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원군 이혁 일가 묘 출토 유물 ( )

의생활
의복
국가유산
경기도박물관에 있는 조선 후기 왕실 종친인 의원군 이혁 일가의 묘에서 출토된 복식 · 서간 · 지석 등의 유물.
의복
재질
직물
제작 시기
조선 후기
소장처
경기도박물관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의원군 이혁 일가 묘 출토유물(義原君 李爀 一家 墓 出土遺物)
분류
유물/생활공예/복식공예/의복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국가민속문화유산(2013년 08월 22일 지정)
소재지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상갈로 6 (상갈동, 경기도박물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의원군 이혁 일가 묘 출토유물은 경기도박물관에 있는 조선 후기 왕실 종친인 의원군 이혁 일가의 묘에서 출토된 복식 · 서간 · 지석 등의 유물이다. 능창대군 묘, 의원군 이혁과 그의 부인 안동권씨 부부묘, 이연응 묘 등 의원군 일가 3개의 분묘에서 출토된 복식, 서간, 지석 등의 유물 130종 181점이다. 조선 후기 왕실 종친가문의 남녀 복식의 종류와 착장법, 직물 종류와 문양, 장례문화 연구에 중요한 자료이다.

정의
경기도박물관에 있는 조선 후기 왕실 종친인 의원군 이혁 일가의 묘에서 출토된 복식 · 서간 · 지석 등의 유물.
연원

능창대군(綾昌大君)인조의 동생이다. 의원군(義原君) 이혁(李爀)은 조선 인조의 셋째아들인 인평대군(麟坪大君)의 손자이자, 조선 후기 대원군 이하응(李昰應)의 5대조이다. 학문이 깊고 문장이 뛰어났으며 예론(禮論)에도 조예가 깊었다고 하나, 부정한 방법으로 백성의 재산을 침해하여 봉작을 삭탈당였다. 뒤에 영의정에 추증되었다.

이연응(李沇應)은 의원군의 5대손으로 1866년(고종 3) 급제한 후, 홍문관 부수찬이 된 이래 승정원 동부승지, 이조참의, 이조참판, 한성부판윤, 공조판서, 형조판서, 예조판서를 지냈다.

1999년 경기도 하남시에 위치한 묘의 이장 과정에서 능창대군 이전(李佺) 묘, 의원군 이혁과 그의 부인 안동권씨 부부묘, 그리고 이연응의 묘에서 복식 · 서간(書簡) · 지석(誌石) 등 유물 130종 181점이 출토되었다.

형태 및 용도

능창대군의 묘에서는 보공품(補空品)이었던 망건(網巾)이 출토되었다.

의원군의 묘에서는 염습의 12종 26점, 염습제구 17종 24점이 출토되었다. 소창의, 중치막, 대창의, 도포, 광수주의, 심의, 철릭 등 다양한 종류의 남자 포가 포함되어 있다.

습의(襲衣)는 상의로 한삼과 소창옷, 중치막, 창의, 심의, 단령 등 다섯 벌이고, 바지는 홑바지와 솜바지를 함께 꿰매어 착용하였다. 바지는 사폭바지이다.

금사 단학 흉배가 달린 운문단 단령 역시 습의로 가장 위에 착용하였으며, 그 안에는 직령을 중단으로 착용하였다. 이 밖에 망건, 복건, 행전, 습신 등이 습의로 잘 갖추어져 있었다.

당코깃의 포가 3점이 있었으며, 방령의 이중 깃이 달린 답호도 출토되었다. 홑철릭은 기계로 주름잡은 것처럼 아랫단까지 규칙적으로 닐카로운 주름을 잡았다. 단령, 철릭, 답호는 운문단으로 만들었지만 다른 편복들은 무문의 옷감을 사용하였다.

안동권씨의 묘에서는 염습의 9종 31점, 염습제구 6종 34점이 출토되었다. 남편인 의원군의 옷과 달리 대부분 무늬 있는 비단을 사용하였다. 습의를 보면, 직금운용문단(織金雲龍紋緞)으로 만든 원삼을 가장 위에 입었으며, 그 밑에 봉황 흉배가 달린 포도다람쥐문단의 당의, 그리고 3벌의 저고리를 입고 있었다.

당시 여자 복식의 착장 순서와 습을 할 때 사용되었던 여모, 습신 등의 모습을 확인할수 있다. 소삼(小衫) 1점, 저고리 14점, 당의 1점, 원삼과 원삼 대대 1점, 장옷 2점, 치마 7점, 바지 3점, 족두리 1점, 여모 1점, 멱목 1점, 지요 1점, 버선 1벌, 과두 1점 등의 복식과 구의, 명정, 천금, 오낭, 대렴금, 소렴금, 교초, 보공용 천 등 각 1점씩과 옷감과 배개, 각 2점, 현훈과 습신 각 1쌍 등이다.

이연응의 묘에서는 31종 43점이 출토되었다. 습의에 사용된 복식이 17종 22점, 대 · 소렴용 복식이 6종 9점, 그 외 염습제구 8종 12점이다. 솜옷이나 누비옷은 없었으며, 단삼, 저고리, 소창의, 중치막, 심의, 대대, 조대, 홑바지, 겹바지, 허리띠, 대님, 행전, 버선, 습신, 망건, 복건, 멱목 등이 있었다. 단령과 도포 각 2벌, 대창의, 주의, 마고자 2벌, 여자 삼회장저고리 등 6종 9점의 옷도 포함되어 있었다.

그중 마고자는 원삼과 같은 맞깃이 달리고 가장자리에 검은 가는 선을 둘렀다. 의원군의 습의와 달리 이연응의 습의에서 수의의 크기, 바느질법, 착장법을 생존 시와 다르게 하였음을 볼수 있다.

의의 및 평가

능창대군의 망건, 의원군의 단령 · 철릭 · 답호, 안동권씨의 원삼 · 당의 · 여모, 이연응의 마고자 등은 복식사적 가치가 뛰어난 유물들이다. 안동권씨의 습의를 통해 조선 후기 양반 여성 예복의 착장법과 순서를, 이연응의 습의를 통해 이전과 달라진 수의문화의 변화 과정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직물은 대부분이 견직물이었으며, 여성 복식에는 문직물이 많은 편이었다. 유물 가운데 고급 문직물이 포함된 것은 종친이라는 특별한 지위를 가진 가문의 특수성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유물의 보존 상태가 양호함은 물론 피장자의 인적 사항과 생몰 연대가 확실하고, 17세기 초부터 19세기 후반에 걸친 시기의 종친 일가 복식이 출토됨으로써 조선 후기 복식과 장례문화 연구에 활용할 수 있는 귀중한 유물이다. 2013년 8월 22일 국가민속문화재(현, 국가민속문화유산)로 지정되었고, 경기도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참고문헌

단행본

『경기도박물관 출토복식명품선』(경기도박물관, 2008)
『전주이씨묘 출토복식 조사보고서-광주고읍 인평대군파 의원군 일가』(경기도박물관, 2001)
집필자
홍나영(이화여자대학교 교수)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