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질 ()

목차
관련 정보
증보사례편람 / 수질, 요질, 교대도
증보사례편람 / 수질, 요질, 교대도
의생활
의복
조선시대 이래, 상례 때 사용하였던 굴건 위에 두른 띠.
의복
재질
짚, 삼껍질
제작 시기
1970년
관련 의례
상례
소장처
경기여자고등학교 경운박물관
내용 요약

수질은 조선시대 이래 상례 때 사용하였던 굴건 위에 두른 띠이다. 1970년 5월 이해상이 영친왕 이은의 장례 때 굴건 위에 둘렀던 수질이 가장 대표적이다. 삼끈 두 가닥을 꼬아서 제작하여 만드는 것으로 참최는 저마(苴麻), 재최 이하는 무마(牡麻), 소공 · 시마는 조마(澡麻)를 사용하며 이는 요질(腰絰)의 제도와 동일하다. 영친왕의 재종질(再從姪)인 이해상과 신계완의 딸이자 경기여고 졸업생인 이남주가 경기여고 경운박물관에 기증하였는데, 여기에 수질이 포함되어 있으며 현존하는 희귀한 전통 상복의 유물이라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

정의
조선시대 이래, 상례 때 사용하였던 굴건 위에 두른 띠.
연원

수질(首絰)은 이해상(1913∼1985)이 영친왕(英親王) 이은(李垠, 1899~1970)의 장례 때 굴건 위에 둘렀던 띠이다. 수질은 삼끈 두 가닥을 꼬아서 만드는 것으로 주1는 저마(苴麻), 주2 이하는 무마(牡麻), 주3주4는 조마(澡麻)를 사용하며 이는 요질(腰絰)의 제도와 동일하다.

수질은 1970년 5월 1일 주9에서 거행된 영친왕 이은의 장례 때 이달용(李達鎔, 1883∼1948)의 아들 이해상이 머리에 둘렀던 것이 가장 대표적이다. 수질을 포함한 이해상 내외 상복 주12은 2013년에 국가등록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상복(喪服)은 총 9점으로, 굴건(屈巾), 건(巾), 수질, 최의(衰衣), 상(裳), 요질, 중단(中單), 대수장군(大袖長裙), 행전(行纏) 등이다. 이해상은 고종(高宗) 황제의 사촌인 완순군(完順君) 이재완(李載完, 1855∼1922)의 아들인 이달용의 3남으로, 영친왕과는 주10 관계의 인물이다. 상복은 경기여자고등학교 경운박물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이해상과 신계완의 딸이자 경기여자고등학교 졸업생인 이남주가 그 박물관에 기증한 것이다.

형태 및 용도

삼과 짚을 꼬아서 테를 만들어 두건(頭巾), 굴건과 함께 쓰고 여자는 수질만 쓴다. 수질에 다는 끈은 참최에는 승영(繩纓), 재최에는 포영(布纓)으로 하되, 소공 이하는 없다.

『오례의(五禮儀)주11』에 기록된 수질의 제작 방법과 착용법을 살펴보면, 참최의 수질은 씨 있는 삼, 즉 저마(苧麻) 유자삼[有子麻]으로 만들고 재최 이하는 씨 없는 삼, 즉 태마 무자삼[無子麻]으로 만든다고 되어 있으나, 실제로 이를 구분하여 재료를 구할 수가 없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구할 수 있는 짚과, 삼의 껍질을 이용하여 만든다. 둘레는 9촌(寸)으로 삼의 밑둥치를 왼쪽에 있게 하며, 이마 앞에서 오른쪽을 향하여 이를 두르고 정수리로부터 오른쪽을 향하여 이를 둘러서 정수리에서 뒤를 지나 그 끝이 밑둥치의 위에 있게 하고 또 노로 끈을 만들어 이를 단단하게 한다. 재최의 수질은 씨 없는 삼으로 만드는데 둘레는 7촌 남짓하고 삼의 밑둥치는 오른쪽에 있으며 그 끝이 밑둥치 아래에 있게 하여 끈을 만든다. 수질은 주6이 지나면 벗는다.

