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순목 ()

홍순목 글씨
홍순목 글씨
근대사
인물
조선 후기에, 대사헌, 이조판서, 영의정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희세(熙世)
분계(汾溪)
시호
문익(文翼)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16년(순조 16)
사망 연도
1884년(고종 21)
본관
남양(南陽: 지금의 경기도 화성)
출생지
서울
관련 사건
갑신정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후기에, 대사헌, 이조판서, 영의정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남양(南陽). 자는 희세(熙世), 호는 분계(汾溪). 서울 출신. 홍현규(洪顯圭)의 손자로, 승지 홍종원(洪鍾遠)의 아들이며, 갑신정변을 일으킨 홍영식(洪英植)의 아버지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844년(헌종 10) 증광별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 지평 · 수찬을 지내고, 1846년 초계문신(抄啓文臣)에 뽑혔다. 1849년 헌종이 죽자 빈전도감도청(殯殿都監都廳)이 되고, 부사과를 거쳐 1858년(철종 9) 이조참의로 승진하였다. 1863년 대사헌이 되었으며, 이 해에 고종이 즉위하자 흥선대원군의 신임을 받아 1864년(고종 1) 황해도관찰사가 되고, 1866년 이조판서 · 예문관제학 · 홍문관제학 · 한성부판윤 등 여러 관직을 거친 뒤 다시 이조판서가 되었다. 1867년 예조판서를 역임하고, 1869년 우의정에 올랐다.

수구 세력 강경파의 거두로서 대원군의 쇄국정책을 적극적으로 지지하여, 1871년 신미양요 때는 미국에 맞서 싸울 것을 주장하였다. 1872년 영의정을 거쳐 영돈녕부사가 되었다. 이듬해 최익현(崔益鉉)이 대원군을 탄핵하는 상소를 올리자 다른 대간들과 함께 최익현의 처벌을 주장하였다. 대원군이 실각한 직후인 그 해 11월 파직되었으나, 다음 달인 12월 영돈녕부사직에 복직되고, 1875년 판중추부사가 되었다. 1876년 일본이 통상을 요청하자 척화론을 펼쳤으며, 1879년 호위대장(扈衛大將)을 겸직하고, 다시 영돈녕부사가 되었다.

1882년 3월 재차 영의정이 되었으며, 같은 해 6월 임오군란으로 집권한 대원군 밑에서도, 그 직후 그가 실각했을 때도 계속 영의정을 맡았다. 이 해 12월에 단행된 관제개혁 때 총리군국사무(總理軍國事務)를 겸임하였으며, 1883년 재정난을 타개하기 위한 당오전(當五錢)의 주조를 주장하여 이를 실현시켰다. 같은 해 5월 총리대신을 겸직했고, 9월에는 영중추부사가 되었다. 1884년 아들 홍영식 등이 갑신정변을 일으켰으나 사흘 만에 실패하고 홍영식이 피살되는 사건이 발생하자, 관직을 삭탈당했고, 이어 자살하였다.

상훈과 추모

1894년 갑오개혁으로 복관되었다. 시호는 문익(文翼)이다.

참고문헌

『국조방목(國朝榜目)』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일성록(日省錄)』
『헌종실록(憲宗實錄)』
『철종실록(哲宗實錄)』
『고종실록(高宗實錄)』
『순종실록(純宗實錄)』
『대한계년사(大韓季年史)』
『매천야록(梅泉野錄)』
『한국사강좌』근대편(이광린, 일조각, 1981)
『한국사』16(국사편찬위원회, 탐구당, 1975)
『한국사』최근세편·현대편(진단학회, 을유문화사, 1961·1963)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