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릉 ()

고려시대사
유적
북한 개성특별시에 있는 고려 전기 제8대 국왕 현종의 제3비인 원성왕후 김씨의 능.
유적/고인돌·고분·능묘
양식
건립 시기
1028년(현종 19)
관련 국가
고려
관련 인물
원성왕후
소재지
개성특별시
내용 요약

명릉(明陵)은 북한 개성특별시에 있는 고려 전기 제8대 국왕 현종의 제3비인 원성왕후 김씨의 능이다. 1028년 7월에 조성하였는데 『고려사』에는 현종의 선릉과 원성왕후의 명릉을 지키는 인원이 같다는 기록으로 보아 1031년 조성된 현종의 선릉이 있는 곳에 3기의 무덤이 있어 그중 1기가 원성왕후릉일 가능성이 높다. 현재 북한에는 명릉이라는 고려왕릉의 능호를 지닌 곳에 3기의 무덤이 있지만, 이곳은 충목왕의 명릉으로 여겨져 능호만 같을 뿐이지만, 명릉떼 2릉의 능묘 문석인이 선릉떼 1릉의 것과 양식적으로 같아 이곳일 가능성도 있다.

정의
북한 개성특별시에 있는 고려 전기 제8대 국왕 현종의 제3비인 원성왕후 김씨의 능.
건립경위

원성왕후(元成王后)주1시중을 지낸 김은부(金殷傅)의 딸이며, 어머니는 주2주3이허겸(李許謙)의 딸이다. 1010년(현종 1) 현종의 제3비인 연경원주가 되었다가, 정종을 낳은 뒤 궁주가 되고 곧 왕비로 봉해졌다. 왕비의 두 자매 모두 왕비가 되어 세 자매가 왕비가 된 왕실족내혼의 사례이다.

덕종과 정종, 인평왕후(仁平王后), 경숙공주(景肅公主) 등을 낳았다. 1028년(현종 19) 7월 을묘일에 세상을 떠나 능호를 명릉(明陵)이라 하였다. 1031년(현종 22) 현종의 사후, 신주는 태묘의 현종묘(顯宗廟)에 주4되었고, 덕종 즉위 후 왕태후로 추존되었다.

형태와 특징

원성왕후의 명릉은 정확한 위치를 알 수 없어 주5주6의 구조 등을 파악할 수 없다. 『 고려사』 「위숙조」에 의하면 현종의 선릉(宣陵)과 마찬가지로 원성왕후 명릉에는 산직장상 2명을 배치하여 왕릉과 왕후릉을 지켰다는 기록으로 미루어 보아 현종의 선릉 근처에 존재할 가능성이 있다.

현재 현종 선릉은 개성특별시 개풍군 해선리에 자리하고 있는데, 이곳에는 3기의 왕릉급 무덤이 있어 선릉떼 1릉, 선릉떼 2릉, 선릉떼 3릉으로 부르고, 이 중 1기가 원성왕후의 명릉일 것으로 추정된다.

선릉떼 1릉은 봉토 아래에 주7과 난간석, 주8, 주9 2쌍과 주10 1쌍이 주11하여 능주가 현종이라면, 나머지 선릉떼 2릉이나 선릉떼 3릉 중 1기가 원성왕후의 명릉일 수 있다.

조선에 들어서 1662년(현종 3)에 고려왕릉에 대한 실태 조사를 하면서 명릉의 상태에 대한 기록이 보이지만, 이것은 고려의 왕릉에 대한 기록이어서 원성왕후 명릉보다는 충목왕 명릉을 지칭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다만 명릉 주위에 3기의 무덤이 있다고 되어 있는데, 무담칸 내부까지 밝혀진 명릉떼 1기가 충목왕 명릉이라면, 원유관을 쓴 형상의 문석인이 현종 선릉으로 여겨지는 선릉떼 1릉과 유사한 명릉떼 2릉이 원성왕후의 명릉일 가능성은 남아 있다. 원성왕후의 명릉인지, 충목왕의 명릉인지 밝히기 어렵지만, 명릉이라는 능호가 있는 무덤군들은 1818년(순조 18)과 1867년(고종 4)에 표석을 세워 조선 후기까지 지속적으로 관리되었다.