의의 및 평가

1969년 「가정의례준칙(家庭儀禮準則)」의 시행 이후, 상복을 간소화하고 주7주8 등을 없애기로 하였기 때문에 전통적인 상례복이 남아 있기 어렵다. 특히 상복은 탈상(脫喪) 이후 태우는 것이 통례이기 때문에, 현재 남아 있는 전통 상복을 찾아보기 어렵다. 이 상복은 대한제국의 마지막 왕으로 칭해졌던 영친왕의 상례 착용일에 왕실 종친인 이해상과 부인 신계완이 착용한 남녀 전통 상복 일습이면서도 착용자가 명확하다는 측면에서 가치가 크다. 또한 이 상복은 후손들이 잘 보존하여 일습의 형태로 박물관에 기증되어 상복 일습에 포함된 수질이 후학들에게 연구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

참고문헌

원전

『사례편람(四禮便覽)』
『증보사례편람(增補四禮便覽)』

단행본

강순제 외 8인, 『한국복식사전』(민속원, 2015)

논문

이영주, 『조선시대 국상 복제 연구』(동덕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조우현, 『조선시대 상복에 관한 연구』(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89)
조우현·김혜경·동준희·박민재, 「『사례편람』에 기초한 남자 상복의 고증 제작에 관한 연구」(『복식』 66-8, 한국복식학회, 2016)

인터넷 자료

문화재청(http://www.heritage.go.kr)
국립민속박물관(https://www.nfm.go.kr)
‘영친왕 서거’(대한뉴스 제776호, http://www.ehistory.go.kr/page/pop/movie_pop.jsp?srcgbn=KV&mediaid=1011&mediadtl=6285, 1970.05.09.)

기타 자료

『경향신문』(1970.05.09.)
주석
주1

오복(五服)의 하나. 거친 베로 짓되 아랫단을 꿰매지 않고 접는 상복이다. 아버지나 할아버지의 상(喪)에 입는다. 우리말샘

주2

오복(五服)의 하나. 조금 굵은 생베로 짓되 아래 가를 좁게 접어서 꿰맨 상복이다. 부모상에는 삼 년, 조부모 상에는 일 년, 증조부모 상에는 다섯 달, 고조부모 상에는 석 달을 입고, 처상(妻喪)에는 일 년을 입는다. 우리말샘

주3

오복(五服)의 하나. 약간 가는베로 지은 상복이다. 소공친의 상사(喪事)에 다섯 달 동안 입는다. 우리말샘

주4

오복(五服)의 하나. 가는베로 지은 상복이다. 종증조, 삼종형제, 중현손(衆玄孫), 외손, 내외종 따위의 상사(喪事)에 석 달 동안 입는다. 우리말샘

주6

왕세자나 왕세손의 상사(喪事). 우리말샘

주7

발인할 때에, 문 앞에서 지내는 제사. 우리말샘

주8

장사를 지낸 후 세 번째 지내는 제사. 흔히 가족들이 성묘를 한다. 우리말샘

주9

조선 헌종 13년(1847)에 지은 전각. 후궁 김씨를 위해서 지었다 하며 이방자(李方子) 여사가 거처한 곳이기도 하다. 창덕궁과 창경궁 경계에 위치한다. 우리말샘

주10

육촌 형제의 아들. 우리말샘

주11

조선 시대에 세종의 명으로 허조(許稠) 등이 편찬에 착수하고, 세조 때 강희맹 등을 거쳐 신숙주, 정척 등이 완성한 예서. 길례(吉禮), 가례(嘉禮), 빈례(賓禮), 군례(軍禮), 흉례(凶禮)의 오례 가운데 실행하여야 할 것을 뽑아 도식(圖式)으로 엮었다. 성종 5년(1474)에 간행되었다. 8권 8책. 우리말샘

주12

옷, 그릇, 기구 따위의 한 벌. 또는 그 전부.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