲)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869년(경문왕 9)
사망 연도
948년
출생지
전라남도 영암
주요 관직
왕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고려 전기에, 후백제의 견훤과 고려 태조의 왕사였던 승려.
개설

전라남도 영암 출생. 성은 김씨. 자는 광종(光宗). 경보는 법명이다. 아버지는 알찬(閼粲) 익량(益良)이며, 어머니는 박씨이다.

생애와 활동사항

19세에 팔공산 부인사(符仁寺)로 출가했다가 전라도 광양의 백계산(白鷄山)으로 옮긴 뒤 도승(道乘)의 제자가 되어 선(禪)과 율(律)을 익혔다. 19세에 월유산 화엄사에서 구족계를 받고 계율을 수행하는 데 몰두하다가, 백계산을 떠나 성주산(聖住山)의 무염(無染)과 굴산사(堀山寺)의 범일(梵日) 문하에서 선을 닦았다.

892년(진성여왕 6) 당나라의 이름 있는 여러 사찰을 찾아 수행하다가, 무주(撫州: 강서성)의 소산(疎山)에서 조동종(曹洞宗)의 광인(匡仁)을 만났다. 광인은 ‘가자미 바다에서 온 용’이라고 하면서 선법(禪法)을 전하였다. 그 뒤 광인의 소개로 강서지방의 노선(老善)을 찾아가니, “흰구름에 가리어 길이 막혔네.”라고 하였다. “본디 푸른 하늘 길에 흰구름이 어찌 있나.”라고 답하였는데, 노선은 그 뒤 매우 귀중하게 여겼다.

그 후 노선의 만류를 뿌리치고 여러 사찰을 다니다가 921년에 귀국하여 전라도 임피군(臨陂郡: 지금의 전라북도 군산시 임피면)에 이르렀는데, 후백제의 견훤이 전주에 있는 남복선원(南福禪院)에 머물게 하고 스승으로 삼았다. 뒷날 다시 백계산의 옥룡사(玉龍寺)로 옮겼다가, 936년 견훤이 죽고 고려로 통일되자 태조가 왕사로 모셨다.

그 뒤 2대 혜종과 3대 정종의 왕사가 되었으며, 정종의 명으로 개경에서 머물다가 옥룡사로 돌아와 상원(上院)에서 머물렀다. 제자들에게 “옷차림을 바로 하고 음식을 평등히 하고 선열(禪悅)로써 맛을 삼아라.”는 임종게(臨終偈)와 함께, 탑과 비석을 세우지 말 것을 당부하고 입적하였다. 나이 79세, 법랍 62세였다. 대표적인 제자로는 천통(泉通)과 현가(玄可) 등이 있다.

상훈과 추모

정종은 옥룡선화상(玉龍禪和尙)이라 부르고, 동진대사(洞眞大師)라는 시호와 보운(寶雲)이라는 탑명을 내렸다. 비는 958년 김정언(金廷彦)이 짓고, 비문은 제자인 현가가 썼으며 계묵(繼默)이 새겨서 옥룡사에 세웠다. 현재 옥룡사 터에 남아 있다.

참고문헌

『한국금석문(韓國金石文)』(허흥식, 아세아문화사, 1984)
『조선선교사(朝鮮禪敎史)』(忽滑谷快天, 정호경 역, 보련각, 1978)
『朝鮮金石總覽』(朝鮮總督府, 1919)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