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은선생시집 권1~2 ( ~)

유교
작품
문화재
조선 전기, 계미자로 간행된 고려 말 문인 이숭인의 시집.
이칭
이칭
도은집(陶隱集), 도은선생집(陶隱先生集), 도은시집(陶隱詩集)
작품/문학
간행 연도
1407년(태종 7)
작가
이숭인(李崇仁)
국가지정문화재
지정기관
문화재청
종목
보물(2019년 06월 26일 지정)
소재지
서울특별시 서초구
내용 요약

도은선생시집 권1~2는 조선 전기, 계미자로 간행된 고려 말 문인 이숭인의 시집이다. 1406년(태종 6) 이후 조선 최초의 금속활자 계미자로 간행되었다. 2권 2책으로 권1에 사 1편과 시 30편, 권2에 시 154편이 실려 있다. 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 소장 목판본 『도은선생집』 5권 1책과 비슷한 시기에 간행된 것으로 추정된다.

정의
조선 전기, 계미자로 간행된 고려 말 문인 이숭인의 시집.
저자

이숭인(李崇仁, 1347~1392)은 고려 말 문인으로 주1으로 정몽주(鄭夢周)와 함께 실록(實錄)주2하였다.

문장이 뛰어나 목은(牧隱) 이색(李穡), 포은(圃隱) 정몽주와 함께 고려의 삼은(三隱)으로 일컬어진다. 저서로는 주3이 있다.

구성 및 형식

2권 2책. 계미자본(癸未字本). 본디 시집(詩集) 3권, 문집(文集) 2권으로 구성되었으나 현재 시집 권1~2만 남아 있다. 권1에 사(辭) 1편과 시(詩) 30편, 권2에 시 154편이 실려 있다.

내용

고려 말 문인 이숭인의 시집으로 1406년 이후 간행되었다. 태종의 명으로 간행되었으며, 변계량(卞季良)주4하고 권근(權近)이 서문을 썼다. 조선 최초의 금속활자 계미자로 간행되었다.

저자는 생전에 자신의 시고(詩稿)를 『봉사록(奉使錄)』, 『도은제음고(陶隱齊吟稿)』, 『관광집(觀光集)』 등으로 정리하고 이색, 정도전(鄭道傳), 고손지(高巽志) 등에게 주5을 받아 두었다. 변계량이 이를 주6한 것으로 추정된다.

조선 초기에 간행되었음에도 고려 국왕을 위한 피휘(避諱)주7 등이 보인다는 점이 특징이다.

의의 및 평가

이숭인의 문집은 7종의 판본이 있는데, 주8으로 추정되는 것은 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에 소장된 목판본 『 도은선생집(陶隱先生集)』 5권 1책으로, 보물로 지정되어 있다.

『도은선생시집』 권1~2는 초간본과 비슷한 시기에 간행된 것으로 보이는데, 계미자가 1403년(태종 3) 주조되었고 권근의 서문은 1406년에 쓴 것이므로, 1406년 이후 간행되었다고 추정할 뿐이다.

현전하는 계미자 간본(刊本)은 10여 종에 불과하며, 『도은선생시집』은 그중 하나로 자료적 가치가 높다. 2019년 6월 26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참고문헌

논문

장인진, 「『陶隱先生集』의 版本과 文獻的 특성」(『한국학논집』 51,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2013)

인터넷 자료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탈(http://www.heritage.go.kr)
주석
주1

고려 시대에, 밀직사(密直司)에 속한 정3품 벼슬. 충렬왕 때 추밀원(樞密院) 직학사(直學士)를 고친 것이다.    우리말샘

주2

책을 편집하고 수정함.    우리말샘

주3

고려 말기의 학자 도은(陶隱) 이숭인(李崇仁)의 시문집. 『고려사』에서도 “『도은집』이 있어 세상에 전한다.”라고 하였지만, 그 간행연대는 명확하지 않다. 더욱이 저자 생전에 간행되었다 하더라도, 그 판본이나 책의 권수는 알 수가 없다.

주4

순서에 따라 편집함. 또는 그런 순서    우리말샘

주5

서문(序文)과 발문(跋文)을 아울러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6

두 편 이상의 글이나 책 따위를 합쳐서 한데 엮음. 또는 그 책    우리말샘

주7

글을 쓸 때에 경의를 표하는 글귀는 딴 줄을 잡아 쓰되, 다른 줄보다 몇 자 올리거나 비우고 쓰는 일

주8

여러 차례 간행된 책에서 맨 처음 간행된 책    우리말샘

집필자
장유승(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