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편유취대동시림 권9~11, 31~39 ( ~, ~)

한문학
문헌
국가유산
조선 전기의 문신 유희령이 우리나라 문인들의 시를 모아 간행한 시선집.
이칭
이칭
대동시림(大東詩林), 시림(詩林)
문헌/고서
간행 시기
1542년(중종 37)
편저자
유희령(柳希齡)
소장처
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신편유취대동시림 권9~11, 31~39(新編類聚大東詩林 卷九~十一, 三十一~三十九)
분류
기록유산/전적류/활자본/금속활자본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보물(2019년 06월 26일 지정)
소재지
대구광역시 달서구 달구벌대로 1095 (신당동, 계명대학교)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신편유취대동시림』 권9~11, 31~39는 조선 전기의 문신 유희령이 우리나라 문인들의 시를 모아 간행한 시선집이다. 조선 중종 대의 문신 유희령이 고대부터 당시까지 우리나라 문인들의 시를 선발하여 엮은 책이다. 1542년(중종 37) 완성하여 병자자로 간행하였으며, 전체 70권 중 12권 3책이 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전모를 확인할 수는 없으나 조선 초기에 편찬된 시선집 가운데 가장 방대하다.

정의
조선 전기의 문신 유희령이 우리나라 문인들의 시를 모아 간행한 시선집.
저자

조선 전기의 문신 유희령(柳希齡)이 고대부터 당시까지 우리나라 문인들의 시를 선발한 시선집이다. 이제신(李濟臣)의 『후청쇄어(鯸鯖瑣語)』에 따르면 유희령은 젊은 시절부터 시를 수집하기 시작하여 노년에 비로소 이 책을 완성하였다.

『중종실록』 37년(1542) 4월 10일 기사에 유희령이 『대동시림』과 『대동연주시격(大東聯珠詩格)』을 바쳤다고 하였으니, 이때 완성된 것으로 보인다.

구성 및 형식

이 책은 기존에 간행된 바 있는 시문집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시기적으로는 고대로부터 당대까지의 시를 모았으며, 작자 또한 종친, 여성, 승려, 귀화인 등 다양한 인물들의 작품을 집대성하였다. 체계의 구성에 있어서도 시대, 신분, 작자의 생몰년(生沒年)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나름의 기준을 가지고 편찬하였다.

내용

12권 3책. 병자자본(丙子字本). 본디 70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계명대본은 권911과 권3139만 남아 있고, 아단문고[현 현담문고]에 2권 1책[권4748], 충남대학교 도서관에 5권 2책[권1314, 63~65]이 소장되어 있다. 전모를 확인할 수는 없으나 조선 초기에 편찬된 시선집 가운데 가장 방대한 분량이다.

특징

본 유물은 『신편유취대동시림』 총 70권 중에서 권911과 권3139에 해당한다. 이 판본은 1542년경에 금속활자병자자로 간행하였다. 병자자는 1516년(종종 11) 주자도감(鑄字都監)에서 『자치통감(資治通鑑)』을 간행할 때 새로 주조한 것으로, 이 책은 병자자로 인출한 금속활자본이라는 점에서 귀중한 자료라 할 수 있다.

또한, 이 책의 내용이 1478년(성종 9) 간행된 『동문선(東文選)』에 수록된 시나 각 작가들의 문집에 수록된 원문과 비교할 때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어 16세기 우리나라 시문집 간행의 과정을 살펴보는 데 중요한 서책으로 판단된다.

의의 및 평가

어숙권(魚叔權)『패관잡기(稗官雜記)』에서 이 책의 여러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첫째, 김시습(金時習)을 승려로 분류한 점, 둘째, 어무적(魚無迹)의 시는 신분을 문제 삼아 수록하지 않은 반면, 부친 유인귀(柳仁貴)의 시를 다수 수록한 점, 셋째, 사신으로 온 일본 승려들의 시를 수록한 점, 넷째, 여성의 시는 수준에 관계없이 모두 수록한 점, 다섯째, 이규보(李奎報)박은(朴誾)의 장편시를 수록하지 않은 점 등이다.

그러나 이러한 비판에도 이 책의 자료적 가치는 일찍부터 인정을 받았다. 허균『학산초담』에서 역대 조선 국왕의 시를 이 책에서 대략 볼 수 있다고 했다. 실제 『열성어제』를 편찬하는 과정에서 조선 초기 국왕들의 시는 이 책에서 선발하였다.

2019년 6월 26일 보물로 지정되었고, 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참고문헌

인터넷 자료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http://www.heritage.go.kr)
한국고전종합DB(http://db.itkc.or.kr)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