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인예송은 1674년(현종 15) 효종 왕비 인선왕후의 국상에 자의대비가 입을 상복을 두고 일어난 예송 사건이다. 인선왕후가 장자의 부인인가 차자의 부인인가에 따라 자의대비는 기년복 혹은 대공복을 입어야 했는데, 이는 효종이 장자인가 차자인가 하는 효종의 종통과도 연관된 문제였다. 현종은 효종의 종통을 문란하게 만든 서인의 대공복 논리에 분노하여 복제를 기년복으로 개정하고 서인을 처벌하였다. 복제 개정 후 한 달여 만에 현종이 승하하자 14세의 나이에 즉위한 숙종은 장례 후 과감히 서인들을 조정에서 축출하고 남인을 등용하여 정국을 개편했다.
갑인예송(甲寅禮訟)은 1674년(현종 15) 2월 효종(孝宗)의 왕비 인선왕후(仁宣王后)의 국상이 일어나자, 시어머니 자의대비(慈懿大妃, 趙大妃)가 입을 상복을 두고 일어난 예송(禮訟) 사건이다. 일명, ‘제2차 예송’이라고도 한다.
초상 직후 정권을 잡고 있던 서인들은 대공복으로 결정하였으나, 7월 6일 남인계의 대구 유생 도신징이 상소하여 기년복의 복제(服制)의 오류를 지적하였다. 이에 현종은 조정의 대신과 중신들을 불러 대공복으로 정한 이유를 추궁하고 재검토할 것을 지시하였다.
서인들은 송시열의 ‘체이부정’ 논리에 따라 계속 대공복을 주장하였으나, 현종은 기해예송에서 장자와 차자를 구분하지 않는 ‘국제 기년설’을 채택했음을 이유로 7월 15일 복제를 기년복으로 개정하고 서인 중심인물들을 처벌하였다.
그해 8월에 현종이 죽고 숙종이 즉위하자, 서인들을 대거 축출하고 남인들을 등용하여 인조반정 이후 50여 년 만에 정국이 개편되었다.
갑인예송은 기해예송의 재판으로서, 그 핵심은 인선왕후가 인조의 장자부로 볼 것인가, 중자부(衆子婦)로 볼 것인가 하는 문제였다. 기해예송에서 공식적으로 채택된 것은 효종의 장자와 차자의 지위를 구분하지 않는 정태화의 ‘국제 기년복’이었다.
그러나 『경국대전』에는 장자와 차자에 대한 상복은 구분하지 않았지만, 장자부와 중자부에 대하여는 각기 기년복과 대공복으로 구분하고 있었다. 당시 서인들은 기해예송에서 기년복이 채택되었으므로 인선왕후를 중자부로 인식하여 대공복을 주장하였다. 그러나 도신징은 기해예송에서 효종을 중자로 간주한 적이 없다는 것을 지적하여 대공설을 비판하였다.
갑인예송은 도신징이 문제를 제기하였지만, 그해 7월의 복제 논란은 서인 고관들과 국왕 현종 사이에서 진행되었다. 현종의 뒤에는 외척 김석주(金錫冑)가 이론적으로 뒷받침하였고 제1차 예송의 주역들인 남인들,즉 허목(許穆) · 윤휴(尹鑴) · 윤선도(尹善道) · 권시(權諰) 등은 전혀 이 예송에 참여하지 않았다.
1674년(현종 15) 2월, 인선왕후의 초상 직후에 정권을 잡고 있던 서인들은 자의대비의 복제를 대공복(大功服)으로 결정하였다. 이는 송시열의 ‘체이부정(體而不正: 대통을 계승하였더라도 적장자가 아니면 삼년복을 입지 않음)’ 논리를 반영하여 인선왕후를 인조의 중자부로 본 것이었다.
그해 7월 6일 남인계의 대구 유생 도신징(都愼徵)이 상소하여 기년복의 오류를 지적하였다. 그 요지는 기해예송에서 효종을 중자로 간주한 적이 없었다는 것이다. 이에 현종은 조정의 대신과 중신들을 불러 대공복으로 정한 이유를 추궁하고 재검토할 것을 지시하였다. 그래서 왕과 서인들 간에는 네 차례의 논쟁이 왕복되었다.
그러나 서인들은 자신들의 입장을 바꿀 수 없었으므로 계속 대공복을 주장하였다. 이에 현종은 기해예송에서 장자와 차자를 구분하지 않는 ‘국제 기년설(‘國制朞年說)’을 채택했음을 이유로 7월 15일 복제를 기년복으로 개정하고, 서인 중요 인물들을 송시열에게 빌붙은 죄로 처벌하였다.
현종은 효종의 종통을 비하하는 대공복의 논리에 분노하여 복제를 개정하고 서인 당로자들을 처벌하였다. 현종은 갑인예송의 복제를 개정한지 한 달여 만인 1674년(현종 15) 8월에 갑자기 승하하였다. 나이 14살에 즉위한 숙종은 현종의 장례를 마친 후, 과감히 서인들을 조정에서 축출하고 남인들을 등용하여 정국을 개편하였다.
갑인예송은 그 내용과 성격에 있어서 기해예송의 재판이었고, 남인 도신징에 의해 촉발되었지만, 실제의 복제 논쟁은 현종과 서인 조신들 간 사이에서 이루어졌다. 남인은 복제의 오례(誤禮)와 종통을 문란시킨 죄를 물어 송시열과 김수흥(金壽興) 등 서인의 핵심 인사들을 탄핵하여 유배 보냈고, 이 때문에 당쟁이 더욱 치열하게 되었다. 갑인예송은 인조반정 이후 50여 년 만에 서인 남인 간의 정권 교체를 가져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