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질 ()

사례편람 / 교대, 요질, 수질
사례편람 / 교대, 요질, 수질
의생활
의복
조선시대 이래, 상례 때 허리에 두르는 띠.
의복
재질
짚, 삼끈
제작 시기
1970년
관련 의례
상례
소장처
경기여자고등학교 경운박물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요질은 조선시대 이래, 상례 때 허리에 두르는 띠이다. 1970년 5월 이해상 내외가 영친왕 이은의 장례 때 허리에 둘렀던 요질이 가장 대표적이다. 이것은 삼끈 두 가닥을 꼬아서 만드는 것으로 참최는 저마(苴麻), 재최 이하는 무마(牡麻), 소공 · 시마는 조마(澡麻)를 사용하며 이는 수질의 제도와 동일하다. 영친왕의 재종질인 이해상과 신계완의 딸이자 경기여고 졸업생인 이남주가 이해상 내외의 상복을 경기여고 경운박물관에 기증하였고, 여기에 요질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는 현존하는 희귀한 전통 상복 유물이라는 점에서 중요한 가치가 있다.

정의
조선시대 이래, 상례 때 허리에 두르는 띠.
연원

요질(腰絰)은 상복(喪服)의 겉옷 위 허리에 둘렀던 띠이다. 이러한 요질은 1970년 5월 1일 낙선재(樂善齋)에서 거행된 영친왕(英親王) 이은(李垠, 1899~1970)의 장례 때 이달용(李達鎔, 1883∼1948)의 아들 이해상(1913∼1985) 내외가 허리에 둘렀던 것이 가장 대표적이다. 요질을 포함하여 이해상 내외 상복인 일습(一襲)은 2013년에 국가등록문화재(현, 국가등록유산)로 지정되었다. 상복은 총 9점으로, 굴건(屈巾), 건(巾), 수질(首絰), 최의(衰衣), 상(裳), 요질, 중단(中單), 대수장군(大袖長裙), 행전(行纏) 등이다. 이해상은 고종(高宗) 황제의 사촌인 완순군(完順君) 이재완(李載完, 1855∼1922)의 아들인 이달용의 3남으로, 영친왕과는 재종질(再從姪) 관계의 인물이다. 이해상 내외의 상복은 경기여자고등학교 경운박물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이해상과 신계완의 딸이자 경기여자고등학교 졸업생인 이남주가 박물관에 기증한 것이다.

형태 및 용도

요질은 대대(大帶)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수질과 마찬가지로 삼끈 두 가닥을 꼬아서 제작하는데 굵기는 더 가늘게 한다. 『사례편람(四禮便覽)』에 따르면 참최(斬衰)의 요질은 씨 있는 삼, 즉 저마(苴麻)로 만들고, 둘레는 7촌(寸) 남짓이다. 두 가닥을 서로 꼬아 양쪽 끝을 묶어 각기 삼의 밑동[麻本]을 남기고 각각의 끝에 산수(散垂)라고 하는 3척(尺) 길이의 뿌리 가닥을 부착한다. 서로 묶은 곳의 양쪽 곁에는 각기 가는 줄[繩]을 매어 연결한다. 참최의 요질은 양쪽 다리를 서로 교차하여 맺으며 각각 삼의 밑둥치를 남겨 두는데 맞대어 맺은 곳의 양쪽 옆에는 각각 가는 노로 꿰어 맨다. 재최(齊衰)의 요질은 씨 없는 삼, 즉 시마(枲麻)로 만드는데, 둘레가 5촌 남짓이며, 『상례비요(喪禮備要)』에 따르면 재최 이하는 베[布]를 매어 연결한다고 한다. 대공(大功)의 요질은 둘레가 4촌 남짓이고, 소공(小功)의 요질은 3촌 남짓으로 재료는 재최와 같다. 시마(緦麻)의 요질은 누인 삼베인 숙마(熟麻)로 만들며, 둘레는 2촌 남짓이다.

이해상 요질의 길이는 125㎝이고, 신계완 요질의 길이는 122㎝이다.

의의 및 평가

1969년 「가정의례준칙(家庭儀禮準則)」 시행 이후, 상복을 간소화하고 노제(路祭)와 삼우제(三虞祭) 등을 없애기로 하였기 때문에 전통적인 상례복이 남아 있기 어렵다. 특히 상복은 탈상(脫喪) 이후 태우는 것이 통례이기 때문에, 현재 남아 있는 전통 상복을 찾아보기 어렵다. 따라서 이해상 내외의 상복은 대한제국 마지막 왕으로 칭해졌던 영친왕의 상례 착용일에 왕실의 종친인 이해상과, 부인 신계완이 착용한 남녀 전통 상복의 일습이면서도 착용자가 명확하다는 측면에서 가치가 크다. 또한 이 상복은 후손들이 잘 보존하여 일습의 형태로 박물관에 기증되어 상복 일습에 포함된 요질이 후학들에게 연구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

참고문헌

원전

『사례편람(四禮便覽)』
『증보사례편람(增補四禮便覽)』

단행본

강순제 외 8인, 『한국복식사전』(민속원, 2015)

논문

이영주, 『조선시대 국상 복제 연구』(동덕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조우현, 『조선시대 상복에 관한 연구』(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89)
조우현·김혜경·동준희·박민재, 「『사례편람』에 기초한 남자 상복의 고증 제작에 관한 연구」(『복식』 66-8, 한국복식학회, 2016)

인터넷 자료

국가유산청(http://www.khs.go.kr)
국립민속박물관(https://www.nfm.go.kr)
‘영친왕 서거’(『대한뉴스』 제776호, 1970.05.09.)(http://www.ehistory.go.kr/page/pop/movie_pop.jsp?srcgbn=KV&mediaid=1011&mediadtl=6285)

기타 자료

『경향신문』(1970.05.09.)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