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운 묘 출토 유물 ( )

의생활
의복
국가유산
광주역사민속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조선 중기의 사림 고운 묘에서 출토된 복식과 기타 물품.
의복
재질
무명|모시|명주
제작 시기
16세기 초
소장처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고운 묘 출토유물(高雲 墓 出土遺物)
분류
유물/생활공예/복식공예/의복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국가민속문화유산(2001년 06월 26일 지정)
소재지
광주광역시 북구 서하로 48-25 (용봉동, 광주역사민속박물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고운 묘 출토유물은 광주역사민속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조선 중기의 사림 고운 묘에서 출토된 복식과 기타 물품이다. 복식 유물은 단령, 직령, 철릭, 과두, 답호, 바지, 소모자, 버선 등이 출토되었다. 직령과 철릭 등 포에서는 임진왜란 이전 복식의 특징이 나타난다. 16세기 초 복식과 장례 풍속을 알려주는 귀중한 자료이다.

정의
광주역사민속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조선 중기의 사림 고운 묘에서 출토된 복식과 기타 물품.
연원

고운(高雲, 1479∼1530)은 조선 중기의 문장가이다. 본관은 장흥(長興), 자는 언룡(彦龍) · 종룡(從龍), 호는 하천(霞川)이다. 29세에 진사가 되었고 41세에 별시과인 병과에 급제하였다. 문과에 급제 후 벼슬에 나가지만, 그 이듬해 기묘사화(己卯士禍)로 화를 당해 낙향 후 기묘명현(己卯名賢)으로 일컬어졌다.

호남 사림(士林)으로서, 임진왜란 때 의병장이었던 고경명(高敬命)의 할아버지이다. 출토 복식은 보공품(補空品)이 대부분이며, 당시 시신은 다소 육탈 건조되었을 뿐, 거의 본 모습을 간직하였다고 한다.

형태 및 용도

1986년 9월 광주광역시 남구 압촌동에 있는 고운 묘를 이장하던 중 발견된 유물은 복식 21점과 만장(輓章) 16점, 기타 물품을 포함한 43점이다. 만장은 죽은 사람을 애도하여 지은 글인데, 무덤 주인의 신분과 사회적 성향, 특징을 보여준다.

복식 유물은 무명 홑단령 1점, 무명 솜 직령 1점, 철릭 6점, 솜 과두(裹肚) 1점, 답호 3점과 무명 홑바지 4점과 솜바지 1점, 소모자(小帽子) 2점, 버선 2점이 이불 2점과 함께 수습되었다.

직령과 철릭 등 포(袍)에서는 임진왜란 이전 복식에 나타나는 특징인 이중 깃과 고리에 걸어 부착한 고름, 크기가 작은 2쌍 고름, 대형 등이 나타난다. 철릭은 솜 철릭은 물론 겹 철릭, 홑 철릭 등으로 사계절 것이 모두 있었지만 누비옷은 출토되지 않았다. 과거에 직령으로 분류된 옷 중 포보다 짧고 저고리보다 긴 상의는 과두이며, 임진왜란 이전에 나타나는 복식이다.

홑바지는 모두 밑이 막히고 바지부리가 넓은 여자 속곳과 유사한 양식이나 임진왜란 전에는 남자가 입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솜바지는 복식사가들이 ‘세가닥 바지'라고 지칭하는 것으로, 밑이 막힌 바지와 밑이 트인 바지가 결합된 양식이다.

육합모(六合帽), 혹은 감투라고도 불렀던 소모자는 시신이 쓰고 있던 것이다. 모직 펠트(felt)인 전(氈)으로 제작한 것이며, 조사 과정에서 전으로 만든 소모자 안에 있던 공단 소모자가 발견되었다. 의복에 사용된 소재에 화려한 비단은 없고, 명주 · 무명 · 모시 등 토산의 직물이 사용되었다.

의의 및 평가

고은 묘 출토유물은 무덤 주인의 신분과 생몰 연대를 정확히 알 수 있고 보존 상태도 양호할 뿐 아니라, 임진왜란 이전의 호남 사림 가문의 의생활을 알려준다는 점에서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 무덤 역시 회곽묘의 형태를 거의 완벽하게 갖추고 있어 16세기 초의 장법(葬法)의 연구에도 귀중한 자료이다.

2001년 6월 26일 국가민속문화재(현, 국가민속문화유산)로 지정되었고, 광주역사민속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참고문헌

단행본

『문화재대관 중요민속자료 2 : 복식 · 자수편』(문화재청, 2006)
『중요민속민속자료 조사보고서』 4- 고운묘 출토유물(문화재청, 2001)
『(霞川 高雲)출토유물』(광주민속박물관, 2000)
『광주 · 전남지역출토 조선중기의 우리옷(해설 및 전시 도록)』(광주민속박물관, 2000)
집필자
홍나영(이화여자대학교 교수)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