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등산 규봉사 ( )

목차
관련 정보
화순 규봉사
화순 규봉사
불교
유적
전라남도 화순군 이서면 무등산(無等山)에 있는 고려후기 승려 혜심과 혜근 관련 사찰.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전라남도 화순군 이서면 무등산(無等山)에 있는 고려후기 승려 혜심과 혜근 관련 사찰.
내용

대한불교조계종 제21교구 본사인 송광사(松廣寺)의 말사이다. 신라시대에 의상(義湘)이 창건하였다는 설과 도선(道詵)이 창건하였다는 설, 1183년(명종 13)에 보조국사(普照國師)가 창건하였다는 설 등이 있으나, 주변 유물로 보아 보조국사의 창건설이 가장 신빙성이 있다.

그 뒤 진각국사 혜심(慧諶, 1178∼1234)과 혜근(惠勤, 1320∼1376)도 이곳에서 수도했다고 한다. 1729년(영조 15) 연경(演瓊)이 중건하였다. 이후 6·25 때 폐사가 된 것을 1957년 주지 이한규가 대웅전과 요사채를 신축하였으며, 최근에는 정인(正因)이 1995년 대웅전을 중건하였고, 1996년 관음전을 새로 지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대웅전은 깎아 세운 듯한 절벽 아래에 자리 잡고 있고, 뒤편에 마애불을 안치한 석굴이 있으며, 그 앞에 요사채가 있다. 높이 1.3m의 마애여래좌상은 고려시대 작품으로 추정되며, 천연의 단애에 동굴을 뚫고 불상을 조각하여 안치한 것으로 우리나라 석굴사원양식 변천의 연구에도 좋은 자료가 된다.

절 주변에는 각양각색의 바위들이 수없이 솟아 선경을 이루고 있다. 은신대(隱身臺)·삼존석(三尊石)·십이대(十二臺)·광석대(廣石臺)·풍혈대(風穴臺)·설법대(說法臺) 등의 명소들은 신라와 고려 때의 고승들이 수도하였던 자리라고 전하고 있다.

이 가운데 삼존석과 십이대에는 바위틈에서 솟아나는 물이 아무리 가물어도 마르지 않으므로 기이하게 여겨 의상이 정사(精舍)를 지었다는 설화와 함께 보조국사와 진각국사(眞覺國師)가 수도하여 득도하였다는 설이 전래되고 있다. 은신대는 보조국사가 이 바위에 앉아 조계산의 산세를 바라보면서 송광사의 절터를 잡았다는 전설이 전하고 있다.

참고문헌

『전통사찰총서』 7(사찰문화연구원, 1996)
『내 고장 전통 가꾸기』(화순군, 1981)
『한국사찰전서(韓國寺刹全書)』 상(上)(권상로, 동국대학교출판부, 1979)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김위석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