의의 및 평가

고려의 왕릉 중에 명릉이라는 능호는 2기에 사용되었는데, 고려 전기 제8대 현종의 제3왕비인 원성왕후 명릉과 고려 후기 제29대 충목왕 명릉이다. 현재 북한 개성특별시에는 명릉떼라 하여 명릉의 능호를 지닌 무덤에 3기가 함께 자리하여 명릉떼라고 지칭하고 있다. 이곳 3기의 무덤 중 고려 전기 원성왕후의 명릉과 고려 후기 충목왕의 명릉이 혼재하고 있는 것인지 알 수 없다.

다만 발굴에 의해 무덤 내부 구조가 밝혀진 명릉떼 1릉이 충목왕 명릉일 가능성이 높다면, 명릉떼 2릉은 원유관을 쓰고 비스듬히 을 든 능묘조각의 특성이 현종 선릉으로 비정되는 선릉떼 1릉의 능묘 조각과 양식적으로 친연성이 높아 원성왕후 명릉일 가능성도 있다.

참고문헌

원전

『고려사(高麗史)』

단행본

장경희, 『고려왕릉(증보판)』(예맥, 2013)
김인철, 『고려왕릉연구』(사회과학출판사, 2010)
장경희, 『고려왕릉』(예맥, 2008)

논문

홍영의, 「조선시대 고려왕릉의 현황과 보존 관리 실태」(『한국중세고고학』 5, 2019)
허흥식, 「고려의 왕릉과 사원과의 관계」(『고려시대연구』 Ⅰ, 2000)
황운룡, 「고려 벌족에 관한 연구」(친학사, 1978)

인터넷 자료

이북오도청(https://ibuk5do.go.kr/)
주석
주1

고려 현종의 비(?~1028). 성은 김(金). 김은부와 이허겸(李許謙)의 딸이다. 현종 2년(1011) 거란의 침입으로 나주에 피난을 갔던 현종이 개경으로 환궁하던 길에, 절도사 김은부의 집에서 묵게 된 인연으로 왕비로 책봉되었다.    우리말샘

주2

고려 시대에, 상서도성(尙書都省)에 속한 정이품 벼슬. 성종 14년(995)에 두어 문종 때 품계와 정원을 정하였는데, 그 뒤 설치와 폐지를 거듭하다가 공민왕 11년(1362)에 없앴다.    우리말샘

주3

종이품 이상 벼슬아치의 죽은 아버지, 할아버지, 증조할아버지에게 벼슬을 주던 일.    우리말샘

주4

제례에서, 삼년상을 마친 뒤에 그 신주를 조상의 신주 곁에 모실 때 지내는 제사.    우리말샘

주5

묘에 대한 관습이나 제도.    우리말샘

주6

시체가 안치되어 있는 무덤 속의 방.    우리말샘

주7

능(陵)을 보호하기 위하여 능의 위쪽 둘레에 병풍처럼 둘러 세운 긴 네모꼴의 넓적한 돌. 겉에 12신(神)이나 꽃무늬 따위를 새긴다.    우리말샘

주8

무덤 앞의 양쪽에 세우는 한 쌍의 돌기둥. 돌 받침 위에 여덟모 진 기둥을 세우고 맨 꼭대기에 둥근 대가리를 얹는다.    우리말샘

주9

능(陵) 앞에 세우는 문관(文官)의 형상으로 깎아 만든 돌. 도포를 입고 머리에는 복두(幞頭)나 금관을 쓰며 손에는 홀(笏)을 든 공복(公服) 차림을 하고 있다.    우리말샘

주10

왕릉이나 큰 무덤 주위에 돌로 만들어 세운 호랑이.    우리말샘

주11

후세에 남아 보존됨. 또는 후세에 남기어 보존함.    우리말샘

집필자
장경희(한서대학교 교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