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보적 분포 ( )

목차
관련 정보
언어·문자
개념
한 쌍의 언어음이나 언어 형식에서, 어느 한쪽은 다른 한쪽이 결코 나타나지 않는 환경에서만 나타나는 형태소. 배타적분포.
이칭
이칭
배타적분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상보적 분포는 한 쌍의 언어음이나 언어 형식에서, 어느 한쪽은 다른 한쪽이 나타나지 않는 환경에서만 나타나는 현상이다. 어떤 음성들이나 형태들이 상보적 분포를 이루는 것을 변이음, 이형태라고 한다. 한 환경에서는 하나의 변이음이나 이형태만 오기 때문에 배타적 분포라고도 한다. 상보적 분포는 어떤 음성들이나 형태들이 하나의 음소나 형태소인지를 판별하는 기준이 된다. 상보적 분포를 이루고 있는 음성들은 한 음소에 속하는 변이음이다. 상보적 분포를 이루고 있는 형태들은 한 형태소에 속하는 이형태들이다.

목차
정의
한 쌍의 언어음이나 언어 형식에서, 어느 한쪽은 다른 한쪽이 결코 나타나지 않는 환경에서만 나타나는 형태소. 배타적분포.
개설

음소에 속하는 변이음들이나 한 형태소에 속하는 이형태들은 나타나는 환경이 정해져 있다. 변이음들이나 이형태들은 동일한 환경에서 나타날 수 없고, 한 변이음이나 이형태는 다른 변이음이나 이형태가 나타나지 않는 환경에서만 나타날 수 있다. 이를 상보적 분포라 한다. 상보적 분포는 배타적 분포라고도 한다. 엄밀히 말하면 상보적 분포와 배타적 분포가 완전히 같은 개념은 아니지만 언어학에서는 대체로 같은 용어로 통용된다.

내용

한 음소에 속하면서 음성적으로 달리 실현되는 소리들을 변이음 또는 이음이라고 하는데, 이들 변이음은 각기 실현되는 환경이 정해져 있으며 그 실현 환경은 서로 상보적 분포를 이룬다. 마찬가지로 하나의 형태소는 음운론적으로 제약되거나 형태론적으로 제약된 이형태의 집합으로 규정되는데, 하나의 형태소를 구성하는 이형태는 그 분포가 음운론적 또는 형태론적으로 상보적 분포를 이룬다.

한 음소에 속하는 변이음이나 한 형태소에 속하는 이형태 [x]와 [y]는, [x]가 나타나는 환경에서 절대로 [y]가 나타날 수 없고, 반대로 [y]가 나타나는 환경에서 [x]가 나타날 수 없다. 예를 들면 [k]는 어두에서, 그리고 불파음 [k┐]는 단어말이나 무성 자음 앞에서, 유성 자음 [g]는 모음 사이 또는 유성 자음과 모음 사이에서만 나타난다. 즉 표면에서 확인되는 [k], [k┐], [g]는 같은 환경에서 나타나는 경우가 없는 상보적 분포를 이룬다.

‘들-’은 ‘들었다’, ‘들어라’, ‘들으니’에서처럼 모음 앞에서만 나타나고 ‘든-’은 ‘듣는다’, ‘듣는’, ‘듣노라’에서처럼 ‘ㄴ’과 같은 비음 앞에서만 나타난다. ‘듣-’은 ‘듣고’, ‘듣지’에서처럼 비음 이외의 자음 앞에서만 분포되므로 ‘듣-’, ‘들-’, ‘든-’은 서로 상보적 분포를 이룬다.

대다수의 변이음이나 이형태들은 조건에 다라 다르게 실현되므로 한 환경에서는 하나의 변이음이나 이형태만 오는 것이 원칙이다. 이 사실을 활용하면 두 개의 음성이 한 음소인지 아닌지, 의미가 같은 두 형태가 한 형태소인지 아닌지를 판별하는 데 도움이 된다. 곧 한 음소의 변이음으로 의심되는 음성들이나 한 형태소의 이형태로 의심되는 형태가 상보적 분포까지 이룰 경우 같은 음소에 속할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이다.

목적격 조사 ‘을’과 ‘를’은 의미가 같으면서 자음으로 끝나는 체언 다음에서는 ‘을’이 나타나고 모음으로 끝나는 체언 다음에서는 ‘를’이 나타나며 그 반대의 경우에는 나타날 수 없다. 그러므로 ‘을’과 ‘를’은 상보적 분포를 가지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따라서 이들은 한 형태소로 묶인다. ‘이’와 ‘가’도 같은 이유로 한 형태소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에게’와 ‘한테’는 ‘철수한테 주어라’, ‘철수에게 주어라’처럼 의미는 같다 하더라도 상보적이 아니기 때문에 한 형태소로 묶일 수 없다.

참고문헌

『국어 음운론 강의』(이진호, 삼경문화사, 2014)
『국어 음운론』(신승용, 역락, 2013)
『국어학개설』(이익섭, 학연사, 2000)
『국어문법론강의』(이익섭ㆍ채완, 학연사, 1998)
「이형태의 성격과 이형태교체의 유형」(김유범, 『국어학』 81, 2017)
「이형태 교체와 관련한 몇 문제」(박재연, 『국어학』 58, 2010)
「국어 격조사의 상보적 분포와 최적성 이론」(오정란, 『국어학』 28, 1996)
「‘이형태’의 상보적 분포와 통사적 구성」(남기심, 『한글』 193, 1986)
집필자
이래호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