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해 원명사 예수시왕생칠재의찬요 ( )

불교
문헌
문화재
1632년(인조 10), 조선시대 예수재의 의식과 절차를 정리하여 간행된 불교의례서.
이칭
약칭
예수경(預修經)
문헌/고서
편찬 시기
조선 후기
간행 시기
1632년(인조 10)
저자
대우(大愚)
권책수
1권 1책
판본
목판본
소장처
원명사
시도지정문화재
지정기관
경상남도
종목
시도유형문화재(2011년 9월 8일 지정)
소재지
경상남도 김해시 대동면 대동로529번길 83 원명사
내용 요약

김해 원명사 『예수시왕생칠재의찬요(預修十王生七齋儀纂要)』는 1632년(인조 10) 조선시대 예수재의 의식과 절차를 정리하여 간행된 불교의례서이다. 이 책은 예수재를 거행할 수 있도록 만든 책이다. 경상도 청도지 구룡산 수암사 개간본으로, 조선 후기 예수재 의식 연구에 중요한 자료이다. 경상남도 김해 원명사 도서로, 2011년 9월 8일 경상남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 다.

정의
1632년(인조 10), 조선시대 예수재의 의식과 절차를 정리하여 간행된 불교의례서.
서지사항

간기주1에는 “숭정오년임신중춘경상도청도지구룡산수암사개간(崇禎五年壬申仲春慶尙道淸道地九龍山水巖寺開刊)”이라고 적혀 있다. 이를 통해서 1632년(인조 10)에 경상도 청도지 구룡산 수암사에서 간행되었음을 알 수 있다. 1권의 목판본으로, 책의 크기는 세로 28.5㎝, 가로 21.9㎝이며 책 반곽의 크기는 세로 20.3㎝, 가로 17.6㎝이다.

책의 행자수는 『 예수천왕통의(預修薦王通義)』가 11행 19자이고, 『예수시왕생칠재의찬요(預修十王生七齋儀纂要)』는 8행 16자이다. 책의 판심에는 상하내향유문어미(上下內向有紋魚尾)와 주2가 있으며, 판심제는 '예수문(預修文)'이다.

종이의 두께는 0.08㎝이고 종이의 발끈 폭은 2.5~2.6cm, 종이의 촉수는 대부분 16촉으로 나타나며 종이의 색차값은 L :71.3, a: +6.3 b: +19.7이다.

편찬 및 간행 경위

임진왜란 후에 간행된 경전으로 권말에는 시주자와 주3에 대한 기록이 있으며, 각수로는 계훈(戒熏), 일웅(一雄), 태신(太信)의 3인이 참여하였다. 판식이나 어미 모양 등으로 지방 사찰에서 간행된 목판본의 형태와 판본의 특징을 볼 수 있으며, 조선 후기 지방 사찰의 경전 간행의 주제 경향을 알 수 있는 중요한 자료로 판단된다.

구성과 내용

『예수시왕생칠재의찬요』는 예수재(預修齋)를 지내기 위해 만든 책이다. 예수재는 내세의 극락왕생을 빌기 위해 생전에 재를 올려 공덕을 쌓는 의례로, 사후 저승에 가서 주4을 만나 받을 심판에 대비해 미리 49재 의식을 행하는 공덕울 쌓는 불교 의식이다. 『예수시왕생칠재의찬요』는 모두 31편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매 편마다 의식을 행하는 의미를 설명하고 그 절차를 제시하고 있다.

이 책은 1576년 송당(松堂) 대우(大愚)가 편찬한 것으로 경상도 안동 학가산 광흥사(廣興寺)판이 가장 오래된 것인데, 60여 년 뒤에 인근에서 다시 간행된 것이다. 이를 통해 이 시기의 경전 유포 상황을 짐작해 볼 수 있다.

이와 함께 조선 중기 승려인 육화(六和)가 찬술한 『예수천왕통의』가 앞부분에 편철되어 있다. 경기도 시흥 청계사 도서의 목판본 중에도 이렇게 두 책이 합철된 형식의 사례가 있어, 일반적으로 함께 유통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김해 원명사 도서는 글자체가 청계사판으로 간행한 것보다 획이 가늘게 새겨져 있다.

이 책은 16∼17세기에 집중적으로 간행되었는데, 현존하는 간본으로는 ① 1576년 광흥사(廣興寺)본, ② 1632년(인조 10) 용복사(龍腹寺)본, ③ 1639년(인조 17) 월정사(月精寺)본, ④ 1647년(인조 25) 보현사(普賢寺)본, ⑤ 1680년(숙종 6) 송광사(松廣寺)본 등이 있다.

의의 및 평가

17세기 조선 불교계에서는 불교의례를 정리한 의식집이 많이 발간되었는데, 이 책도 그중의 하나이다. 예수재의 의식 절차를 정리한 의식집으로서, 이 책에 기초해서 오늘날에도 예수재가 행해질 정도로 우리나라 불교의식에 큰 영향을 준 문헌이다.

1632년 경상도 청도 구룡산 수암사 개간본으로, 조선 후기 예수재 의식 연구에 중요한 자료이다. 문화재적 가치를 인정받아 2011년 9월 8일 경상남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참고문헌

단행본

동국대학교 한국불교전서편찬위원회, 『한국불교전서』(동국대학교 출판부, 1992)
주석
주1

동양의 간행본에서, 출판한 때ㆍ곳ㆍ간행자 따위를 적은 부분.    우리말샘

주2

판심에 표시된 책의 이름.    우리말샘

주3

나무나 돌 따위에 조각하는 일을 직업으로 하는 사람.    우리말샘

주4

저승에서 죽은 사람을 재판하는 열 명의 대왕. 진광왕, 초강대왕, 송제대왕, 오관대왕, 염라대왕, 변성대왕, 태산대왕, 평등왕, 도시대왕, 오도 전륜대왕이다. 죽은 날부터 49일까지는 7일마다, 그 뒤에는 백일ㆍ소상(小祥)ㆍ대상(大祥) 때에 차례로 이들에 의하여 심판을 받는다고 한다.    우리말샘

집필자
남권희(한국전적문화재연구소)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